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횡성여성농업인센터횡성읍에 자리한 횡성여성농업인센터. 1층엔 쌀보리공부방과 작은도서관, 보리어린이집이 함께 있다.
최소란
1980년대 농활은, 사회변혁에 눈 뜬 학생들이 농민조직과 결합하고 농촌현장에 뛰어들게 하는 계기였다. 전라도에서 자신감이 붙은 학생들이 농민운동 사각지대인 강원도로 갔다가, 빨갱이 소리 들으면서 쫓겨나 그나마 '야성' 있는 횡성에 모이게 되었다고 한다. 한영미 소장도 졸업하고 횡성에서 활동하는 남편과 1992년 결혼하면서 자연스럽게 이곳에 터를 잡게 되었다.
"당시는 현장으로 들어가는 건 당연히 운동하러 가는 거였어요. 농촌 가면 농민운동 하는 거고…. 고민할 것 없이 오면서부터 농민이었고, 농민과 함께 활동하려 했지요."공근면 마을에 들어가 꾸준한 여성농민회 활동의 결실로 2002년 횡성여성농업인센터를 열게 되었다.
"도시에서 온 사람이라, 10년 동안 말도 조심스럽고, 잘난 척해서도 안 되고, 쭈뼛쭈뼛거렸죠. 그래도 어떤 활동 해보면 좋을까, 밑에 지방 농민회 활동하는 거 보면 나는 뭐하고 있나, 고민했어요. 그러다가 센터가 생기니까, 하고 싶은 활동 하면서 사람들도 만날 수 있게 되었죠. 센터가 있기에 가능했어요." 한영미 소장 자녀들도 센터에서 함께 컸다고 한다.
"우리 애들도 어린이집에 가야 할 시기여서, 절실했어요. 농촌에 보육시설이 있어야 젊은 사람도 들어올 수 있다고, '면 단위 보육시설 확충'이 당시 전국여성농민회(전여농) 구호였어요." 그 일환으로 여성농업인육성법이 제정되어, 영유아보육사업을 할 수 있는 곳으로 센터를 기획하고, △ 어린이집 △ 방과후공부방 △ 여성농민 교육문화 △ 상담을 필수사업으로 맡았다. 처음에는 여성농업인센터를 시범사업으로 열고서 면마다 하나씩 늘려갈 계획이었지만, 지자체에서 정책을 받지 않아, 강원도에는 양구와 횡성 두 곳만 있게 되었다.
여성농업인센터에서 운영하는 보리어린이집에 막상 농업인 자녀는 많지 않지만, 대신 제대로 된 농산물로 급·간식을 주고 텃밭을 가꾸면서 농업적 가치를 가르치고 있다. 그래서 어린이집 정원 20명이 항상 차고, 부모님들도 한 번 들어오면 계속 믿고 보내준다고 한다.
"교사들이 정말 애쓰죠. 센터 교육 있을 때면 저녁에 다들 올라와서 들어요. 센터 사업은 두 배가 되고 도랑 군에서 지원 받는 9천만 원은 2002년부터 동일한데도, 자부담 들여서 10년 넘게 활동가들이 움직이면서 굳건하게 자리 잡아온 힘이 있어요."어린이뿐 아니라 어른들도 여성농업인센터를 고리로 배우고 만난다.
"부모교육 강좌를 열면 횡성에서 처음이라 40~50명씩 모였어요. 끝나고 아쉬운 사람들이 남아서 계속공부 하고 '동화읽는어른모임'을 만들었죠." 그 외에도 인형극소모임 '꼼지락', 미디어동호회 '둥지', 염색과 바느질소모임 '한땀한땀 물빛고운', 식생활강사모임 '농가먹자', 다섯 개 동아리가 매주 모인다.
"강좌 열면 읍내 사는 사람들만 찾아오는데, 그러면 홍보도 보기 어려운 언니들(여성농민)은 본의 아니게 배제되잖아요. 그래서 어떤 강좌는 언니들을 콕 집어서 불러요. 농민회에서 글 쓰고 싶어 하던 언니 서너 명만 모셔놓고 생활글쓰기 강좌 한 적도 있어요."공동경작으로 마음 모아가는 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