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검찰총장이 지난해 10월 22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법제사법위원회의 대검찰청에 대한 국정감사에 출석하기 전 윤호중 법사위원장과 면담을 마친 뒤 나오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김대중 전 <조선일보> 고문은 최근 "윤석열을 주목한다"라는 제목의 칼럼에서 아예 윤석열 검찰총장을 야권의 단일 대권 후보로 밀라고 변죽까지 울린다. 신동아도 윤석열 대망론에 대한 특집 기사로 맞장구를 치고 있다. 실제로 여러 여론 조사에서 주요 대권 후보로 꼽힌 그는 지난달 28일 발표된 여론조사에선 23.9%로 1위를 차지했다(<오마이뉴스> 의뢰, 리얼미터가 12월 21일~24일까지 전국 만 18세 이상 성인 2041명 대상으로 조사. 자세한 결과는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적어도 현재로는 이것이 허수가 아니다. 정부에 실망한, 특히 부동산을 중심으로 한 경제 정책의 실패에 염증을 내는 국민들이 콘크리트 보수층과 윤석열을 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바로 이 지점에서 필자는 윤석열에게 트럼프의 향기가 모락모락 피어오른다고 생각한다.
트럼프와 윤석열은 자라온 환경이 전혀 다르고 이른바 '노는 물'도 다르다. 그러나 놀라울 정도로 많은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
아웃사이더
무엇보다도 두 사람은 정치계의 완전한 아웃사이더라는 점에서 공통점을 보인다. 사실 4년 전만 해도 외부 인사였던 트럼프는 공화당의 모든 '정상적인' 내로라하는 대선 후보를 '합법적으로' 격파해버리고 후보 자리를 꿰어 차더니 결국 대선의 승리를 거머쥐는 일대 사건을 일으켰다. 거의 모든 언론과 국제 여론이 그를 막기 위하여 혼신의 노력을 기울였지만 아무도 그를 막지 못하였다.
사실 그는 골수 공화당원이 아니었다. 당적을 여러 번 바꾼 경력이 있다. 1987년부터 12년간 공화당원이었다가 잠깐 개혁당에 몸담더니 다시 9년 동안 민주당원으로 있었다. 그러다가 다시 잠시 무소속으로 있다가 2009년부터 다시 공화당원이 된 '화려한' 경력이 있다. 사실 그는 2000년에 미국 개혁당을 발판으로 대통령 후보가 되고자 하다가 실패한 경험이 있다. 2012년에도 다시 한번 대통령 후보가 되는 꿈을 꾸다가 포기하였다. 그러다 마침내 2016년 3수 끝에 미국의 제45대 대통령으로 꿈을 이룬 것이다.
트럼프에게는 공화당 당내의 기반이 전혀 없었고 정치 경력도 전무하였기에 아무도 그를 진지하게 여기지 않았다. 모두 힐러리에게 보기 좋게 패배할 것으로 예상했다. 그러나 대통령 후보로 나서자마자 그의 지지율은 수직 상승하였고 파죽지세의 기세로 공화당 대통령 후보로 지명되었다. 세계 최강국의 권력의 정점에 서다가 비록 이제 패장이 되었지만 여전히 국민의 절반 가까이가 그를 지지하고 있다. 워싱턴의 이스테블리시먼트는 물론 모든 언론과 척을 진 그가 당선된 것도 그리고 지금도 몽니를 부릴 수 있었던 중요한 이유도 강력한 풀뿌리 지지세력 덕분이었다.
윤석열도 칠전팔기의 인물이다. 오래 되풀이된 낙방 끝에 마침내 사시에 합격하여 후배들과 법조인의 삶을 시작했다. 그러다가 결국 2017년 제43대 검찰총장으로 검찰 조직의 최정상에 오르게 된다. 그는 이명박과 박근혜의 추락에 결정적 역할을 한 인물이다. 그러나 현 정권과도 대립하면서 극적인 반전이 일어나 이제는 야당의 대권 후보로 부상하고 있다. 그리고 여기에는 트럼프와 마찬가지로 풀뿌리 세력의 지지가 견고한 바탕이 되고 있다. 게다가 트럼프와는 다르게 보수 언론의 지지를 받고 있다. 보수정당에서는 거리를 둔다는 측면에서도 트럼프와 유사하다.
트럼프는 2020년 대선에서 7421만 표를 얻어 46.8%의 지지율을 확보하였다. 이는 2016년의 48.2%보다는 1.3%p가 줄어든 것이지만 숫자로는 836만 표가 늘어난 수치로 미국 역대 대선에서 바이든 다음으로 두 번째로 높은 득표율이다. 표를 분석해 보면 트럼프는 2016년에 비하여 미국 백인들의 표를 7%나 깎아 먹은 것이 결정적 패인이 되었다. 그가 싫어하는 유색인종이나 LGBT들 사이에서는 오히려 그에 대한 지지가 올라갔다.
여기에는 그가 원래 약속한 강한 미국을 확실히 보여주지 못한 것에 실망한 계층도 있겠지만 미국 언론의 무차별적인 공격에 마음이 흔들린 계층도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만약 미국 언론이 그 정도로 트럼프와 척을 지지 않았다면 이번 선거에서 그의 재선이 크게 어려운 문제는 아니었을 것으로 예상할 정도이다. 정말로 그는 아슬아슬하게 패배했다. 그리고 공화당에서는 여전히 그를 적대시하는 세력이 있지만 목소리가 약하다. 이미 2020년 대선에서 공식적으로 패배한 트럼프가 공화당을 쥐락펴락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그의 힘은 퇴임 이후에도 줄어들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그의 인기를 대체할 만한 인물이 공화당에는 없기 때문이다.
윤석열은 어떤가? 3월 달만 해도 그의 지지율은 2%로 그 전달의 5%에 비하여 추락했다. 그러나 추미애와의 대결 정국이 펼쳐지고 마침내 윤석열이 판정승을 거두자 그의 지지율은 23.9%로 차기 대선 주자들 가운데 1위를 차지했다(위 여론조사와 동일). 그를 반대하는 이들은 이 숫자가 허수라고 반발하지만 숫자는 거짓말을 하지 않는다.
<신동아>는 트럼프와 마크롱의 예를 들어가며 윤석열이 여도 야도 아닌 제3의 세력을 규합하여 치고 나갈 가능성도 점치고 있다. 사실 윤석열이 여당의 대권후보로 나오는 것은 불가능하다. 당장 유력 후보만도 이낙연과 이재명이 버티고 있다. 그리고 추미애와 조국도 강력한 다크호스가 될 것으로 보인다. 무엇보다도 현 정권과의 대립 각을 세운 것이 그에게는 치명타이다. 야당에서도 누구도 반기지 않는 인물이기도 하다. 마치 2016년 미국 대선에 뛰어든 트럼프를 보는 것 같다.
퇴임 후 선택지는 딱 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