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민정 국제앰네스티 한국지부 이사장
이희훈
- 임기 2년의 절반이 지났다. 남은 기간 꼭 해결하고 싶은 의제가 있나.
"인권 활동 측면에서 한국지부가 '앞으로 어떤 지점에서 균열을 내고 싶냐'고 묻는다면, 디지털 성착취 문제다. 디지털 성착취 문제가 불거진 지 벌써 1년이 지났다. 당시 큰 화제가 됐다. 가해자가 3000명 가까이 되고, 처벌이 이뤄지고, 아동·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아청법)이 개정됐다. 이런 일련의 가해자를 처벌하는 그림, 제도가 개선되는 그림들을 보면서 '이제 좀 변화 있나?' 생각하게 된다. 그런데 우리가 주목하는 건 '정말 이게 끝난 건가'였다. 피해 생존자 입장에서는 지금도 계속해서 성착취물이 검색되고 있다. 더 대중화된 플랫폼에서 본인들의 검색어를 넣으면 성착취물이 나온다. 기하급수적으로 피해가 늘어나고 있다. 그런 것에는 주목하지 않고 있다. 앰네스티는 피해생존자의 정의 회복이 될 방법은 무엇인가를 고민해왔다.
일단 주목하고자 하는 부분은, 플랫폼들, 그 기술기업들에 누가 책임을 묻고 있느냐다. 앰네스티가 나서야겠다고 생각했다. 플랫폼들이 글로벌하게 연결돼 있으니, 이미 국경을 넘은 국제적 인권침해 현장이 되어 버렸다. 해외방에서 세계 각국의 언어로 성착취물이 유통되고 있다는 걸 발견했다. 플랫폼에 대해 정확한 조사와 국제법을 기준으로 해서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본다.
온라인 상에서 피해 생존자들의 성착취물이 완전히 없어지는 날, 비로소 그들은 안심하고 일상을 살아갈 수 있다. 현재 피해자들은 성형수술하고, 만날 (자신의) 성착취물 검색하고, 과거 이력을 바꾸고, 다니던 학교를 그만두고 있다. 갈 길이 멀다. 가해자 처벌과 제도 개선이 한 축으로 가되, 정말 근본적으로는, (성착취물을) 계속 확대시키는 유통망을 주시해야 한다. 글로벌 연대를 통해 해결하고 대응해야 한다. 국제 앰네스티 안에서도 이 문제를 선도해서 아젠다로 삼아 활동하고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는 일을 임기 내에 계속해서 가져가고 싶다. 조사 결과에 따라 책임을 묻고 정부와도 협업할 계획이다."
- 플랫폼 업체들에게 책임을 묻겠다는 것인가.
"그렇다. 유엔 비즈니스와 인권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모든 기업은 그들의 운영과 공급망 전체를 포함하여 그들이 운영하는 모든 곳에서 인권을 존중할 책임이 있다. 기업은 자신의 활동이 인권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거나 기여하는 것을 방지해야 하며 그러한 영향이 발생할 때 이를 해결해야 한다. 또한 기업이 직접 영향에 가담하지 않았더라도, 기업 영업 활동이나 제품 혹은 서비스 등과 연결된 관계에서 인권에 악영향을 끼치는 경우, 이를 방지하고 완화해야 할 책임이 있다. 이러한 국제 기준에 따라 책임 주체들을 면밀히 봐야 한다. 더 교묘해지고 과학기술 이름 아래 숨어 있고 가시화돼 있지 않은 것을 정확히 짚어내려면, 문제가 무엇인지 같이 바라봐야 한다. 그래야 답이 나온다고 생각한다."
- 끝으로 하고 싶은 말은?
"우리 회원분들 보통 10년 이상 되셨다. 저는 병아리다. 글로벌 총회에 가면 40년 이상 활동한 분들도 자주 만난다. 그 분들이 '나는 총회에 10번 왔어, 처음 온 거지?' 하면서 반겨준다(웃음). 앰네스티는 후원해주시는 분들과 함께 움직이는 조직이다. 정부 재정지원을 일절 받지 않는다. '평범한 사람들이 만드는 특별한 변화' 그게 앰네스티의 가장 큰 가치라고 본다. 후원하는 분들이 동시에 인권활동가가 될 수 있는 곳이, 앰네스티다."
독립편집부 = 이주연·이정환 기자 facebook.com/ohmyeum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댓글1
공유하기
끝나지 않은 n번방... 앰네스티 "클라우드 기업 책임 묻겠다"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