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직업병 문제 올바른 해결을 촉구하는 100분 토론 토론하는 다산인권센터 박진 활동가. "삼성 직업병 문제는 재난과 참사 문제로 바라보고, 민주주의의 문제, 노동자의 통제권을 통해 알권리를 가져와야 한다. 돈으로만 국한된 게 아니라 제대로 해결해야 하고 정부와 기업의 책임을 제대로 하도록 만들어야 해결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반올림
삼성직업병 문제에서 더 생각해 볼 것은 첫째, 민주주의의 문제다. 그냥 문제를 제기하고 풀어나간 것이 아니라 사건 당사자에 의해 은폐 왜곡된 문제가 있다. 이는 알권리를 억압하는 민주주의의 문제다. 발제문 중 언론보도의 흐름을 봐도 알 수 있고, 삼성이 다른 문제에서도 우리 사회 민주주의를 얼마나 훼손하는지는 잘 알려져 있다.
둘째는 노동자 알 권리를 완전히 배제한 채 입증책임을 노동자에게 씌우는 문제다. 피해자인 노동자가 무거운 부담을 지고 기업은 자유로워지며, 이에 대해 책임지는 정부도 손을 놓는다. 그러나 현대사회에서 기업은 절대로 사적 영역이 아니다. 안전보건과 공공의 문제에 관련되어 있으므로 기업의 정보는 공적영역에 속하는 것이다. 이런데도 삼성은 사적인 정보인 것처럼 하고 노동조합을 없애서 노동자들의 알 권리 주장 가능성 자체를 말살한다.
셋째, 어떻게 피해자를 대하느냐의 문제다. 세월호참사에서도 알 수 있는데 삼성도 문제제기를 해온 피해자들을 끊임없이 모욕해왔다. 사과도 그렇다. 자기가 주범인데도 마치 조력자인 척 한다. 일본의 위안부 문제 사과와 매우 비슷하다. 단지 군이 제대로 관리하지 못한 게 사과의 내용처럼 되어 있고, 군이 실제로 가해자라는 사실은 은폐된다. 삼성도 그러하다.
또한 피해자들에게 '돈 먹고 떨어져라'는 식으로 대하는 것도 심각한 모욕이라 본다. 특히 '산재를 취하하면 돈을 주겠다'는 식으로, 황유미님 가족을 비롯하여 모든 피해자들이 겪어온 일인데, 이건 돈으로 모든 걸 해결할 수 있다는 삼성 고유의 방식이기도 하다.
삼성 직업병 문제는 재난과 참사 문제로 바라보고, 민주주의의 문제, 노동자의 통제권을 통해 알권리를 가져와야 한다. 돈으로만 국한된 게 아니라 제대로 해결해야 하고 정부와 기업의 책임을 제대로 하도록 만들어야 해결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2007년 황상기 씨의 제보로 반도체 직업병 문제가 세상에 알려진 이후, 전자산업노동자의 건강과 인권을 보호하기 위하여 만들어진 시민단체입니다.
공유하기
"재난과 참사의 시각으로 삼성 직업병 문제를 보자"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