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곡사는 일본의 불교정책을 반대했던 독립운동가이자 승려인 만공선사가 오도송을 읊은 곳. 만공탑 둥근 부분에 만공선사의 친필 '세계제일'이 새겨져 있다.
김현자
아산 봉곡사는 신라 51대 진성여왕 원년(887년)에 도선국사에 의해 창건된 천년고찰이다. 절은 고려 때 보조국사 지눌에 의해 중창(의종,1170년)되고, 이후 세종 때 함허화상에 의해 거듭 중창되면서 6개의 암자까지 거느릴 정도로 규모가 큰 절이 된다.
그러나 임진왜란 때 본찰인 봉곡사는 물론 6개의 암자 모두 폐허가 되고 만다. 이런 절이 소생한 것은 인조 24년(1647년)에 중창되면서. 이후 두 차례의 중수(정조와 고종 때)를 거쳐 오늘에 이른다고 한다.
도선국사가 창건할 당시 이 절의 이름은 '모연고찰'이었다고 한다. 봉곡사라 불리기 시작한 것은 정조 18년인 1794년에 중창되면서부터. 앞서 보조국사 지눌에 의해 중창되면서 '석암사'로 불리기도 했다고 한다.
한때 6개의 암자까지 거느릴 정도였던 봉곡사는 그러나 지금은 규모가 매우 작다. 대웅전을 비롯한 고방채와 삼성각 등 다섯 전각에 불과하고 그 흔한 일주문까지 없다. 게다가 이처럼 오랜 역사를 지녔음에도 사람들에게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
때문일까? 언뜻 그리 연관이 없어 보이는 이름으로 여러 차례 바뀌었음에 애틋함마저 느껴졌다. 많은 사람들이 찾는 절이었다면 중창 때마다 다른 이름으로 바뀌지 않았을지도 모른다는 생각 때문이다. 어디까지나 나만의 지레짐작 생각에 불과하지만 말이다.
7월 16일, 봉곡사에 갔다. 기차(서울역에서 출발하는 누리로)를 놓치는 등 좀 힘들게 간 길이었다. 봉곡사에서 눈여겨 볼 것은 문화재로 지정된 '봉곡사 대웅전 및 고방(충청남도 문화재 자료 제323호)'과 '만공(선사)탑'이다.
특이하게도 물건들을 보관하는 창고인 고방이 문화재로 지정되어 있어서 고방채란 전각에 대한 기대를 하고 갔다. 그러나 하필 공사 중이어서 살펴볼 수 없는데다가, '고방은 물건을 보관하는 창고이다. 2층 형태로 되어 있으며 대웅전 옆의 80칸의 'ㅁ'자의 요사채 건물 중 일부로 정면 3칸 측면 1칸의 규모'란 설명 뿐(대웅전 앞 문화재 안내판의)이어서 아쉽게 돌아서야만 했다. 공사가 끝날 예정인 9월 30일 이후 다시 한 번 꼭 찾으리라 생각하면서.
봉곡사와 함께 우리가 기억해야 할 인물은 일제강점기 일제의 불교정책을 반대했던 독립운동가인 만공선사(1871년~1946년)다. 만공선사가 이곳에서 일체유심조 법을 외우다가 한 깨달음을 얻으며 오도송을 읊었다는 곳이기 때문이다. 봉곡사 입구 왼쪽 언덕에 이를 기념하는 만공탑이 세워져 있다. 탑 둥근 부분에 새겨진 '세계제일'이란 글씨는 만공스님의 친필이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