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학교 학부머 설명회를 마치고 스탭과 참가자 일부가 함께 사진을 찍었다.
이명옥
"사실 인생학교를 우리가 다 하는 것도 아니고, 전환기 삶에 대한 일종의 교육 패러다임의 일환으로 그 철학과 비전에 공감하면서, 대한민국 곳곳에서, 아니 마을마다 교육공동체의 핵심 프로그램으로 마을 인생학교가 진행된다면, 그 얼마나 좋을까라는 바람을 가졌잖아요? 우리의 최초 기획 취지도 그랬고요. 그래서 우리는 '민들레 홀씨'가 되면 되는 겁니다. 아니, 민들레 홀씨가 되기만 한다면야 그 얼마나 좋겠습니까? 그래서 제1회 인생학교 설명회 핵심 콘셉트는 "인생학교 퍼져라~ 널리 널리 퍼져라.~~" 입니다."
21세기 교육연구원 인생설계학교 기획단은 사회 전반에서 다양한 활동을 하는 활동가들로 구성됐다. 오랫동안 노동운동과 교육운동을 해 온 활동가 윤혁, 마을 공동체 성대골 이미숙 대표, 청소년 휴 카페 담쟁이덩굴 배학주 사회복지사. 사회복지과에 입학한 청년 정선호. 부모교육과 사회 부조리에 늘 관심을 갖고 살아 온 윤수애, 청소년교육학을 전공하고 오랫동안 학부모 교육 운동을 해 온 정미라. 열 살 때 캐나다에 유학해 대학 2학년을 다니다 한국에 들어와 인생학교 2기 참가 이후 청년 기획단에 참여한 신정호 등이다. 나 역시 기획단에 참여하고 있다. 이들의 면면과 바람은 사방에 흩어져 노랗게 희망의 꽃을 아름답게 피워내려는 민들레 홀씨를 닮았다.
21세기교육연구원은 지난 1월과 2월에 1기 2박 4일 44시간 인생학교와 2기 1박 2일 22시간 인생설계 학교를 진행했다. 두 번의 인생학교를 진행하는 동안 관심을 가진 성인과 학부모의 문의가 이어졌다. 그들은 '거대한 흐름으로 굳어버린 멈출 수 없는 경쟁 일변도의 시스템 속에서 개인의 힘으로 어떻게 새로운 삶을 계획하고 실천할 수 있나?' 이런 고민을 해결할 단초를 마련하는 고민하는 사람들이고 교육의 혁명의 바람을 기대하는 이들이었다.
'혼자 갈 수 없는 길에서 함께 뭉쳐 버텨낼 모임 축을 만들어 지속적으로 나아가게 해 주었으면 좋겠다'는 바람을 지닌 이들을 위해 학부모들에게 인생학교에 대한 설명회를 열기로 했다.
지난 26일 서교동에 있는 '인생학교' 강의실에서 3시간 남짓 진행된 설명회는 짧았지만 전환기 삶에 놓여 있는 청년을 둔 부모만이 아니라 참여한 모두에게 새로운 삶의 패러다임을 향한 전환을 꿈꿀 수 있는 희망의 씨앗이 되었다.
"제겐 너무 좋은 시간이었어요. 막내 학교 보내면서 아득하니 좀 불안하기도 했거든요." 오랫동안 교육 부재의 현실에 고민하다 아예 성미산으로 삶터를 옮겨 8년째 살아가고 있다는 장원희씨는 '인생학교'가 실험적으로 진행되는 것을 지켜보면서 성인인 자신에게 필요한 학교라는 생각이 들었고 많은 도움이 되었다고 했다.
심리 상담전문 간호사인 박현숙씨는 '대학생인 자녀를 독립시키고 곁에서 지켜봐주고 있다. 어떻게 해야 진정한 도움을 줄 수 있는지 답을 찾으려 설명회를 찾았다'고 말했다.
부모 행복 아카데미나 지역 YMCA 활동가, 도서관 활동가, 대안교육 활동가나 지역 센터 활동가도 함께 우리 교육의 현실을 고민하고 길을 만들어 가기 위해 설명회를 찾았다.
NGO 활동가 출신 서울시 김혜련 의원은 '이제 마을과 중앙 정부 지자체가 협력해 마을 전체가 학교로 아이들이 마음껏 꿈을 펼칠 수 있는 든든한 울타리로 제 역할을 해야한다. 지켜보며 함께 하겠다. 좋은 시간을 마련해 주어서 고맙다'고 감사의 뜻을 전햇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