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민 의원20일 오후 김종민 더블어민주당 의원이 토지보유세제 개편방안, 적폐청산, 개헌, 6.13 지방선거, 언론 문제 등과 관련해 인터뷰에 응했다.
김철관
김종민 국회의원이 저성장과 사회양극화를 해결을 위해 "국공립 소유지 확대와 토지 보유세제 개편을 마련해야한다"고 강조했다.
더불어민주당 김종민 의원은 20일 오후 국회의원회관 사무실에서 한국인터넷기자협회와 부동산(토지) 보유세제 개편방안, 적폐청산, 개헌, KTX 논산훈련소역 설치, 6.13 지방선거 등 현안과 관련해 두 시간 가량 인터뷰를 했다.
충남 논산·계룡·금산이 지역구인 더불어민주당 김종민 의원은 <시사저널>, <내일신문> 기자 출신으로 노무현 대통령 참여정부 청와대 대변인과 국정홍보기획비서관, 충청남도 정무부시장을 역임했다. 현재 20대 국회에 입성해 국회기획재정위원회 위원, 헌법 개정 및 정치개혁 특별위원회 위원과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원회 부의장, 적폐청산위원회 위원, 혁신성장추진위원회위원, 을지로위원회 위원 등을 맡아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다.
먼저 김종민 의원이 가장 심혈을 기울이고 있는 부동산 불평등 해소를 위한 보유세제 개편 방안의 중요성과 구체적인 방안에 대해 물었다.
"우리 경제를 놓고 현상적으로 보면 저성장과 사회양극화가 구조적인 문제이다. 이 두 문제 모두 그 뿌리는 토지 문제로 귀결된다. 실제로 우리 대한민국 자산의 구조를 보면 부동산 자산이 80%에 이른다. 이것은 일단 소득 불평등보다 자산 불평등이 심각하고 크다는 얘기이다. 자산불평등의 80%이상이 부동산 문제와 관련돼 있다."
이어 그는 '저성장과 사회양극화'의 문제는 근본적으로 전체 토지가 소수에 집중돼 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저성장과 양극화의 근본적인 문제는 전체 땅이 소수에게 집중돼 있기 때문이다. 집중된 정도가 기업이 가지고 있는 토지 중에서 1%의 법인이 약 70%의 토지를 갖고 있다. 나머지 99% 법인은 그 만큼 비용을 지불해야 한다. 국민 개인 토지로 보면 1% 국민이 31% 토지를 가지고 있다. 1%가 31%을 갖고 있다면 나머지 99%가 70%를 가지고 나눠가져야 하는데 그 만큼 비용을 지불해야 한다. 결국 토지 소유가 양극화돼 있다는 것은 토지로 인한 비용을 사회적 약자들에게 전가시키는 불가피한 구조를 낳는다. 결과적으로 토지로 인한 불평등이 양극화에 가장 뿌리라고 볼 수 있다."
김 의원은 한국 경제 선진적 발전을 위해서는 토지에 대한 국공유지의 확대와 부동산 보유세를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근본적으로 한국경제, 시장경제의 선진적인 발전을 위해, 선진국형 시장경제의 성장 모델을 지속하기 위해서는 땅, 부동산, 토지문제를 반드시 해결돼야 한다. 기본적으로 토지에 대한 국공유지를 확대하는 방안이 있다. 그리고 매년 토지 보유로 인해 어떤 부담을 져야 한다. 1%를 보유세를 내야한다고 가정하면, 100억의 땅을 가지고 있다면 매년 1억씩 보유세를 내야 한다. 이렇게 되면 100억 짜리 땅을 가지고 있는 것이 고민이 된다. 당장 1억을 내야 하는데 고민이 될 것이다. 세금 낼 돈 1억이 없거나 경제운영에 합리적이지 않다면 땅을 사는 것을 고민하게 될 것이다. 확실히 계획이 서 있는 사람이거나 사업을 할 사람만 사지, 그냥 묻어두는 부동산 소유는 점점 없어질 것이다. 그래서 토지에 대한 보유세를 강화해야 한다."
그는 혁신에 대한 보상보다는 땅에 대한 보상이 워낙 높아 혁신을 하지 않으려고 한다는 말도 덧붙였다. 과거 요소 투입형 경제에서 혁신주도형 성장으로 가야 나라의 미래가 밝을 것이라고도 했다.
"최근 20년간 물가가 147%, 임금 62% 상승했는데 지가는 390% 상승했다. 혁신에 대한 보상보다, 땀에 대한 보상보다 땅에 대한 보상이 워낙 높다. 그러니 땅을 사지 않을 수가 없다. 그래서 혁신에 대한 매력이 떨어진다. 이래가지고는 선진국으로 진입하지 못한다. 요소투입형 경제가 아니기 때문이다. 이제 혁신주도형 성장으로 가야한다."
김 의원은 토지 보유세제 개편방안으로 10년 정도 로드맵을 가지고 여야가 신중히 검토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토지 보유세제 개편안을 만들고 있다. 단순히 집값 상승, 부동산 투기 억제에 초점을 맞추기보다는 근본적으로 10년 안에 대한민국 경제가 혁신주도형 성장으로 갈 수 있도록 땅보다 땀이 보상받는 그런 경제 구조로 갈 수 있도록 하는데, 어떤 정치가 필요한지를 법에 담고 그 장치가 아무리 옳다고 해도 하루아침에 하면 실현가능성과 그것으로 인해 유탄 맞을 사람이 많아진다. 우리사회가 소화할 할 수 있도록 10년 정도 점진적 로드맵을 가지고 이 문제를 여야합의로 시도를 해볼 생각이다."
민주당 적폐청산위원으로서 진행되고 있는 적폐청산에 대한 의지를 그에게 물었다. 그는 법이 주도하는 방식과 당이 주도하는 방식 등 두 가지를 설명했다.
"적폐청산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눠볼 수 있다. 이명박·박근혜 전임정권 때 국정농단 내지는 권력형 남용으로 있었던 문제점이나 비리, 이런 것들을 법적으로 조사해 사실을 밝히고 개선책을 만들어가는 것이다. 지금 진행되고 있는 국정농단 사건, 국정원 선거개입, 방송장악 등이 여기에 해당된다. 이런 것은 우리 당이 주도를 한 것이 아니다. 법에 따라 하는 것이다.
당과 정부가 신경을 쓰고 있는 것은 지난 정권의 비리라든지 권력남용이라든지 반민주적인 어떤 범죄라든지 이런 것보다도, 실제로 우리사회에서 관행적으로 해왔던 잘못된 관행들, 혹은 문제점들을 발굴해 개선에 나가는 것이다. 적폐청산위원회 위원으로 들어가게 된 것은 경제 분야 특히 국세청과 관련한 과거 세무조사 문제점에 대한 개선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