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PEF, GP·LP 모두 투자 관행 개선 필요

투자구성 다양화하고 모험적인 투자방식 수반돼야

등록 2015.05.10 17:29수정 2015.05.10 17:29
0
원고료로 응원
국내 사모펀드의 규모가 매년 꾸준히 증가하며 양적인 성장을 이뤘지만, 자금 모집이나 운용방식에 있어서 선진 PEF에 비해 그 역할을 제대로 구현하고 있지 못하다는 지적이다. 연기금에 편중된 출자구조와 모험적인 자금운용을 기피하는 관행은 PEF의 활성화와 발전을 위해 타파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

7일 한국재무학회와 자본시장연구원은 '국내 프라이빗 에퀴티 산업의 발전방향'이라는 주제로 심포지엄을 열었다. 이에 따르면 국내 PEF는 지난 2004년 12월 제도가 도임된 이후 매년 성장해 지난해 등록된 PEF는 277개로, 출자 약정액 52조원을 기록하는 등 급성장을 이뤄냈다.

PEF 시장이 양적으로는 성장했지만 주요 출자액이 연기금에 편중돼 있고, 일부 운용사(GP)의 경우 트랙레코드 형성을 위해 위험을 기피하는 등 문제점도 발견됐다.

국내 PEF의 주축 출자자(LP)는 국민연금, 사학연금, 군인공제회, 정책금융공사 등 대형 연기금들이 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들 연기금의 비중은 제도 도입초기 25% 수준에서2014년 51% 수준으로 급증했다.

구체적으로 국내 PEF의 구성을 살펴보면 연기금이 51%로 가장 많고, 일반 법인 (26.2%), 금융회사(20.3%), 개인·기타(2.5%)가 뒤를 이었다. 반면 해외 PEF는 연기금이 32%로 국내보다 비율이 낮고, 기타(21%), 개인(16%), 금융회사(15%), 정부·기관투자자(7%), 대학·재단(9%) 등으로 구성돼 있는 등 국내보다 출자구조가 다양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투자 편중현상은 운용방식에도 영향을 미친다. 특히 높은 공적 연기금의 비중은 감사에 대한 우려를 불러일으키고, 이에 자금을 운용하는 GP들도 펀드를 보수적으로 운용할 수밖에 없다.

실제로 국내 PEF의 투자유형을 살펴보면 바이아웃 딜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기는 하지만, 소수지분 투자도 상당부분 차지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즉 선도 PEF를 중심으로는 경영권지분 취득 등 바이아웃 딜을 추구하지만 트랙레코드 축적을 위한 GP의 경우는 투자위험을 낮추고 회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바이아웃 보다는 소수지분 투자나 메자닌 투자에 열을 올리는 것이다.

실제로 2005년부터 2014년까지 PEF운용현황을 살펴보면 바이아웃 딜이 60.8%로 가장 많았고, 뒤이어 소수지분 투자 30.1%를 차지하고 있다.


결국 국내 PEF 시장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투자역량을 강화하고, 과도한 위험회피 경향의 완화 등이 수반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
#PEF #사모펀드 #재무학회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AD

AD

AD

인기기사

  1. 1 전국 최고 휴게소 행담도의 눈물...도로공사를 향한 외침 전국 최고 휴게소 행담도의 눈물...도로공사를 향한 외침
  2. 2 [단독] 김태열 "명태균이 대표 만든 이준석, 오라면 오고 가라면 가고" [단독] 김태열 "명태균이 대표 만든 이준석, 오라면 오고 가라면 가고"
  3. 3 1만2000 조각 났던 국보, 113년만에 제모습 갖췄다 1만2000 조각 났던 국보, 113년만에 제모습 갖췄다
  4. 4 한 박스 만원 안 나오는 샤인머스캣, 농민 '시름' 한 박스 만원 안 나오는 샤인머스캣, 농민 '시름'
  5. 5 수능 도시락으로 미역국 싸 준 엄마입니다 수능 도시락으로 미역국 싸 준 엄마입니다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