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48년 10월 23일, 여순사건을 진압하기 위해 진압군이 투입됐다. 해군 LST함이 여수앞바다 선상에서 시내를 향해 무자비한 박격포 공격을 하자 여수시내가 불타고 있는 모습. 그 모습을 군인들이 지켜보고 있다.
주철희 제공
하지만 여수에는 '찬란한' 이순신만으로 규정되기에는 슬픈 현대사가 서려 있다. 70년이 다 되도록 진실규명은커녕 사실조차 입 밖에 내기 꺼리는 참혹한 역사를 품고 있는 고장이기 때문이다. 여수는 제주에서 일어난 '4.3 항쟁'을 진압하라는 미 군정과 이승만의 출동 명령을 거부하며 미군 철수와 통일 정부 수립의 기치를 내걸고 시작된 '여순 사건(여수·순천 사건)'이 발화된 곳이다.
여순 사건은 당시 여수에 주둔한 14연대 내 소수 좌익계 군인들에 의한 항명 사태로 시작되었다. 이내 여수와 순천을 비롯한 전라남도 동부 지역으로 세력을 넓혔지만, 불과 8일 만에 진압되고 일부는 지리산과 백운산 등지로 숨어들었다. 그들은 6.25 전쟁이 끝난 이후까지도 토벌군과 맞선, 이른바 '빨치산'의 원조 격인 셈이다.
여순 사건이 엄청난 규모의 양민 학살로 비화한 것은 진압이 종결된 뒤다. 수개월 동안 부역자를 색출한다는 명목으로 무고한 양민들이 숱하게 학살됐다. 당시 공표된 '남녀 아동까지 일일이 조사해 불순분자를 다 제거하라'는 이승만의 무시무시한 담화문은 이를 더욱 부채질했다. 그에게 중용된 친일 경찰들은 물 만난 고기 마냥 온갖 불법을 자행했고, 그럴수록 학살된 양민의 수는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만 갔다.
이른바 '손가락 총'으로 부역자를 가려내고 즉결 처형하였으며, 학살 후 수백 명의 시신을 기름을 끼얹어 불로 태우는 만행조차 서슴지 않았다. 심사를 기다리는 군중이 보는 앞에서 날 선 일본도로 부역자로 지목된 이의 목을 벤 '백두산 호랑이' 김종원의 만행은 지금까지도 지역민들의 입에서 입으로 회자되고 있다.
무자비한 양민 학살은 이후 6.25 전쟁 중 수많은 보도연맹원 학살로 이어졌다. 여수의 경우, 그들을 먼바다로 끌고 가 수장시켰다는 증언까지 잇따르고 있다. 그러나 당시 얼마나 많은 사람이 죽었는지조차 아직 정확히 밝혀진 바 없고, 여태껏 '빨갱이'라는 낙인 속에 '반란 사건'으로 규정되며 거론하는 것조차 금기시되어 진실규명이 요원한 상태다.
1948년 10월 19일에 일어난 여순 사건은 그해 12월 서슬 퍼런 국가보안법 제정으로 귀결되고, 대한민국을 철저한 반공 국가로 자리매김하는 데 변곡점이 된다. 이듬해인 1949년 한 해 전국의 교도소 수감자 중 70%가 국가보안법 위반자라는 통계만 보더라도 여순 사건이 미친 영향을 얼마나 컸는지 짐작하고도 남음이 있다. 이후 '빨갱이'라는 굴레는 지금까지도 연좌제처럼 남아 양심과 사상의 자유를 옥죄고, 이유 없는 공포를 안기는 무소불위의 힘을 갖는 단어가 되었다.
참여정부 시절인 2005년, '진실과 화해를 위한 과거사 정리 위원회'가 발족하여 여순 사건에 대한 조사가 진행되었지만, 별다른 성과 없이 마무리되고 말았다. 우선 활동 기간이 짧았고 권한이 크지 않았던 탓이다. 하지만 관련 사료가 충분치 않은 데다 증언과 해석이 사람마다 분분하고 유적마저 대부분 사라지거나 훼손되었기 때문이기도 하다.
현재 여순 사건의 현장에는 스테인리스로 된 안내판만 덩그러니 세워져 당시의 참혹했던 상황을 증명하고 있을 뿐이다. 사건 발생 58년만인 지난 2006년 전라남도 순천에 희생자 위령탑을 시작으로 인근 지방자치단체에 위령 시설이 하나둘씩 세워지곤 있지만 아직 갈 길이 멀다. 그것이 사람들의 기억과 성찰을 이끌어내기에는 한계가 분명하기 때문이다.
더 늦기 전에 망각에 맞서야 한다. 우선 개발이라는 이름으로 하루가 멀다고 사라지고 훼손되는 유적을 찾아나서는 노력부터 시작되어야 한다. 그곳에 잊지 말아야 할 역사가, 그것도 망각이 강요되어 온 참혹했던 역사가 남겨진 터라면 더더욱 그러하다. 뜻 맞는 지인들과 함께 부러 남녘 바다 여수로 답사를 떠나려는 이유다.
거창하지만, 이번 답사는 그렇듯 미루어진 여순 사건의 진실규명을 요구하는 작지만 의미 있는 한 걸음이라 자부한다. 충무공 이순신과 '여수 밤바다'로 치장된 화려한 여수 관광에 맞선, 이른바 '다크 투어리즘'의 일환이다. 주말 우리는 남녘의 내로라하는 관광지, 전라남도 여수로 떠난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댓글
잠시 미뤄지고 있지만, 여전히 내 꿈은 두 발로 세계일주를 하는 것이다.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