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한산성 서문인조가 홍타이지에게 항복하기 위해 나섰던 문이다
이정근
척화파와 주화파의 갑론을박에 임금의 귀는 주화파에 솔깃했습니다. 인조가 주화파의 손을 들어준 결정적인 계기는 주화파와 청나라 진영 간에 벌어진 강화협상에서 자신을 죽이지 않고 살려준다는 밀약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결국 인조가 서문을 나와 삼전도에 마련된 수항단에서 청나라 황제 홍타이지에게 세 번 절하고 절할 때마다 세 번 이마를 찧는 삼배구고두를 행하고 항복했습니다.
목숨을 구걸한 인조는 창경궁으로 들어갔고 산성에서 저항하던 군사들은 두 손이 묶인 채 심양으로 끌려갔습니다. 그 것뿐만이 아닙니다. 청나라 군사는 보이는 대로 약탈했고 여염집 부인까지 끌어갔습니다. 정확한 통계는 없습니다만 대략 70~80만 명이 끌려갔다고 추정하고 있습니다.
심양으로 끌려간 부녀자가 탈출하여 1700리 머나먼 길을 산넘고 물건너 죽을힘을 다해 조국으로 돌아오면 '환향녀'라고 내쳤습니다. '몸을 더럽혔다' 고 '환향년'이라 멸시했습니다. 지들이 힘이 없어 지켜주지 못한 여자들이 곤욕을 치렀는데 감싸주기는커녕 여자들을 내쳤습니다. 이것이 조선 사대부들이었습니다.
항복하기 이틀 전, 행궁에서 어전회의가 열렸습니다. 국무총리에 해당하는 영의정 김류가 홍서봉, 이홍주와 입시하여 "홍익한 한사람만 내주면 적이 화친을 허하지 않을 것이니 예조판서 김상헌, 이조참판 정온, 전 대사간 윤황의 아들 윤문거, 오달제, 윤집, 김수익, 김익희, 정뇌경, 이행우, 홍탁 등 열 명을 적진에 보내자"라고 제안합니다.
'청나라 사신이 한양에 들어오면 목을 베어 명나라에 보내자'고 주장했던 홍익한은 극렬한 반청분자로 낙인찍혀 청나라에서 압송을 요구한 인물이지만 그 밖의 인물은 청나라에서 요구하지 않았는데 헌상하자는 것입니다. 결국 윤집, 오달제로 낙찰됩니다. 전쟁에 책임을 지고 적진으로 잡혀갈 사람들은 다 빠지고 제일 어린 사람들만 뽑아서 희생시킵니다. 이 때 윤집 31살, 오달제 28살이었습니다.
전쟁은 참혹합니다. 전쟁이 나면 희생되는 것은 부녀자와 아이들입니다. 66년 전 6월 25일. 38선이 터졌습니다. 탱크를 앞세우고 물밀 듯이 내려오는 북한군의 위세에 국민들이 불안해하자 이승만 대통령은 '걱정하지 말라. 정부가 국민을 지켜줄 것이다.' 라는 녹음을 하고 본인은 한강을 건너 서울을 빠져 나갔습니다. 그 후, 한강 다리는 국군 공병대에 의해 폭파되었고 정부를 믿었던 서울 시민들은 서울에 갇혀 고난을 겪었습니다.
서초동 외교안보연구원에는 흉상이 하나 있습니다. 서희입니다. 993년, 요(거란)나라가 80만의 군사를 일으켜 고려로 쳐들어 왔습니다. 송나라와 관계를 끊고 거란을 섬기라는 요구였습니다. 송과 손을 잡고 있는 고려를 자신들의 편으로 돌려 놔야 송과의 전면전에서 배후를 안정시킬 수 있다고 판단한 것입니다.
"압록강 안팎도 우리 땅인데, 지금 여진이 그 중간을 점거하고 있어 육로로 가는 것이 바다를 건너는 것보다 왕래하기가 더 곤란하다. 그러니 국교가 통하지 못하는 것은 여진 탓이다. 만일 여진을 내쫓고 우리의 옛 땅을 회복하여 길을 통하게 한다면 어찌 국교가 통하지 않겠는가?"
서희의 말에 거란군은 철군했고 고려는 압록강 동쪽 280여 리의 영토를 받았습니다(강동6주). 싸우지 않고 거란의 대군을 돌려보내고 영토까지 얻었습니다. 이것이 외교의 힘입니다.
우리나라는 지정학적으로 강대국에 둘러싸여 있습니다. 대륙의 지각변동에 촉각을 세우지 않으면 생존에 위협을 느낍니다. 원-명 교체기. 만주는 무주공산이었습니다. 이때를 놓치지 않고 정도전이 '요동정벌론'을 선제적으로 흘려 명나라의 압박을 벗어났습니다. 명-청 교체기에도 국제감각을 가진 사람이 있었다면 병자호란은 피할 수 있는 전쟁이었습니다.
세월이 흘러 2016년. 지금 우리는 선택지를 강요당하고 있습니다. 사드입니다. 서희같은 출중한 인물이 그리워지는 시대입니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댓글4
사실(事實)과 사실(史實)의 행간에서 진실(眞實)을 캐는 광원. <이방원전> <수양대군> <신들의 정원 조선왕릉> <소현세자> <조선 건국지> <뜻밖의 조선역사> <간신의 민낯> <진령군> <하루> 대하역사소설<압록강> <병자호란>을 펴냈다.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