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철도 파업은 공공성 지키기 위한 파업"

[인터뷰④] 파업투쟁에 나선 철도해고노동자 서재열씨

등록 2016.11.04 16:32수정 2016.11.04 16:53
1
원고료로 응원
파업투쟁에 나선 철도 해고노동자 서재열씨 철도노조 상근간부로 활동하고 있는 그를 만났다.
파업투쟁에 나선 철도 해고노동자 서재열씨철도노조 상근간부로 활동하고 있는 그를 만났다.김병준

철도노조 파업 투쟁 38일차를 맞이하는 11월 3일. 철도청에서 일하다 해고당한 서재열씨를 만났다. 서재열씨는 1986년 철도청에 입사 후 철도 민주노조 건설 투쟁을 하면서 노조 활동을 시작했다고 한다. 그 이후 1994년 파업 투쟁 건으로 대전에서 강원도 정선으로 전출되어 가족과 떨어져 강원도에서 일하다가, 2003년 파업 때 결국 해고당했다고 한다.

"2001년 정부의 철도민영화 추진은 공공철도를 지향하는 철도노동자의 강력한 저항에 직면하였고, 철도청(현 철도공사)와 철도노조는 2003년 4월20일 철도 민영화를 철회하고 공공성을 강화하는 합의서를 만들었어요. 특히 '열차 안전에 밀접한 관련이 있는 유지보수 기능 등은 운영부문과 통합하는.....' 합의를 작성하였고, 향후 철도 계획은 사회적 합의를 거쳐 추진하는 것으로 합의하였으나, 철도청은 일방적으로 유지보수 기능에 대한 분리를 추진하게 되면서 철도노조의 철도 안전지키기 파업이 시작된 거죠."

그의 말에 따르면 2003년 파업은 철도민영화 철회를 약속했던 정부와 공사측이 일방적으로 민영화를 추진하면서 발생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때부터 '민영화'에 대한 사회적 논의가 불붙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국민의 안전을 우선하는 공공철도 건설 관련 합의를 하였으나 이행하지 않고 일방적으로 안전업무를 분리하려는 정부와 철도청에 대한 철도 현장의 분노가 파업으로 이어졌죠."

2003년 6월 당시 철도노조 중앙에서 간부로 일하고 있었던 그는 그렇게 파업에 참여했다. 철도노조의 파업 투쟁은 지금도 그렇고, 이전에도 그렇고 항상 국민의 안전과 철도의 사회공공성을 지키기 위한 투쟁이었음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는 이야기다.

"파업 시작한 지 하루만에 대국민 담화문이 발표되고, 경찰들이 들이닥쳤어요. 당시 나는 고려대 조치원캠퍼스 있었는데 경찰들 침탈에 주욱 밀려서 기관사들은 산개투쟁으로 전환하고, 우리는 민주노총 대전본부에서 모여서 투쟁을 이어나갔어요."

과거를 회상하는 그의 표정에는 괴로움이나 아쉬움이 아닌 자긍심이 엿보였다. 자신들의 투쟁이 틀리지 않았음을, 철도 민영화가 재앙이 될 것임을 이제는 모든 시민들이 공감하고 있다는 것에 대한 자긍심이 그를 뿌듯하게 만들어주고 있는 듯하다.


"이후에 철도노조에서 해고노동자들 대한 구호 사업이 진행되었고 지금은 철도노조 상근자로 활동하고 있는 것이고요."

철도노조 대전지방본부 앞 현수막 "함께 갔다 함께 온다"는 말이 인상적이다.
철도노조 대전지방본부 앞 현수막"함께 갔다 함께 온다"는 말이 인상적이다.김병준

파업 투쟁 해고 이후 생활 문제를 물어보니 당연하다는 듯이 노동조합을 이야기한다. 노동조합에서 조합활동에 전임하는 상근자로 해고노동자들을 채용했고, 이를 통해 생활하며 노동조합 활동을 계속 하고 있다는 것이다.


"공공철도를 지키기 위해 투쟁했으니 당연히 철도노동자의 의리로 함께 책임져야지요. 그 이후로도 투쟁도 많이 하고, 해고자도 많이 발생했지만, 대부분 지금까지 함께 활동하고 있어요. 그게 지금의 철도노조의 힘이 아닐까 생각도 들고요, 함께 갔다, 함께 온다."

철도노조 대전지방본부 앞에 걸려 있는 현수막의 구호를 다시금 되내이는 그의 모습 속에, 투쟁을 시작할 때도, 다 함께 시작하고, 피해가 발생된다고 하더라도 함께 책임지겠다는 철도노조 조합원들의 굳은 결심이 읽힌다.

"이번 파업 투쟁도 결국 민영화를 막아내고, 공공성을 지키는 투쟁과 다르지 않다고 생각해요. 성과연봉제라는 것은 결국 사회공공재의 성격이 강한 철도에 '이윤'이라는 이름의 독소를 뿌리내리려는 것이고, 이는 결국 민영화로 이어지든지, 민영화된 것과 똑같은 효과를 내던지 둘중에 하나가 되겠지요."

