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계 박인로가 ‘미래의 희망’인 아이들을 만나 삶과 문학에 대해 이야기해주는 모습을 작가의 상상력을 통해 표현해봤다.
삽화 이찬욱
'행장(行狀)'은 고인이 평소 어떤 성품과 몸가짐을 지니고 살아왔는지를 기록한 글이다.
'조선 가사문학의 대가(大家)'이자 '문무를 두루 갖춘 선비'로 알려진 노계 박인로에 관한 행장을 살펴보는 것은 그가 타자로부터 어떤 평가를 받고 있는지를 알 수 있게 해준다. 먼저 이런 대목이 눈길을 사로잡는다.
"박공(박인로)은 허물이 적었다. 다닐 때는 지름길로 가지 않고 입으로는 바른 말만 하였다. … 사람들이 서사(書史·책)를 읽으면 한 번 듣고 바로 기억하였다. 어렸을 때부터 글을 잘 지었는데 일찍이 시를 지어 주위 사람들을 놀라게 했다."박인로의 행장을 쓴 이는 유학자인 정규양(鄭葵陽·1667~1732). 노계가 죽은 이후에 태어난 새까만 후배다. 그러니, 선배 학자에 대한 다소 과도해 보이는 칭찬은 후학이 갖춘 예(禮)라고도 볼 수 있다.
정규양의 '행장'을 통해 본 노계 박인로의 품성하지만, 행장은 뒤로 갈수록 구체성과 객관성을 드러낸다. 예컨대 아래와 같은 것이다.
"젊었을 때 대마도를 바라보며 탄식해 이르기를 '죽은 제갈량이 살아 있는 사마중달을 쫓았는데 내 어찌 왜놈들을 두려워하겠는가?'라고 하였다. 공은 넓고 큰 재주를 가졌으나 세상이 이를 알아주지 못했다." 노계의 담대하고 호방한 무인 기질을 표현한 정규양의 문장은 끊임없이 이어져 이제는 박인로의 효(孝)에 이른다.
"공의 성품은 지극히 효성스러웠는데 어머니의 노년에는 매양 근심스러워 하며 부지런히 봉양하였고, 행여 가난 때문에 어머니를 소홀히 하지 않을까 전전긍긍했다. 여름에는 잠자리에서 부채질을 해드리고, 겨울에는 몸으로 이부자리를 따뜻하게 해드렸다. 아침저녁으로 환히 웃는 얼굴을 보여드리고, 상(喪)을 당하여서는 식음을 전폐해 여러 번 혼절하였다."
임진왜란 때는 무장으로 수백 수천의 왜군과 맞서는 걸 두려워하지 않았고, 세상이 자신을 몰라주는 걸 탓하지 않던 대인배였음에도 부모의 죽음 앞에서는 서러워 수저를 들지 못했던 노계의 효행을 기록한 행장은 다음과 같이 결론을 맺고 있다.
"아, 세상에 어찌 이 같은 사람이 다시 있겠는가? 공(박인로) 전에도 공과 같은 씩씩한 무부(武夫)가 없었고, 공 후에도 공과 같이 독서를 수행한 선비가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