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5월 새정치민주연합 최고위원회회의에서 정청래 최고위원의 '공갈' 비난 발언에 최고위원직 사퇴를 밝힌 주승용 최고위원이 문재인 대표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퇴장하는 모습. 왼쪽 부터 문재인, 주승용, 이종걸 원내대표, 정청래 최고위원.
연합뉴스
정 의원은 이후 주 전 최고위원의 지역구인 전남 여수에 찾아가 사과했다. 그러나 당 윤리심판원은 정 의원에게 당직정지 1년의 징계를 내렸고, 그는 최고위원직에서 물러나야 했다. 이후 재심에서 당직정지 6개월로 징계 수위가 낮아졌고, 다시 사면 복권 받으면서 지난해 9월 최고위원회에 복귀했다. 그리고 지난 1월 문재인 전 대표가 사퇴하면서 함께 최고위원 자리에서 물러났다.
그러나 이 같은 '막말 논란' 자체만으로 정 의원이 공천에서 탈락했다고 보기는 어렵다. 윤리심판원의 징계를 모두 마쳤고, 당사자 사이에도 사과와 수용이 이뤄졌기 때문이다. 부당한 청탁 사건이나 부정부패 사건을 일으킨 것도 아니었다. 그의 거친 언행을 '도덕성' 문제로 보기도 어렵다. 그렇다면 그의 '막말 논란'으로 인한 외부적 환경이 그의 탈락 이유가 됐을 가능성이 크다.
종편의 조리돌림과 '친노 운동권'이라는 공격김종인 더민주 비상대책위원회 대표는 취임 후 지속적으로 당내 패권주의 청산과 운동권 정당 문화 극복을 강조해왔다. 이러한 김 대표의 공언은 언론에서 그가 친노-486운동권 출신 인사를 공천 물갈이 표적으로 삼았다고 해석됐다. 여기에 정청래 의원은 거의 빠짐없이 이름을 올렸다. 종합편성채널에서는 정 의원의 막말 논란을 반복적으로 방송하며 공천 탈락 유력인사로 보도했다.
여기에 국민의당은 정 의원을 비롯해 이해찬(세종시), 이목희(서울 금천), 김경협(경기 부천원미갑), 전해철(경기 안산상록갑) 의원을 '친노패권·무능86' 세력으로 지목하고 이들 지역구에 표적공천을 예고했다. 국민의당 대부분의 의원들이 더민주의 비주류 의원으로 있을 때 대립각을 세웠던 인물들이다. 국민의당 일각에서는 이들의 공천여부를 야권연대 조건으로 내세우기도 했다.
이러한 외부적 압박은 정 의원 공천탈락에 적지 않은 영향을 줬을 것으로 보인다. 만약 정 의원이 공천을 받거나 경선에 참여하게 됐을 경우 보수 언론에서는 이를 빌미로 더민주의 공천 전반을 깎아 내릴 가능성이 컸다. 특히 지난 총선에서 김용민 후보의 과거 막말 논란이 같은 방식으로 유통되면서 선거 전반에 악영향을 끼쳤다는 평가가 정 의원 사례에도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분석된다.
그러나 실상 정 의원을 '친노'나 패권세력으로 규정하기는 어렵다. 본인 스스로도 "계파적 이해와 거리가 멀다"라고 말하기도 하지만, 실제 그의 정치행보를 보면 특정 계파라기보다는 주류를 지향하는 '아웃사이더'라고 보는 것이 온당하다. 그는 '노사모' 회원으로 활동을 하기는 했지만 이후 노무현 전 대통령과 대립했던 정동영 전 통일부 장관 측의 핵심 인사이기도 했다.
또 대학시절 운동권 경력을 가져 486인사로 분류되기도 하지만 다른 486세대 주류 인사들과는 가깝지 않다. 이들과 같은 정치적 행보를 보인 것도 아니다. 최근 문재인 전 대표와 당 지도부를 구성하면서 정 의원을 '친문'으로 분류하기도 하지만, 그는 문 전 대표의 이승만, 박정희 묘역 참배와 같이 자신의 견해와 맞지 않는 부분에서는 문 대표를 사정없이 비판하기도 했다.
당 대포 철수시킨 후폭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