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전소 민간정비 부문 비율
김종훈 의원실
청년 비정규직 노동자의 죽음을 계기로 외주업체에 맡겨진 화력발전소의 안전 이야기를 다시 꺼내본다.
발전소의 정비업무가 처음부터 민간업체에 맡겨져 있었던 것은 아니었다. 한국전력은 77년부터 한전KPS를 통해 발전소 정비업무를 전담하도록 해왔다. 하지만 94년 한전KPS의 파업, 발전소 민영화 요구 등을 계기로 발전소 정비 분야의 민영화가 추진되었다. 정부는 민간발전정비업체를 육성하겠다며 금화, 일진, 수산, 원프랜트, HPS, 에이스기전 등의 민간업체를 선정해 한전KPS로부터 기술이전을 하는 정책을 펴왔다.
2013년부터는 5년간 1단계 경쟁도입을 하겠다며 최신기종, 대용량 신규발전소 핵심설비(터빈, 발전기 등)는 한전KPS가 맡고, 신규발전소 비핵심설비 부분은 한전KPS에 상응하는 물량을 민간업체를 대상으로 경쟁입찰하라는 지침을 내렸다. 그리고 2018년이 되면 발전소 정비분야 전체를 민간에 개방하겠다는 계획까지 수립했다.
발전소 정비물량을 의무적으로 민간에 입찰하면서 발전소 정비시장에서 민간이 차지하는 비율은 40%를 넘어섰고 공기업인 한전KPS의 업무를 위협하는 수준까지 이르게 되었다.
이 과정에서 특정 민간업체에 기술을 이전하는 것이 특혜라는 논란이 있었다. 이때를 틈타 민간업체를 설립하거나 재취업하는 발전소 관련 공공기관 직원들도 늘었다. 김종훈 의원실에서 조사한 전력관련기관 민간정비업체 이직현황 자료를 보면 2017년 10월 현재 발전 공공기관 출신이 민간정비업체 팀장급으로 이직한 인원만 100여 명에 달한다.
최근에는 민간정비업체 중에서 HPS, OES, 한국발전기술 등을 동일한 사모펀드(칼리스타파워시너지)가 소유하게 되었다. 정부가 경쟁을 유도하겠다며 정부의 기술까지 이전하면서 키운 민간정비시장이 결과적으로 사모펀드의 독점이익으로 가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도 있다.
문재인 정부 들어 민간 개방 정책 제동, 그러나...
문재인 정부가 들어서면서 이런 정책에 제동이 걸렸다. 상시·지속·안전업무를 정규직화 하겠다고 약속했다. 2018년까지 발전정비업무를 민간에 개방하겠다는 정책도 일시 중단했다. 발전소 정비 부문에서 일하던 노동자들은 문재인 정부의 정규직화 정책에 기대했고 노동조합을 결성하면서 정규직화를 요구하고 있다.
그리고 그로부터 2년 가까운 시간이 지나고 있다. 비정규직 정규직화는 얼마나 진행되었을까? 발전소 비정규직들의 기대에도 불구하고 정규직 전환은 제대로 진행되고 있지 못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