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날 산책길에서(지훈 조동탁 선생)
조지훈전집
지훈 선생과의 인연고등학교 때 '승무'를 배우면서 경이로움에 빠졌다. 우리말이 이렇게 아름다울 수 있으랴. 시선(詩仙)이 아니고서야 어찌 이런 시를 토해낼 수 있을까.
마치 그윽한 한 편의 승무를 눈앞에서 보는 듯했다. 그런 가운데 선생을 처음 뵌 것은 고2 가을이었다.
그 무렵 학교(중동고) 문예반에서 문학 특강을 열었는데 시인 조지훈, 소설가 오영수 선생을 모셨다. 그때 지훈 선생은 '승무'시작 과정을 말씀했다.
선생은 이 한 편을 쓰기 위해 2년 남짓 시유(詩瘐: 시를 창작하는 과정에서 앓는 병)를 앓으면서 최승희 춤과 김은호 화백의 '승무도'를 감상하고, 수원 용주사로 달려가서 달밤에 승무를 보고서도 완성치 못했다.
그런 가운데 마침내 구황실 아악부의 '영산회상' 가락을 듣고야 비로소 이 한 편의 시를 쓸 수 있었다는 산고(産苦)를 들려주셨다.
그때 선생의 훤칠한 체구와 시원한 음성, 굵은 뿔테 안경의 진지하신 모습은 아직도 어제 뵌 듯 또렷이 남아 있다. 마치 선생은 학(鶴)처럼 우아한 고고(孤高)의 선비 모습이었다.
그때의 만남이 인연 탓이었는지 나는 공교롭게도 선생이 계시는 고려대학교 국어국문과에 진학케 되었다.
대학 입학 후 신입생 환영회 때, 지훈 선생이 먼저 막걸리 한 바가지를 들이키신 뒤 신입생 모두에게 돌렸다. 나는 그 바가지의 막걸리를 호기 있게 마신 다음 그대로 쓰러졌기 때문에 선생의 멋들어진 농무(農舞) 춤사위를 다시 보지 못한 아쉬움을 남겼다.
선생이 천수를 다 누리지 못한 까닭 가운데 하나도 자주 제자들과 밤새워 마신 술 탓이라고 할 만큼 당신은 술과 제자를 좋아하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