공공부문이 '이윤'을 내기 위해서는 결국 요금을 올리거나, 서비스의 질을 낮추거나, 정비를 게을리하는 등, 국민의 불편을 야기할 수밖에 없다고 주장하며 이는 결국 민영화와 다름 아니라는 주장이다.

"철도노조가 파업을 하는 이유는 철도의 공공성 확보와 협업을 중심으로 하는 철도현장에 성과연봉제 도입은 사고은폐로 이어질 것이고 이는 대형사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그리고 당연히 조합원들의 정신적 스트레스는 현장을 피폐회 시킬것입니다. 철도를 직장을 을 지키겠다는 이유 하나 뿐이에요. 그건 2003년에도, 2009년에도, 2013년에도, 그리고 2016년에도 마찬가지에요."

철도노조의 지난 파업 투쟁과 마찬가지로 이번 파업 투쟁 또한 '사회공공성 강화'라는 큰 대의 아래 진행되고 있고, 앞으로도 그럴 것이라는 이야기다.

"사회공공성은 공공부문이 당연히 지키고, 강화해야하는 것인데, 이를 민간에 내맡기거나, 팔아버리는 것은 제대로 된 정부가 할 일이 아니지요. 특히 대전 같은 경우 지금 '상수도 고도정수처리시설'을 민간 위탁하겠다고 하고 있는데, 이도 결국 민영화의 한 단면이 될 거라고 생각해요."

수돗물 민영화 중단 1인시위 매일 시청 앞에서 1인시위를 진행중이라고 한다.
수돗물 민영화 중단 1인시위매일 시청 앞에서 1인시위를 진행중이라고 한다.서재열

그는 현재 '민영화저지 대전공동행동 상황실장'을 맡고, 철도 뿐 아니라 다른 공공부문에서 진행되고 있는 민영화를 막아내기 위한 투쟁을 진행하고 있다. 대전광역시에서 진행하고 있는 '상수도 민간위탁'을 '상수도 민영화'라고 규정하고 이를 막아내기 위한 투쟁도 함께 하고 있다고 한다.

"상수도 민영화 저지 투쟁은 국민들이 철도민영화 반대 투쟁을 지지했듯이 지지할 투쟁이이라고 생각해요. 철도노조가 강조하고 있는 사회공공성 강화라는 대의와 같은 투쟁이고요, 철도만 민영화를 막아내면 되는 것이 아니라, 공공부문에서 진행되고 있는 모든 민영화를 저지하는 것이 필요한 거지요. 그것이 바로 민영화 저지 투쟁이고요."

철도노조의 조합원들은 결국 철도를 지키는 투쟁 뿐 아니라 사회공공성을 지키는 많은 투쟁에 함께 하고 있다고 한다.

"국민들의 지지와 응원 덕분에 파업 투쟁을 계속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그런 지지와 응원을 계속해주기를 바랍니다. 그리고 대전 시민들은 특히 상수도 민영화 투쟁에도 함께 해주셨으면 좋겠고요. 사회공공성 강화는 결국 우리의 삶 뿐 아니라, 우리 후손들의 삶을 지키는 가장 중요한 투쟁 중에 하나니까요."

국민들에게 전달하고 싶은 그의 마지막 이야기 또한 '사회공공성 강화'라는 이야기였다.

철도의 공공성을 지키는 것이 목적인 2016년의 철도 파업. 성과연봉제라는 미명 아래 감춰진 '이윤창출'이라는 날카로운 발톱을 꿰뚫어 보고 있는 그들의 혜안이 부럽다. 철도노조는 동료를 지키기 위해, 국민의 발인 철도를 지키기 위해, 그리고 공공부문 민영화를 막아내 우리 후손들의 삶까지 지키기 위해 오늘도 투쟁을 이어가고 있다. 그들의 투쟁은 조합원들만을 위한 것이 아닌, 우리 모두를 위한 투쟁이다.
#철도 파업 #민주노총 #철도 #철도노조 #공공성
댓글1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노동, 통일, 사회문제에 관심을 갖고 있습니다.


AD

AD

AD

인기기사

  1. 1 사유화 의혹 '허화평 재단' 재산 1000억 넘나 사유화 의혹 '허화평 재단' 재산 1000억 넘나
  2. 2 중학교 졸업여행에서 장어탕... 이건 정말 '세상에 이런 일이' 중학교 졸업여행에서 장어탕... 이건 정말 '세상에 이런 일이'
  3. 3 보수논객 정규재 "이재명 1심 판결, 잘못됐다" 보수논객 정규재 "이재명 1심 판결, 잘못됐다"
  4. 4 남자선배 무릎에 앉아 소주... 기숙사로 가는 내내 울었다 남자선배 무릎에 앉아 소주... 기숙사로 가는 내내 울었다
  5. 5 이런 곳에 '공항'이라니... 주민들이 경고하는 까닭 이런 곳에 '공항'이라니... 주민들이 경고하는 까닭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