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하천 복원전의 무심천(좌)과 복원후의 무심천(우) 모습(출처: 환경백서). 4대강 사업 이전의 하천 복원 방향은 습지와 다양한 서식처를 조성하는 방향으로 진행되었다.
환경백서(환경부,2007)
우리나라의 물 관리 대책은 1980~1990년대의 각종 사건 사고에 따라 수립된 다양한 계획들과 이후 수립된 '4대강 물관리 종합대책(1998-2005)'에 이어, 2006년에 수립된 '물환경관리 기본계획-4대강 대권역 수질보전 기본계획(2006-2015)'으로 대표된다.
'물환경관리 기본계획'이 포함하고 있는 다양한 하천 수질 개선 정책을 크게 분류하자면 오염원 저감, 하천의 자정작용 회복 그리고 하천을 관리하고 평가할 수 있는 기반이 되는 제도와 시스템의 구축 정도로 구분할 수 있다.
우선, 오염원 저감 정책은 1970년대 이후 도시화 및 산업화에 따른 하천의 급격한 수질 저하를 해결하기 위해 하수처리장 등을 건설하던 단계부터, 최근 비점오염원(일정한 배출구를 갖지 않는 오염으로 농약 및 비료 성분, 토사유실, 도로의 오염물질 등)의 중요성이 대두되며 유역통합관리 개념이 도입되는 단계까지 다양한 시행착오와 발달 과정을 거쳐 왔다.
정부가 4대강 사업을 홍보하면서 예로 든 한강 수질 개선 경우를 보면, 한강종합개발사업에 따른 인공 제방이나 보의 건설 때문이 아니라, 초기 산업화에 따른 수질 악화가 점오염원(일정한 배출구를 가지는 오염을 말하며 도시의 생활하수, 산업폐수, 축산폐수 등)을 제어한 결과 개선된 것으로 보는 게 훨씬 타당하다.
또한, 4대강 사업 이전에는 오염원을 상수원으로부터 격리하기 위해 수변구역을 지정하고 입지제한을 할 뿐 아니라, 사유지를 매수하는 등 하천 주변 지역을 적극적으로 보전하는 방향이 전제되어 있었다. 그러나 4대강 사업에 따른 '친수구역' 지정은 이러한 정책에 완전히 역행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하천의 자정작용 회복 역시 마찬가지다. 이전 계획인 '4대강 물관리 종합대책'의 목표였던 '안전한 먹는 물 확보'라는 목표에서 한 단계 더 나아가 '수생태계의 건강성'을 전면에 내세우며 자연형 하천 복원, 배후습지 보존 및 복원, 수변생태벨트 조성 등을 내용으로 포함시키고 있다.
이러한 목표의 변화는 인간이 할 수 있는 일은 오염원을 제어하여 인간의 영향을 최소화하여 거들 뿐, 결국 궁극적인 수질 개선을 위해서는 자연 시스템이 스스로 가지고 있는 능력을 극대화해야 한다는 인식에 다른 것이었다.
그러나 4대강 사업은 하천이라는 시스템이 가지고 있는 가장 기본적인 특성인 '흐름'을 없애고, 자정작용이 일어나는 중요한 공간인 습지 및 하상의 모래들을 파내면서 사람이 강을 제어할 수 있다는 오만함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 나타난 녹조와 큰빗이끼벌레 등 4대강의 변화는 시스템 자체가 완전히 변화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정부가 이러한 변화에 대처하는 태도는 당혹스러움으로 가득 차 있다. 4대강 사업을 강행하면서는 사업 반대 측이 제기한 우려들을 부정하기에 급급하더니, 예상치 못했던 속도와 수준으로 나타난 최근의 상황에 대해서는 명확한 대책도 가지고 있지 않아 보인다. 변화하는 시스템에 대한 지식의 부재, 불확실성의 급증은 언제든 원수의 안정성(stability)과 먹는 물의 안전성(safety)을 동시에 위협할 수 있다.
'시빌 액션' 사건의 결말이 박근혜 정권에게 시사하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