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방 후 일본군 조병창에 주둔한 주한미육군참모본부(에스컴).
김영숙
인천, 군수기지화의 핵심지역 오늘 주제가 '군수기지화'다. 1930년대는 조선총독부가 식민지 공업화 정책을 본격화할 때다. 일제는 1931년 만주사변부터 1937년 중일전쟁 전까지는 모든 공업이 전쟁에서 이겨야 하는 데 종사해야 한다는 생각을 했다. 모든 기업이 정부정책에 맞춰 알아서 눈치껏 행동했다. 가령 고무신을 만드는 공장은 군화를 만드는 공장으로 변모했다.
그러다 1930년대 후반에는 군수물자가 아닌 직접 무기생산이나 부품생산 또는 무기와 관련된 공업(철강, 금속, 주물, 기계 등)으로 전환한다. 일제는 중일전쟁이 일어나고 2년 뒤인 1939년에 부평에 조병창을 건설했다.
1930년대 초에는 조선총독부에서 조선의 공업화를 일본을 보조할 정도의 생산력만 갖추면 된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일본이 만주사변으로 중국대륙을 침략하면서 닛산 등의 일본 기업이 만주로 진출했다. 조선총독부는 그때부터 조선의 병참 기지화를 고민했다.
일본이 두려워했던 나라는 러시아다. 러시아와 최후의 전쟁을 벌이려고 했다. 그걸 담당하는 게 관동군이었다. 러시아와 싸울 수 있는 병참기지를 조선에 만들어야 했다. 그 결과물이 조병창이다. 조병창은 연구할만한 가치가 있다. 그러나 인천의 조병창 관련 논문이 한 편도 없다. 연구가 필요하다.
모든 것을 조병창에서 다 만들진 않았다. 하청을 주기도 했다. 부평의 역사가 파란만장하다. 자동차산업의 시발지가 부평이다. 현 한국지엠에서 당시 군용트럭을 만들었다. 1940년대 초반이라 기술이나 원료의 한계가 있어, 대량생산을 하지는 못했다. 그때 일했던 사람들이 해방 후에도 남아서 자동차 1세대 엔지니어가 됐다.
인천의 군수 기지화는 인천 조병창으로부터 시작됐다. 1930년대 우리나라에 광산 개발 붐이 일었다. 금광은 물론 군수물자로 사용하는 마그네사이트 등, 특수 광물로 확대됐다. 당연히 채굴하는 기계들의 수요가 많았다.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공장이 인천의 조선 기계제작소다. 이때부터 급속도로 군수 병참 기지화가 진행된다.
전 지역에 군수 공업화가 이뤄지는데 인천은 조병창이 있어서, 특히 군수 공업화라고 보기보다는 군수 병참기지로 보는 게 합당하다. 조병창은 1939년 건설돼 1941년부터 가동됐다. 그때부터 청장년을 모아 교대로 합숙시켜 일하게 했다.
강제징용, 지금에라도 철저히 조사하고 기록해야강제동원을 처음부터 했던 건 아니다. 초기에는 공장을 설립하니까 인근 지역에서 노동하려고 많은 사람이 몰렸다. 태평양전쟁이 발발하고 나서는 군수공장에서 일하는 사람은 나갈 자유가 없이 다른 명령이 있을 때까지 계속 일해야 했다. 전쟁터에 끌려가서 죽는 것보다 고국에서 징용된 게 더 낫다고 생각해, 징용자가 많아지기도 했다. 다양한 해석이 존재한다.
갑자기 노동자가 많이 모이니까 주거문제가 생겼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부평 삼릉의 미쓰비시 줄 사택, 동구 만석동 쪽방촌, 부평 신촌 등의 조병창 사택이 생겼다.
징용이 얼마나 됐는지 기록으로 남아있는 건 없는데 강제징용자의 증언에 의하면 2만여 명이라는 말이 있다. 최근 인천대 교수의 연구발표를 보면, 1만 명으로 밝혀지기도 했다. 노무현 정부 시절에 '대일항쟁기 강제동원 피해조사 위원회'가 설치되고 140여 명이 신고했다. 훨씬 전에 해야 했다. 세월이 많이 지나 자식들이 부모의 징용 사실을 몰라 신고하지 못했다. 학자로서 부끄럽다. 지금부터라도 철저히 조사해 기록해야 한다. 이들을 기리는 작업은 일회성 행사가 돼서는 안 된다.
조선 기계제작소에서 처음에는 민간 광산용 기계를 만들다가 군수용 부품을 만들었다. 나중에는 잠수함 만들었다. 결론적으로 말해 인천이 급속히 군수 기지화가 된 것의 시작은 조병창 건설이다. 관련해서 회사가 설립됐고, 기존 회사들도 하청을 받아 군수공장이 됐다. 단기간에 이뤄졌다. 중심지는 조병창이 있던 부평이었고, 동구 만석동 조선 기계제작소 등으로 벨트가 형성됐다.
인천 조병창이 해방 후 에스컴(ASCOM. 부평미군기지)이 됐다. 해방 후에도 오랫동안 인천은 군수기지 역할을 했다. 일제강점기 사택들은 기지촌으로 바뀐 어두운 역사가 있었다. 감추는 게 능사가 아니다. 역사의 밝고 어두운 면을 다 밝혀야 한다. 판단은 그 세대가 한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공유하기
"일제강점기 강제징용, 지금에라도 철저히 조사하고 기록해야"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