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안전처가 지난 7월 5일 밤 8시 33분 울산 앞바다에 지진이 발생하자 17분이 지나 발송한 재난 문자. 국민안전처는 최초 문자에서 날짜를 잘못 표기해 6분 뒤 수정 문자를 발송했다.
정민규
12일 밤 지진에서도 국민안전처의 긴급재난문자는 지진 발생 후 10분이 지나서야 전달이 됐다. 이는 긴급재난문자 발송 과정의 복잡함에서 기인한다. 지금의 긴급재난문자 발송 체계는 기상청이 지진을 감지하면 이를 국민안전처에 넘겨 진도와 지역을 분석하고 긴급재난문자 문구를 쓴 다음 송출하는 단계를 거친다. 한시가 급한 긴급재난 상황과는 어울리지 않는 시스템이다.
반면 일본의 지진 재난 문자는 훌쩍 앞서가 있다. 지진 발생 지점에서 일정 거리 떨어진 곳에서는 지진동이 느껴지기 이전에 재난문자가 먼저 도착해 대피할 시간을 벌기까지 한다. 이는 지진파의 특성을 이용하기에 가능하다.
지진은 크게 P파와 S파로 나뉜다. P파는 지진이 났을 때 발생하는 초기 파동으로 초속 7km로 비교적 빠르고 흔들림이 적다. P파에 이어 전달되는 S파는 초속 4km가량으로 속도는 느리지만 진동을 동반하고 있어 직접 시설물에 피해를 줄 수 있다. 지진으로 인한 피해는 바로 이 S파에서 집중적으로 발생한다.
일본은 바로 이 두 지진파의 시차를 이용해 먼저 도착하는 P파를 재빨리 감지하는 방식으로 조기 경보를 하고 있다. 지진파가 감지됐을 때 전달하는 긴급 지진속보는 곧장 일본의 주요 기관은 물론 시민들에게 전달된다. 이에 따라 시민들은 급히 몸을 피하거나 지진에 대비 할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하게 된다.
일본에서 유학 생활을 한 바 있는 최성원(33)씨는 "한국에서 지진을 경험하며 많이 차이를 느낄 수 있었다"면서 "일본은 체계화된 안전망을 구축하고 있다는 느낌을 받았는데, 한국은 여전히 일단 닥치면 해결하고 보자는 생각을 하는 것 같다"라고 꼬집었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댓글16
공유하기
지진보다 먼저 오는 일본 재난문자, 뒷북치는 한국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