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물머리남강이 흘러들어 낙동강과 합치는 두물머리는 함안에서 보면 정면으로 가장 넓게 창녕군이 자리하고, 왼쪽으로 조금 빗겨 의령군이 자리하고 있다.
정덕수
오래전부터 아라가야에 대해 그 연원이 궁금해 국립국어원의 자료까지 찾아봤다. 그곳에서 '일부 자료에서 淵(연)을 아라로 표기한 것을 보아 연못이나 강의 순우리말로 보기도 한다'고 확인했다.
창녕과 의령, 함안을 강줄기가 나누는 지점에 위치했던 함안지역이 아라가야로 통했던 것은 바로 그 강에 기대어 문화를 꽃피운 이들이란 의미는 아니었을까. 또 다른 의미로는 보다 더 오랜 역사를 거슬러 가장 기본적인 언어의 형성과정에서 수메르인들이 이주를 해야되었던 시대에 주로 이야기되는 건국설화들을 바탕으로 '아'는 그대로 '알'을 의미하고, '라'는 '태양신'을 의미하는 것으로 그만큼 태양과 가장 가깝게 소통하는 왕이 다스리던 나라라는 의미로 쓰였을 수도 있다.
마침 7월 29일과 30일 이틀간 함안을 둘러 볼 기회가 생겨 흔쾌히 응답하고 나섰다.
27일 서울 인사동에서 중복을 맞아 양양에서 특별히 준비한 미꾸라지와 송이버섯으로 좋은 분들과 함께 시간을 보냈다. 그리고 11시가 넘은 시간 다음 날 일정을 시작하기 좋은 장소로 자리를 옮기려고 나선 것이 화근이라 카메라를 분실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자정을 조금 넘겨 정신을 차린 뒤 이리저리 확인했으나 이미 사라진 카메라를 찾을 길이 없어 경찰에 신고를 했다. 그러나 경찰도 형식적으로 "이곳엔 CCTV가 없어 찾기 어렵습니다"란 말만 하고 떠났다.
카메라는 잃어버렸어도 약속한 일정은 어쩌겠는가. 스마트폰으로라도 일정을 소화할 생각으로 마산으로 갔다. 찾을 수 있다는 믿음을 버리지 않았지만 많은 이들이 이미 촬영을 하는 중간에도 누군가에게 도난을 당하는 사건들이 발생한다는 걸 알기에 시간을 허비하여 약속을 어길 수는 없는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