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담회하는 김연철 장관김연철 통일부 장관이 7일 오전 정부서울청사 통일부 대회의실에서 열린 출입기자단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신종 감염병의 확산 등의 문제에 어떻게 대응할 것인지가 통일부의 과제다. 정부가 K방역에서 가장 중요하게 내세우고 있는 '연대와 협력'이라는 원칙을 남북관계에서 어떻게 실현할 것인가. 남북이 감염병 공동대응을 위해 해야 할 것이 상당하다."
'남북 공동 감염병 대응'은 2019년부터 얼어붙은 남북관계를 녹일 해법이 될 수 있을까. 김연철 통일부장관이 코로나19와 같은 감염병에 "'남북간 공동대응 체계'를 통해 해결할 필요가 있다"라는 입장을 내놨다.
그는 남북이 신약을 공동 개발하고 야생식물의 실태조사를 추진하는 등 구체적 방안도 언급했다. 감염병 공동대응을 통해 상시적이고 꾸준하게 남북 관계 협력을 이어가겠다는 포부다.
김 장관은 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간담회에서 "코로나19가 일상의 삶뿐만 아니라 남북관계·한반도 정세에 다양한 방식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라고 운을 뗐다.
그러면서 "K방역을 ▲지속 가능하고 ▲포괄적이고 ▲협력방식의 콘셉트로 진행하려 한다"라고 밝혔다. 남한이 북한에 '지원'하는 방식이 아닌 '협력'으로 남북 교류의 형식을 바꿔가겠다는 뜻이다. 감염병 공동대응 체계가 갖춰지려면 남북이 조율해야 할 부분도 있다. 김 장관은 "(남북이) 정보를 교환하고 표준 검역 절차를 만들고, 진단·방역 분야에서 기술 협력을 해야 한다"라고 짚었다.
실제로 결핵·말라리아 등의 감염병은 남북이 공동으로 해결해야 할 부분이다. 제대로 조치하지 않는다면 북한에서 발생한 감염병이 남한에 전파될 수 있다. 특히 휴전선 근방에서 발생한 말라리아는 오랫동안 남북이 함께 직면한 감염병이었다.
이 때문에 정부는 보건의료와 관련해 대북지원을 꾸준히 해왔다. 하지만 박근혜·이명박 정부 시기인 2008년부터 사실상 남북 보건 협력이 중단됐다. 그러다 2018년 '4.27 정상회담'을 계기로 남북은 '질병 공동대응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논의를 시작했다. 지난해 남북 관계 경색국면을 거치며 별다른 진전을 보이지 못했다.
김 장관은 코로나19로 감염병의 위험성이 다시금 조명받은 만큼 남북 공동대응을 재개하자고 강조했다.
국제사회의 대북제재 때문에 의료기기 등 지원협력이 어렵지 않겠느냐는 지적에 대해 김 장관은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보건의료분야 지원에 대해서는 국제사회와 미국에서 '제재가 걸림돌이 돼선 안 된다'는 공감대가 형성돼 있다"라고 자신감을 드러냈다. 그러면서 세계보건기구(WHO)가 코로나19 감염여부를 진단하는 유전자 증폭 검사법(PCR) 장비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 신청한 지 24시간 만에 제재 면제 조치를 받았다는 점을 강조했다.
김 장관은 또 "북한에는 야생화·야생식물의 분포가 많다, 남북한이 천연물 신약 개발을 공동으로 한다면 (남북 모두에게) 굉장히 의미 있을 것"이라며 "과거에도 한 적이 있던 야생식물에 대한 남북간 실태조사부터 시작할 수 있다"라고 덧붙였다. 김 장관의 말대로 백두산에는 2340여 종의 식물이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중 북한지역에 자생하는 야생화의 수가 상당하다고 전해진다.
정부는 2018년 '한반도 천연물 확보'를 통해 한반도에 있는 천연물의 가치를 발견, 세계적 수준의 천연물 제품을 만들자는 목표를 세우기도 했다. 당시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남북협력에 기반해 천연물 제품 개발을 위해 '한반도 천연물 연구·생산 특구 조성방안'을 고민한 것으로 알려졌다.
"판문점 견학 6월부터 가능하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