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수도인 베를린의 월세상한제(월세동결) 관련, 법원의 위헌 판결로 인해 임대인들의 손해액 요구 등 혼란초래가 예상된다고 전하는 유로뉴스(euronews.com) 방송. 방송에 따르면 독일 베를린 거주민들 중 아파트 보유자는 약18%뿐이라고 한다.
www.euronews.com
한국이 부동산 문제로 연일 논란이듯, 신자유주의 시대의 주택 문제에 있어 '유럽의 맹주' 독일도 예외는 아닌 듯 보인다. 수도 베를린은 2009년 이후로 월세가 두 배 이상 급등하는 이상 증상을 보였고, 2020년 2월, 베를린 시는 5년간 월세를 동결하는 높은 수위의 시장 개입을 결정했다. 베를린 정부가 사실상 월세를 동결하는 수준의, 강력한 '월세상한제'를 도입하기로 한 것이다.
하지만 14개월이 지난 2021년 4월 15일, 독일 대법원은 베를린의 동결 조치를 위헌으로 판결, 무효화 시켰다.
이에 따라 대법원 결정에 항의하는 수 만명의 시민들이 거리로 쏟아져 나오고, 시민 운동측은 국유화를 위한 국민 투표 카드를 꺼내는 상황이다. 이런 가운데 주택 문제는 오는 9월 독일 총선의 핵심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2019년 6월 수준으로 동결' 베를린 월세상한제, 왜 논란인가 보니
논쟁의 중심인 베를린 월세상한제는 현재 사회 민주당, 녹색당, 더 레프드당 (The Left party)의 연합으로 구성된 베를린 시 의회의 결정으로, 월세를 '2019년 6월 수준으로 5년간 동결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제도가 적용되는 아파트 수는 베를린 전체 아파트의 90%에 달하는 약 150만 채이다. 그리고 이 법이 제시한 기준에서 현재 월세가 과도할 경우, 세입자는 임대인에게 월세를 낮춰 달라고 요구할 수 있다.
이 조치를 위반할 경우, 건당 5십만 유로 (약 6억)을 벌금으로 내야 한다. 단, 시장을 위축시키는 부작용을 방지하고 동시에 신규 주택 건축도 장려할 목적으로 2014년 이후에 지어진 새 아파트들은 적용 대상에서 제외시켰다.
15년전까지만 해도 믿을 수 없을 정도로 월세가 쌌던 베를린이 월세상한제까지 가게 된 배경에는, 지난 몇 십년간 베를린 시내 아파트를 사들인 헤지펀드와 부동산 개발 회사가 있다. 베를린 장벽이 무너진 후, 막대한 통일 비용에 중앙정부는 지방 정부 보조금을 줄였다. 대부분의 지방 정부들이 적자를 기록했고 이들은 자산을 파는 쪽을 택했다. 베를린 역시 그 일환으로 공공 주택 약 20만 채를 매각했다.
이 때 골드만 삭스가 투자한 미국의 서버러스 캐피탈(Cerberus capital management)는 한 채당 약 700만 원 가격으로 6만 6700채를 구매했고, 이것은 현재 독일의 가장 큰 부동산 회사인 독일 주택 (Deutsche Wohnen)의 기반이 된다. 이 회사는 현재 베를린 시내 약 11만 채의 아파트를 소유하고 있다.
2008년 금융위기 때 이자율이 떨어지자, 거대 부동산 개발 회사들은 신축보다 기존 주택을 사서 개조한 후 월세를 올리는 전략을 세웠다. 이후, 아마존, 소니, 사노피 등 외국 기업이 베를린에 진출하고 베를린이 유럽 스타트업 사업의 중심지가 되면서 대규모 인구 유입이 이루어졌다. 재도시화 과정에서 주택 부족이 발생, 이는 2010년대 임금 상승률을 훨씬 초과하는 월세 폭등으로 나타났다. 시민들이 월세에서 주택 구매로 마음을 돌렸지만, 주택 가격 역시 2017년 한 해에만 약 20%가 올랐다.
'월세상한제'를 둘러싼 찬반... 완벽한 대책은 아닐지라도
월세상한제는 대부분 세입자층으로부터 환영을 받았지만, 반대 의견도 즉시 등장했다. 이유는 크게 두 가지였다. 하나는 시장과 정부와의 경제적 관계에 초점을 맞춘 것으로, 민간 부동산 회사와 투자가는 베를린 시 정부가 자유 시장에 개입하는 것은 불법이라고 주장했다.
다른 하나는 행정적인 문제, 즉 중앙-지방 정부 간의 권한 문제였다. 기독교 사회당(Christian Social Union), 기독교 민주당(Christian Democratic Union), 친시장을 기조로 하는 자유 민주당(Free Democratic Party)은 주택 정책은 중앙 정부 소관이기 때문에 베를린의 월세상한제는 지방 정부의 권한 밖이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284명 국회 의원들의 동의를 받아 베를린 시 정부를 고소했다.
법원의 최종 결정이 나오는 약 1년 동안, 베를린 월세상한제에 대한 논쟁은 계속되었다.
반대하는 측은 '정책과 결과 사이의 괴리'를 지적한다. 신축 아파트에 대한 예외 규정에서 보이듯이, 베를린 정부가 바라는 것은 안정과 공급 확보이다. 하지만 반대 측은 이런 효과는 기대하기 어렵다며 몇 사례를 근거로 들었다.
제도 시행 이후 회사들이 월세 사업보다는 재개발로 선회해 젠트리피케이션이 발생한 샌프란시스코, 장기 월세 동결로 아파트 노후화를 겪은 포르투갈, 월세상한제 아파트에 들어가는 대기자 명단이 무려 60만 명 이상으로 사실상 신규 진입이 불가능한 스웨덴이 대표적 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