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리과정 예산 삭감 관련 신문 방송 모니터 보고서 개요
민주언론시민연합
누리과정 예산을 둘러싼 교육청과 정부 간 갈등이 깊어지고 있다. 지방 교육청은 중앙 정부가 예산을 책임져야 한다며 결단을 촉구하고 있고, 정부는 법규상 지자체와 교육청이 알아서 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는 것이다.
2013년 1월 31일 박근혜 대통령은 당선인 시절 "보육사업과 같은 전국 단위 사업은 중앙정부가 책임지는 것이 맞는 방향"이라고 말했지만 정부는 집권 3년 만에 돌변했다. 교육부가 지난 10월 시행령을 개정해 누리과정 예산을 시·도교육청의 의무 지출경비로 돌린 것이다.
하지만 시·도교육감들은 교육부가 아닌 보건복지부가 관리하게 되어 있는 보육기관(어린이집) 예산까지 시·도교육청에게 떠넘기는 것은 상위법인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의 입법 취지를 벗어난다고 강하게 문제제기했다.
12월 24일 현재 서울, 강원, 세종, 광주, 전남, 전북 등 6개 지방의회는 어린이집 과정 예산을 편성하지 않았다. 이 중 서울, 광주, 전남은 어린이집만 편성하고 유치원에만 예산을 배정하는 것은 형평성에 어긋난다며 누리과정 예산 전액을 삭감했다.
서울시는 정부가 어린이집 예산을 지원하면 유치원 과정 예산도 다시 편성하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누리과정 예산을 지방에 지원하지 않기 위해 시행령까지 바꾸는 정부의 어깃장으로 인해 내년 초부터 보육대란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그러나 이 사태를 두고 정부의 책임을 묻는 언론은 경향·한겨레·JTBC뿐이었다. 보수언론과 지상파 3사는 지자체를 탓하기만 했고 심지어 교육과 관련 없는 다른 사업 예산을 들먹이며 본질을 흐렸다.
엇비슷한 보도량, 의견기사 논조는 정반대 23일과 24일에 걸친 5개 주요 일간지의 누리과정 예산 삭감 관련 보도량은 최소 3건(동아일보)에서 최대 5건(경향신문, 조선일보)을 보였다.(<표2>참조) 그러나 엇비슷한 보도량과는 달리 보도 논조는 매체에 따라 크게 갈렸다. 특히 사설과 칼럼에서 차이가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