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드(THAAD) 유력 배치 지역으로 언론에 거론되고 있는 군산의 시민사회단체들은 지난 17일 군산 미군기지 정문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사드의 한국 배치 반대 입장을 밝혔다.
문주현
사드 배치로 모든 문제가 끝난다면 그래도 다행이겠지만 방위비 분담금 협상이란 다음 절차가 우리를 기다리고 있다. 미군은 한국 주둔의 대가로 방위비 분담금을 받아가고 있다. 지난해 한국이 미국에 건넨 방위비 분담금은 9320억 원으로 매년 상승하고 있는 추세이다.
국방부는 "사드 배치가 방위비 분담금 인상 요인으로 작용하지 않을 것"이라 주장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일 뿐이다. 미국 연방정부는 시퀘스터(Sequester)라는 제도 때문에 예산을 자동으로 삭감해야 한다. 국방 예산도 이에 포함된다. 지난 10년간 600조 원이 넘는 예산을 삭감당한 미군으로서는 한국에 방위비 분담금 증액을 요구해야만 하는 상황이다.
방위비 분담금만 부담은 아니다. 중복 예산 투입도 감수해야 한다. 사드를 배치한다는 논의가 불붙기 전까지 국방부의 기본 입장은 사드 대신 독자 기술 개발에 나선다는 것이었다. 이미 방위사업청은 2014년부터 L-SAM으로 불리는 40km 이상 미사일 요격체계 개발을 추진해오던 중이었다. "사드 도입 계획이 없다"며 독자 기술 개발을 외쳐온 국방부는 이제 "L-SAM과 사드는 체계가 다르다"고 항변하고 있다.
이처럼 국방부의 '사드앓이'가 깊어지고 있지만 이와 반대로 우려 역시 깊어지고 있다. 앞선 기사로 살펴보았듯 사드는 전자파 논란(
기사보기)에서 벗어날 수 없고, 심지어 효율성도 검증되지 않았다.(
기사보기) 이러한 값비싼 무기 체계을 한국에 배치했을 때 가장 쾌재를 부를 곳은 그럼 어디일까? 적어도 한 군데만큼은 분명하다.
활짝 열리는 동북아 무기시장...눈앞에 온 대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