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정부 들어 폭증하는 국방예산 증가율에 대한 통계
평화와통일을여는사람들
북한·주변국 위협 상투적 부풀리기와 국방예산 팽창
북한의 잠재적 전쟁수행능력과 국방비가 남한과 비교도 되지 않을 정도로 열세라는 것은 이미 공인된 사실이다. 재래식 전력에서 남한은 이미 북한의 남한에 대한 전면적 무력공격을 방어하기에 충분한 전력을 갖추고 있으며, 오히려 남한이 우위에 있다. 정경두 전 국방장관도 "핵을 제외한 모든 재래식 군사 분야에서는 우리가 절대적인 우위"(2020.9.15.)에 있다고 말했다. 남한의 첨단 고성능 재래식 전력은 북한 핵전력을 상쇄할 수 있을 정도로 위력적이다. 그런데도 무기 도입이 계속되고 국방예산이 천정부지로 치솟는 것은, 국방예산 확보와 몸집 불리기로 기득권을 유지·확대하려는 국방부와 군의 상투적인 북한 위협 부풀리기에서 비롯된다.
중국·러시아·일본 등 주변국의 군사적 위협 평가도 객관적이고 합당한 근거에 토대하고 있지 않다. 중국은 육·해·공 전력에서 남한을 무력침공 할 수 있는 승수를 갖추고 있지만, 인도·러시아·베트남 등 16개 나라와 국경을 맞대고 있어 남한과 무력분쟁 시 동원할 수 있는 병력이 제한된다. 러시아는 재래식 전력에서는 남한을 무력침공 할 수 있는 전력을 갖추고 있지 않다. 일본은 공군력에서는 한국과 비슷하고 육군 전력에서는 남한에 크게 뒤지기 때문에 해군력 우위만을 갖고 남한을 침공할 수 없다. 이에 '주변국 위협' 역시, 국방예산 확보와 몸집 불리기, 미국의 인도·태평양 패권 전략에 편승하려는 국방부의 자가 발전적 주장에 불과하다.
초공세전략 도입에 따른 국방예산 늘리기
한미연합군의 군사전략은 제동장치 없는 전력증강과 국방비 증액의 직접적 원인이다. 한미연합군의 맞춤형 억제전략과 4D(탐지→교란→파괴→방어) 작전개념에 따른 작전계획 5015는 북한이 핵‧미사일을 발사할 징후만 보여도 선제공격한다는 초공세적 작전이다. 그러나 맞춤형 억제전략과 4D 작전개념에 의거한 선제공격은 모험주의적이며 실효성은 없이 비용만 든다.
대북 선제공격은, 설령 제한적인 핀포인트 공격이라고 해도 필히 전면전으로 비화될 수밖에 없다. 북한이 이미 남한은 물론 일본과 미국까지 보복할 수 있는 핵과 재래식 전력을 보유하고 있는 조건에서 대북 선제공격은 남북한의 모든 생명과 자산, 미·일의 일부 생명과 자산을 담보로 하는 무모한 짓이다.
한미가 제아무리 대북 정찰능력을 강화해도 산악지대 등을 이용해 은폐‧엄폐돼 있는 고정식 발사대와 수백 대에 달하는 이동식 발사대를 모조리 탐지해 발사 전에 파괴할 수 없다는 점에서, 선제공격론은 실효성이 없는 전략이다.
한미 맞춤형 억제전략과 4D 작전개념을 실행하기 위한 이른바 3축 체계(킬 체인, 한국형미사일방어, 대량응징보복) 도입에 2019~2023년 동안 32조 원, 2021년도에만 5조 8070억 원을 쏟아 붓고 있지만 안보환경 개선에 도움이 되지 않고 있다. 맞춤형 억제전략과 4D 작전개념을 고집할 경우 앞으로 고성능 첨단무기 자체 개발과 미국산 고성능 첨단무기 도입에 들어가게 될 비용이 얼마가 될지 산정하기조차 어렵다.
최첨단 고성능 초공세무기 도입에 따른 국방예산 팽창
2021년도 방위력개선비(무기도입비)는 16조 9964억 원에 달한다. 예산의 대부분은 대북 선제공격용 첨단 고성능 무기체계 도입에 사용된다. 공군 F-35, KF-X, 해군의 항공모함, 중형잠수함, 이지스 구축함, 육군의 KTSSM(전술지대지유도무기), 현무-2 탄도미사일, K-2 전차, 대형 공격용 헬기, 해병대의 상륙기동헬기 등 열거하기조차 벅찰 정도다. 2021년에 이들 선제공격 무기도입을 위한 예산만 F-35A 1조 2083억 원, 중형잠수함 5258억 원, K-2 전차 3094억 원 등 4조 1660억 원에 이른다.
고성능 무기 도입은 국내 개발이든 외국산 구매든 천문학적 액수가 들어갈 뿐 아니라 도입 뒤에도 운영유지비가 든다. 또 부품과 기술 도입, 정비 과정 등에서 외국(미국과 일본 등)에 종속된다. 국내개발 중인 KF-X 사업 예산은 무려 18조 원에 이르며 운영유지비에 얼마가 소요될지 가늠조차 어렵다. F-35A는 40여 대 도입 비용으로 8조 원, 운영유지비는 무려 40~80조 원으로 추산된다. 일각에서는 10년~20년 후엔 국방예산 대부분을 무기 운영유지비에 쏟아야 할 상황을 경고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