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0년대의 사당동(1967)지금의 사당2동과 사당3동 일대는 '철거민 정착촌'이 본격적으로 형성되기 이전에는 산과 논으로 구성된 전형적인 '시골'이었다. 사진은 삼일공원 부지에 식수하는 장면.
서울특별시
서울 사당동에 한강 이북의 서울시 철거민들이 이주하여 정착하기 시작한 것은 1965년부터였다. 사당동이 서울시에 편입된 게 1963년이니, 편입 직후부터 서울의 다른 지역에서 쫓겨난 철거민들의 정착촌 역할을 했던 셈이다. 당시 언론은 사당동에 이주한 철거민들이 사는 곳을 사당동 철거민촌, 사당동 정착촌, 사당동 철거민 정착지 등으로 불렀다.
서울시의 무대책 속에 형성된 '사당동 철거민 정착지'
서울시는 1950~1960년대 내내, 전쟁 직후의 피난민들과 농촌에서 이주한 사람들의 무허가 건축물로 골치를 썩고 있었다. 사당동이 철거민 정착촌 역할을 시작하기 직전인 1965년 당시 서울에는 무허가 건축물이 15만 4062동이었으며, 그 중 시유지와 국유지에 세워진 건축물이 8만 943동이었다. 이는 서울의 전체 주택수 32만 1123동의 거의 절반에 가까운 수치였는데, 단순 수치로 보면 서울시 인구 350만 명 중 170만 명이 무허가 건축물에 살고 있는 셈이었다.
사당2동의 경우 1965년부터 충무로·명동·양동·도동·대방동 등지의 철거민들이 이주하여 정착한 마을이 형성되었다.
1965년 10월 사당동에 정착한 첫 철거민들의 이주는 급작스럽게 이루어졌던 것으로 보인다. 당시 서울시의 무허가 건축물 철거 계획은 특정 기한을 설정한 '자진 철거'를 요구했다가 이를 수용하지 않으면 '강제 철거'를 진행하는 방식이었다. 서울역 앞 양동 판자촌 철거도 그렇게 이루어졌다. 자진 철거를 거부하던 주민들은 경찰이 강제 철거에 나서자 어쩔 수 없이 '자진 철거'에 나설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이들을 수용할 예정지였던 사당동은 전혀 '준비'가 거의 되어 있지 않은 상태였다. 305세대 1400여 명이 47대 트럭에 세간을 싣고 도착한 사당동은 천막은커녕 우물도 없고 나무만 있는 골짜기였다. 이주민들의 반발이 클 것은 당연지사. 서울시는 이번에는 이들을, 용산구 이촌동 택지조성지에 데려다놓고 떠나버렸다. 이들은 트럭에서 내리는 것을 거부하고 데모하기 위해 시청으로 향했지만, 기동경찰대에 막혀 그 자리에서 농성하며 밤을 새울 수밖에 없는 처지가 되었다.
당시 조선일보의 보도(네온사인, 1965. 10. 13)에 따르면 서울시가 이틀 후 "부랴부랴 천막 30장을 구입, 우선 사당동에 급한 사람부터 수용시키고 변소와 우물도 곧 만들어줘야겠다고 뒤늦게야 부산을 떨며 '전혀 예상하지 않았던 것이라 철거 비용의 국고영달(예비비)을 상신하겠다'고" 했다니, 당시 서울시의 준비 상태가 어땠는지 알 수 있다.
당시 서울시의 '주먹구구'는 여기에 그치지 않는다. 첫 이주가 있은 지 2주 후에는 성북구 상월곡동 산1번지에서 강제철거를 당한 200여 명 철거민이 사당동으로 왔으나, 영등포구청에서 연락받은 바 없다며 이들을 퇴짜 놓는 바람에 다시 전에 살던 곳 들판에서 노숙을 한 뒤 다음날에야 사당동 정착지로 가게 되었다고 한다. 영등포구청이 일방적으로 내부방침을 정하길 '전에 이사 온 성북구 철거민들이 너무 사나워서 다시는 성북구에서 오는 사람은 받지 않기로 했기 때문'에 발생한 해프닝이었다고 한다.
이곳은 수도가 없어 10분 거리에 있는 배나무골에 가서 물을 길어 먹었고, 버스는 30분을 걸어 흑석동 종점에 가서 타고 다녀야 했다. 1966년이 되어서야 서울시는 구호대책을 세운다고 부산히 움직이기 시작하는데, 그 내용은 '가구별 8평씩의 대지를 분배하고 5.5평씩 흙벽돌집을 짓게 하며, 35만원을 투입해 우물 5개를 증설하고 변소를 고치는 것' 등이었다. 집집마다 물지게가 없는 집이 없었는데, 물 한 지게에 20원씩 내고 길어 먹었다. 수도는 1981년부터 집집마다 설치되기 시작했다.
교육난에 교통난, 당시 사당동 사람들의 고충... 7명 익사 사고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