▲서울처럼 산지가 많은 도시에서는 SO의 역할이 중요하다.
SXC
SO가 종합유선방송이 되면서 기존 공영방송의 프레임이 조금씩 재구성되기 시작했다. SO는 다양한 PP(Program provider, 방송채널사용사업자 또는 프로그램 공급사업자)로부터 방송콘텐츠를 공급받아 전송하기 시작하면서 기존의 지상파 재전송과 콘텐츠 비즈니스를 동시에 하기 시작했다.
지상파 재전송을 통해 지상파 수신자들을 묶어 놓을 수 있고 다양한 PP들을 확보, 송출함으로써 여러 장르의 방송 콘텐츠를 이용해 가입자를 늘려갈 수 있게 된다. 이런 환경 변화와 디지털 방송의 도입으로 SO는 오퍼레이터(Operator)에서 종합유선방송국으로 업그레이드됐고 지상파의 견제를 받기 시작했다. 지상파 주연의 연극 무대에서 엑스트라 역할을 하던 처지에서 이제 당당히 주연 자리를 넘보게 되었다.
지상파로서는 새로운 주인공의 등장이 반가울 리 없다. 여태껏 주연을 위한 엑스트라로 만족하던 영세업자들이 아니던가. 이후 지상파의 본격적인 반격이 시작됐다. 지상파들은 자신들의 콘텐츠를 재전송하지 말거나 사용료를 내라고 강력하게 주장하기 시작했다. 지상파 방송을 위해 제작된 콘텐츠를 사용해서 수익을 올리면 그 수익의 일부는 자신들에게 귀속되어야 한다는 주장이었다. 지상파 방송이 전통적 의미의 방송에서 벗어나 콘텐츠 제작, 유통업체의 관점에서 문제를 제기한 것이다.
지상파의 주장을 간단하게 요약하자면 합리적 투자에 대한 정당한 요구라고 말할 수 있다. 한 줄로 요약하면 "남의 물건을 도적질하지 마라"다. 이 주장은 시장원리에 따르면 별 문제가 없어 보인다. 지상파 방송국용 콘텐츠 제작을 위해서는 막대한 비용이 들어간다. 국가에서 지원을 받거나 TV 수신료로 운영되는 KBS나 EBS와 달리 SBS나 MBC는 그 제작비용을 광고수익으로 충당하기 때문에 투자금액 이상을 회수하여야 한다.
디지털 영상 제작 시스템은 하나의 콘텐츠로 여러 방식의 활용을 가능하게 할 수 있어 처음에는 방송용으로 사용되고 이후 해외 시장용, VOD(Video on demand, 주문자 영상) 서비스용, DVD용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된다. 최초 콘텐츠를 기획, 제작할 때 여러 시장을 고려해 투자 정도를 결정하기 때문에 합리적 투자와 그에 따른 예측 가능성은 중요한 요소다.
이런 합리적 판단이 SO의 무단 사용으로 어려움에 처해 있다는 주장은 다소 과장된 측면이 있더라도 동의할 수 있다. 이런 지상파의 주장에 대해 SO가 내세우는 것은 원론적 접근이다. 지상파 방송은 시장논리에 의해 설명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공공의 관점에서 접근해야 된다는 것이다. 케이블TV방송협회에서 만든 자료를 보자.
○ 원칙적으로 지상파방송은 무료 보편적 서비스 대상- 국내 방송체계에서 국민 자산인 주파수를 이용하는 모든 지상파방송에 공공성을 강조- KBS : 방송법 상, 수신료로 운영되는 공영방송 (방송법 제43조, 제44조, 제56조)- MBC : 방문진법에 의해 운영, 경영은 광고수익에 의존하는 공영방송※ MBC 주주구성 : 방송문화진흥회 (70%), 정수장학회(30%) (MBC, 2012)- SBS : KBS, MBC와 다를 바 없는 사회적 책무와 역할을 부여받고 실제 방송 정책 측면에서 공영방송과 동등한 대우를 받음출처 : 지상파방송 의무재송신 제도개선 필요성 및 개선방안. 한국케이블TV방송협회. 2013.9 KBS나 MBC는 물론 실제 방송 정책 측면에서 공영방송과 동등한 대우를 받고 있는 SBS의 현실을 감안하면 지상파 방송은 국민 누구나 누려야 할 보편적 서비스 대상이라는 주장이다. 일반 기업처럼 적절한 영업행위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부도가 나서 파산이 되는 경우와 다르다는 이야기다. 공영방송은 국가의 필요성에 의하여 존립하는 시스템이기 때문에 지상파 방송 관계자들에게 대국민 서비스를 위한 충실한 공무를 수행할 의무가 있다는 것 또한 내포되어 있다.
또 KBS와 MBC 사장 임명은 사실상 국가에 의해 주도된다. 국가에 의해 주파수 특혜를 받고 국민 세금으로 운영되는 지상파 방송에 대한 시청은 국민의 보편적 권리다. 따라서 현재 KBS1, EBS에 국한되어 있는 지상파 의무 재전송을 KBS2, MBC 까지 확대하라는 것이 SO의 주장이다.
중요한 것은 방송을 바라보는 사회적 인식양측의 주장은 나름 설득력이 있다. 향후 이 문제가 어떻게 해결될지 현재로서는 알 수 없지만 디지털 시대 미디어의 본질과 관련해 생각해 보면 주요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SO는 지상파 방송의 개념을 공공성에서 찾으려 하고 있고 당사자인 지상파 방송의 경우에는 공공성은 최소로 하고 시장원리에 기초해 자신들의 주장을 전개하고 있다.
서로 다른 주장의 배경에는 달라진 방송환경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디지털 시대에 들어와서 방송의 개념은 이전 지상파 위주의 그것과는 질적으로 달라졌다. 방송보다는 미디어라는 용어가 좀 더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고 최근에는 SNS 등으로까지 확대되고 있다. 정보가 특정 기관에 의해 독점, 유통되는 시대는 끝나가고 있고 누구나 다양한 방식으로 정보에 접근할 수 있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