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모란 국립암센터 교수(대한예방의학회 코로나대책위원장)
권우성
- 정부가 확보한 4400만 명 물량, 적다고 보는가.
"소아·청소년은 백신 임상대상이 아니었다. 성인을 대상으로 접종하는 것이므로 4400만 분이면 전국민 대상의 백신을 확보한 셈이다. 어떤 백신이 소아·청소년 대상이 될지는 잘 모르기 때문에, 다양한 플랫폼의 백신 확보가 더 중요한 상황이 아닐까 싶다. 또 계속 백신을 외국에서 사다 쓸 수는 없기 때문에, 한국에서 임상이나 연구 등을 지원해서 국내 백신을 만들도록 해야 한다."
- 지금 시점에서 한국 정부가 해야 할 일은 무엇인가.
"예방 접종의 목표는 사망을 줄이는 것이다. 접종 대상자를 선별해서 효과적으로 접종을 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 또 3월 이전에 코백스에서 어떤 백신을 줄지 모른다. 콜드체인이 갖춰지지 않은 국가에는 화이자 백신을 주지 못한다. 그러므로 한국에 화이자가 일찍이 들어오면, 어떻게 접종할 것인지 시나리오를 잘 짜야 한다.
임상만 끝난 것이지, 현장은 다르지 않나. 예방접종에 대한 외국자료만 기다릴 수도 없고, 자체적으로 면밀하게 접종 효과나 부작용에 대해서 봐야 한다. 어떤 사람에게는 효과가 좋고 어떤 사람에게는 안 좋은지, 분석 데이터는 어떻게 마련할 것인지도 고민해야 한다.
의료인들에게 접종 안내도 중요하다. 만약 아나필락시스 쇼크가 일어났을 경우엔 에피네피린을 준비하고 있다가 처방해야 하는데, 이 역시 내부적으로 검토하고 준비해야 한다. 단순히 백신을 빨리 계약만 하면 만사형통이라는 시각은 곤란하다."
- 언론이 내놓는 '백신 위기론' 등은 문제가 있다고 보나.
"언론에서 비판을 위한 비판을 하고 있다. '왜 계약 안하나', '잘못 한 거 맞지 않냐' 따진다. 신중론을 이야기하는 게 아니라 오히려 푸시를 하고 있으니, 이는 정부가 수세적으로 계약할 수밖에 없는 상황으로 몰아가는 것이다.
백신은 다른 물건의 계약하고는 다르다. 불확실성이 크기 때문에 책임 문제가 중요하고, 시기 조절, 양의 문제 등 다양한 조건을 생각해야 한다. 그런데 전국민 물량을 다 확보한 상황에서 계속 '확보 못했다'라고 주장하면서 '한국은 후진국이다', '(외국은) 종식됐는데 우리는 쳐다만 보게 생겼다' 이런 말을 한다.
한 언론사는 일본과 한국이 비슷하게 접종을 시작하는 걸 보도하는데도 다르게 제목을 뽑았더라. 우리나라도 식약처에 아스트로제네카와 화이자가 허가신청 전 사전검토를 신청했다. 식약처가 리뷰하고 빠르게 사용승인하면 접종이 이뤄질 수 있다. 계약은 결국 한다. 서두른다고 더 좋은 백신이 빠르게 들어오는 것도 아니다. 왜 이렇게 언론이 서두르는지 모르겠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댓글137
공유하기
"백신 위기론? 언론, 왜 이러나... 다양한 백신 확보가 더 중요"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