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정상 '판문점 선언' 발표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27일 오후 '2018 남북정상회담'이 열린 판문점 남측 평화의 집 앞에서 '판문점 선언' 합의에 대한 입장을 발표했다.
한국공동사진기자단
지난 4월 27일 발표된 판문점선언 제3조 제3항에서는 종전선언·평화협정·평화체제를 위한 남·북·미 3자 또는 남·북·미·중 4자회담의 개최를 남과 북이 추진해나간다고 선언했고, 6월 12일의 북미 공동성명 제3조에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2018년 4월 27일에 채택된 판문점 선언을 재확인하면서 조선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를 향하여 노력할 것을 확약하였다"라고 밝혔다.
북한 입장에서는, 미국에 종전선언을 촉구하는 근거로 위의 두 조문을 활용할 여지가 있다. '종전선언을 포함하는 판문점선언이 지켜진다는 조건으로 북·미 공동성명 제3조에 동의했다'는 주장을 할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미국이 그런 해석을 부정할 수 있는 여지가 공동성명 안에 들어 있다. 4개 조문으로 된 공동성명에서 제1조·제2조·제4조의 주어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미합중국은"이지만, 유독 3조만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이다. 이를 근거로 미국은 '비핵화 당사자는 북한'이라고 말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판문점선언 속의 종전선언에 대해 우리는 책임이 없다'고도 말할 수 있게 된다.
미국이 종전선언에 대해 적극적이지 않다는 점은 북미 공동성명에 그에 관한 언급이 없는 데서도 느낄 수 있다. 공동성명에는 평화협정이란 표현도 없다. 평화체제(peace regime)라는 추상적인 표현만 있을 뿐이다.
미국이 종전선언에 대해 소극적 태도를 보이는 데는 이유가 있다. 이 선언에 대한 남북과 미국의 시각에는 상당한 차이가 있다.
남북은 종전선언을 평화협정의 전 단계로 이해하는 듯한 느낌을 풍긴다. 판문점선언 제3조 3항에서 그런 분위기가 드러난다.
"남과 북은 정전협정 체결 65년이 되는 올해에 종전을 선언하고 정전협정을 평화협정으로 전환하며 항구적이고 공고한 평화체제 구축을 위한 남·북·미 3자 또는 남·북·미·중 4자회담 개최를 적극 추진해 나가기로 하였다."
이 조문을 읽을 때 "올해에 종전을 선언하고"까지 읽고 나서 숨을 쉬면 안 된다. "평화체제 구축을 위한"까지 읽고 나서 숨을 쉬는 게 바람직하다. 그렇게 끊어 읽어야, 남과 북이 종전선언·평화협정·평화체제를 위한 3자 또는 4자회담을 추진하기로 했다는 취지가 분명히 드러난다.
위 조문에서는 남북이 종전선언을 평화협정의 전 단계로 이해한다는 느낌이 풍겨난다. 2007년 남북정상회담 직후의 대한민국 정부도 그렇게 이해했다.
그해 10월 11일 노무현 대통령은 기자 간담회에서 '지금 평화협정으로 바로 들어가기는 좀 빠른 것 같고, 종전선언을 하고 그 다음에 들어가는 게 맞지 않느냐'는 취지의 발언을 했다. 같은 해 10월 24일엔 백종천 청와대 외교안보실장이 '남북정상회담 과제와 전망' 포럼에 참석해 "3자 또는 4자 정상회담을 통한 종전선언은 평화협상을 이제 시작하자는 정치적·상징적 선언"이라고 풀이한 바 있다.
그동안 미국이 '종전선언'을 대했던 자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