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대왕(1397~1450)
김덕영
세종은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공법 개혁이 주요 지주들이었던 관료들의 반대에 부딪치자 직접 백성들의 의견을 물어보자는 생각에 이른다. 왕이 곧 절대 권력이었던 조선시대에 이미 세종은 백성들을 공론화 과정에 참여시킨다. 세종은 재위 12년 공법의 찬반 여론조사를 무려 5개월에 걸쳐 진행했다. 양반 관리들뿐만 아니라 전국의 모든 백성들에게까지 묻도록 했다. 그 결과 찬성은 9만8657명이었으며, 반대는 7만4149명이었다. 총 17만2806명으로부터 여론을 수렴한 것이다.
대단위의 여론조사 이후 세종 20년에는 공법을 시험적으로 실시하기에 이른다. 경상도, 전라도 양민 중 공법 찬성을 하는 비율이 3분의 2가 되자 1차 시험 공법을 실시한다. 그야말로 활발한 공론화, 끊임없는 토론 그리고 시범사업까지 모든 민주적 절차를 거친 셈이다. 15세기 조선은 가장 민감한 세금의 문제를 놓고 오늘날 민주주의 사회에서도 하기 힘든 숙의민주주의의 합리적 절차를 집요하게 밟은 것이다. 결국 세종 공법은 재위 26년 만에 최종 제정되었다.
세종 공법의 골자는 고을 수령의 재량권에 크게 의존하는 기존의 답험손실 과세 방식을 전면적으로 개편하여 정액세제인 공법으로 전환한 것이다. 공법은 정액세제의 단점을 보완하여 전분6등법과 연분9등법을 핵심으로 만들어졌다. 즉, 토지를 비옥도에 따라 6개의 등급으로 나누고, 다시 그 해 농사의 풍흉에 따라 9개 등급으로 나누어 차등 있게 세액을 산정하고 징수하게 한 것이다.
"진실로 과세 방식은 금액에 못지않게 중요하다. 무거운 짐도 잘 실으면 말이 거뜬하게 운반할 수 있지만 가벼운 짐도 잘못 실으면 말에게 큰 고통을 줄 수 있다. 적절한 방식으로 부과하면 별 어려움 없이 부담할 수 있는 조세도 잘못 부과하면 국민을 궁핍하게 하고 부의 생산력을 파괴할 수 있다." - <진보와 빈곤> 396쪽 세금을 어디에서 어떻게 걷느냐의 문제는 오늘날의 사회에서도 여전히 중요하다. 세금의 성격에 따라 민생의 질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헨리 조지가 생각한 좋은 세금의 기준은 중립성, 경제성, 투명성, 공평성이다. 중립성은 세금이 경제 자체를 위축시키지 않아야 한다는 원칙이고, 경제성은 조세 징수 과정이 간명해야 한다는 원칙이다. 투명성은 조세 징수 과정이 투명해야 한다는 원칙이고, 공평성은 사회의 혜택에 비례해서 부담을 지게 하는 원칙이다.
15세기 세종이 공법을 시행하는 과정은 오늘날 합리적 세금의 원칙에 비추어볼 때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우선 공법 개혁을 통해 세금 징수 과정이 명료해져서 관료의 무분별한 재량권을 제한할 수 있었고 확실한 기준과 체계화를 통해서 누구도 납득할 만큼의 투명성이 확보되었다. 무엇보다 수확량에 비례하는 기준을 제시함으로 공평한 과세를 지향했다. 또한 이 과정이 끊임없는 토론과 숙의의 연속이었으며 지방단위에서의 시범실시를 거쳤다는 점도 인상적이다.
각종 개혁 현안 가운데 가장 갈등이 치열하고 어려운 문제가 오늘날도 역시 세금 문제이다. 더군다나 국민 대다수의 자산 80% 이상이 잠식되어 있는 부동산에 대한 세금 여부는 언제나 초미의 관심사이다. 숙의민주주의를 지향하는 문재인 정부는 세종의 민주적 세금 개혁의 길에서 새로운 가능성의 길을 발견할 수 있을까. 무엇보다 당사자인 깨어있는 시민들의 관심과 토론 그리고 참여가 있을 때 의미 있는 개혁은 가능할 것이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희년은 이 땅의 모든 생명이 존엄하다는 믿음으로 태어나면서 모두에게 주어진 토지권과 주거권을 보장하는 정신입니다. 희년정신을 한국 사회에 전파하기 위해 토지배당, 기본소득 운동을 하고 있습니다. 희년함께 희년실천센터장입니다.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