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KY캐슬 > 포스터
JTBC
요즘 화제의 JTBC 드라마 < SKY 캐슬 >에 따르면, 나는 '돈 주고 사서 쓰고 버리는 참고서'다. 나는 몇 년 전 수능 만점자 4명을 배출한 학교가 있는 동네, 그래서 전국의 아파트 값이 떨어질 때도 유일하게 올랐다는 그 동네에서 논술을 가르치고 있다. 내 학생 중에는 의대를 목표로 하는 학생도 있었다. 그래서 내게 < SKY 캐슬 >은 고마운 드라마다. 학종(학생부종합전형)에 대한 문의가 늘었으니까.
< SKY 캐슬 >은 사교육 암흑 판타지다. 내가 김주영(김서형)만큼 잘나가는 1타 강사가 아니라서 그런지 모르겠지만, 나는 현실에서 한서진(염정아)과 차민혁(김병철)을 만난 적이 없다.
한서진과 차민혁은 자신의 대학 시절에 함께했을 '서태지와 아이들'의 노래 '교실 이데아'에 나오는 가사처럼, "좀 더 비싼 너로 만들어주겠어. 네 옆에 앉아 있는 그 애보다 더. 하나씩 머리를 밟고 올라서도록 해. 좀 더 잘난 네가 될 수가 있어"에서 한 발짝도 달라지지 않았다.
한서진은 우주(찬희)를 짓밟아 예서(김혜윤)를 살리려고 했고, 차민혁은 혜나(김보라)의 죽음, 우주의 검거, 예서의 방황을 보면서도 자기 자식이 1등급을 받을 수 있는 기회라며 기뻐했다. 이들을 보고 있으면 '디멘터'(영화 <해리포터>의 악당)에게만 통하는 마법, '익스펙토 페트로눔'이 필요할 것 같다.
사교육 암흑 판타지
< SKY 캐슬 > 속 학생들은 현실의 학생보다 미화되어 있다. 예서와 우주를 수직선 상에 놓고 비교해본다면, 내가 겪은 학생들은 예서 쪽으로 조금 더 기울어 있다. 기준(조병규), 서준(김동희)이 같기도 하고, 세리(박유나)처럼 무책임하기도 하지만 공통점이 있다면 자기 등수 올리기에 적극적이라는 점이다. 친구 사이에도 서로 어느 학원을 다니는지 말하지 않는다. 예서보다 수위가 약하긴 하지만 부모에게 크고 작은 정서적 '갑질'을 일상적으로 행한다.
< SKY 캐슬 >을 볼 때마다 생각나는 학생이 있다. 그 학생은 논술로 갈 수 있는 최고 대학에 합격했다. 대인관계도 좋고, 리더십도 있고, 성실해서 뭐가 되어도 될 것 같은 학생이었다. 그러나 '자기가 공부 안 해 놓고 성적 안 나왔다고 불평등하다고 말하는 건 쓰레기 같은 생각'이라는 그 학생의 말에 나는 충격을 받았다. 그 학생은 '금수저', '흙수저' 간 경쟁의 불공평함을 이해하려 들지 않았다. 아무튼 자신은 피나게 노력했고, 모든 결과는 그 노력에 따라 달라진 것이라면서 부모의 재산이나 환경의 격차를 무시했다.
드라마를 보면서 오연호 작가의 책 <우리도 사랑할 수 있을까>가 떠올랐다. 이 책은 < SKY 캐슬 >의 안티테제다. < SKY 캐슬 >에서 사람은 도구화되어 있다. 한서진에게 입시 코디 김주영은 참고서 같은 도구였고, 김주영에게 혜나는 예서를 자극하기 위한 도구였고, 차민혁에게 자식들은 자기 과시의 도구였다. 다수의 관계가 오직 대입을 위해 온갖 감정을 숨긴 채 작위적으로 맺어졌다. 대입의 이해관계가 틀어졌을 때는 몸싸움도 마다하지 않았다. 학교생활은 점수를 위한 수단에 불과했다.
반면 <우리도 사랑할 수 있을까>는 행복한 인생을 찾고, 행복한 교육을 실천하는 학부모와 학생들이 주인공이다. 그들은 경주마처럼 앞만 보고 달리는 삶이 아니라, '나'와 '우리'의 행복을 고민하고, 옆을 볼 자유를 선택했다.
이 책에 소개된 '꿈틀리인생학교'는 사람이 사람을 학습하는 곳이다. 이곳에서 학생들은 점수로 살아가지 않는다. 그들에게 학교생활이란 '나를 찾고 인생을 설계하는' 목적 그 자체다.
'꿈틀리인생학교' 같은 곳이 더 많아져야 한다는 생각에는 물론 동의하지만, 솔직히 이런 학교가 우리 교육 현실에서 가장 보편적인 정답일까 하는 점에서는 선뜻 동의하기 어렵다. 그렇지만 현실과 < SKY 캐슬 >의 거리가 워낙 가깝다 보니 '꿈틀리인생학교'의 실험이 더 절실하게 다가오는 것도 사실이다.
해독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