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예결위 자유한국당 간사인 장제원 의원이 27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정부가 4조원 세수 결손 해결 방안을 내놓지 않으면 심사할 수 없다"며 예산심사 거부 의사를 밝히고 있다. 오른쪽은 김성태 원내대표.
남소연
- 28일 예산심사가 재개되기는 했지만, 2019년 정부 예산 470조 중 유류세 인하, 지방 재정 보전 등 '4조'에 대해 야당은 '세수 결손', 여당은 '세수 변동'이라며 공방이 치열하다. 여야의 입장 중 어느 쪽의 주장이 더 맞는 이야기인가?
"한국당에서 '몰랐다'고 하는 건 말이 안 된다. 한국당이 '속였다'는 말은 절대 안 한다. 몰랐다라고 얘기하는 건데, 몰랐다는 건 속였다와 똑같은 말이다. 그런데 그 전에 분명히 논의가 있었기 때문에 몰랐다고 할 수 없으니 한국당이 전략을 그렇게 짠 것 같다. 파행을 만들려는 이유를 찾으려는 것이다.
4조 원 빈다고 수정 예산안 제출하라는 요구는 말도 안 된다. 세입을 줄이고 세출을 줄이면 된다. 세입이 줄어든 만큼 지출을 삭감하면 되는데, 지출 삭감은 정부가 하든 국회가 하든 하기만 하면 된다. 정작 4조를 위해 무엇을 삭감하라고 얘기는 못하고 정쟁의 도구가 되어 버렸다. 안타깝다.
전체 470조 예산에서 1%가량밖에 안 된다. 4조는 충분히 조절 가능한 숫자다. 지난 10년간 (이런 이유로) 정부가 수정 예산안을 제출한 적이 없다. 예산이라는 건 국회에서 심의하면서 바뀐다. 한국당 논리대로면 매번 그때마다 수정안을 제출해야 한다. 그게 얼마나 절차가 복잡한데, 얼마든지 실무적으로 할 수 있는 일을 왜 그렇게 하나."
- 여당은 이전 정부에서도 비슷했다고 주장하는데, 왜 이번에 유독 문제가 됐다고 보나?
"올해만 유독 문제라고 보지는 않는다. 매년 다양한 이유로 문제를 삼았던 거다. 예산은 정치니까. 갈등은 예산에서 가장 극적으로 표출된다. 국회에서 논의 과정에서 일부 예산을 삭감하는 건, 안타깝지만 그럴 수 있다고 본다. 진짜 문제 있는 건 삭감할 수 있으니까. 그런데 예산 심의 전체를 전반적으로 거부하고 파행해서 소위 심사 시간 줄였다.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 결과적으로 예산을 꼼꼼하게 살필 시간 자체가 줄어든 것이다. 야당에게도 손해이다.
정부의 특정 사업을 반대하는 문제가 아니라 세수 통계 바뀌었다고 갑자기 심의를 거부하는 건 문제이다. 모르는 분들은 유류세 때문에 그런 줄 아는데, 정작 유류세 인하로 인한 세수 부족은 1조1000억밖에 안 된다. 큰 건 오히려 지방으로 가는 돈 2조9000억 때문인데, 명확히 얘기하면 지방분권으로 인해 2조9000억이 들어가는만큼 지방예산이 늘어서 중앙에서 줄 수 있는 교부세 규모가 준다. 어차피 중앙이 하든 지방이 하든 같은, 제로섬 게임이다. 국민들께서 이걸 잘 모른다고 '4조 줄었다!'라며 호도하는데, 이건 사실이긴 하지만 진실은 아니다."
- 한국당 쪽에서는 일자리예산, 남북협력 관련된 예산 등을 깎아서 저출생 문제를 극복하겠다고 하고 있다. 이런 움직임에 대해서는 어떻게 평가하나?
"그분들이 아이를 낳는 것만 생각하는 것 같다. 왜 아이를 낳지 않은가를 질문해야 한다. 이미 많은 연구보고서가 나와 있다. 일단 고용이 되어야 아이를 낳는다. 주거 문제도 걸려 있다. 이런 게 다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결국 저출산 예산은 복지 예산일 수밖에 없다. 사람이 행복해야 아이를 낳는다. 돈을 아무리 줘도 지옥 같은 삶이면 애를 어떻게 낳나.
그래서 일자리 예산이 늘어나는 게 중요하다. 남북문제도 결국 풀려서 경제적 효과가 지대하게 있을 것이라고 국민들은 기대하는데, 넓게 보면 그것도 저출산 문제에 도움 되는 정책이다. 야당이 너무 이념적으로만 접근하는 게 아쉽다. 현실적이고 실용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댓글4
2014년 5월 공채 7기로 입사하여 편집부(2014.8), 오마이스타(2015.10), 기동팀(2018.1)을 거쳐 정치부 국회팀(2018.7)에 왔습니다.
정치적으로 공연을 읽고, 문화적으로 사회를 보려 합니다.
공유하기
"'한부모 예산 논란' 송언석, 기재부차관 때 당한 걸 그대로 써먹어"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