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고등학교 수업 모습. 자료사진
연합뉴스
"선생님, 마스크 때문에 집중이 안 돼요."
마스크를 제대로 착용하라고 했더니, 한 아이가 짜증을 냈다. 지금 학교는 기말고사가 한창이다. 광주광역시의 경우, 지난 5일부터 학교 내 거리 두기 제한이 풀려 전 학년이 등교하고 있다. 모두가 한날한시에 시험을 치르는 건 코로나로 비대면 수업이 일상화된 이후 처음이다.
습하고 무더운 날씨가 이어지다 보니, 마스크 착용을 두고 학교 곳곳에서 실랑이가 벌어지고 있다. 씌우려는 교사와 벗으려는 아이들. 흡사 '두더지 잡기' 게임 같기도 하다. 작년 여름만 해도 마스크를 스마트폰 챙기듯 하며 스스로 조심했는데, 이젠 옛날이야기가 돼버렸다.
그땐 지역에서 한두 명의 확진자만 나와도 기겁했다. 학교는 전면 비대면 수업으로 전환했고 각자 외출을 삼가며 사태를 예의주시했다. 그런데 이젠 두 자릿수가 나와도 전혀 놀라는 기색이 없다. 경각심은커녕 긴장감마저 풀어져 언뜻 '될 대로 되라지' 식의 체념마저 느껴진다.
"마스크 때문에 얼굴이 가렵고 자꾸 뾰루지가 나요."
"마스크 끈에 귓바퀴 뒤쪽이 헐었어요."
"점심시간 마스크를 벗었다 다시 쓸 때면 역겨운 쉰 냄새가 나요."
아이들은 마스크를 벗기 위해 온갖 핑계를 댄다. 장난기 가득한 표정으로 보아 거짓말이 분명하지만, 그렇다고 나무라기도 뭣하다. 나 역시도 그런 경험이 있고, 동료 교사들도 서로 '좋은' 마스크에 대한 정보를 교환하기도 한다. 여기서 '좋은' 마스크란, 방역 효과가 뛰어난 게 아니라, 착용하기 편한 제품이란 뜻이다.
추운 겨울에는 방한대로서 나름 유용한 도구이지만, 요즘 같은 여름엔 그야말로 '얼굴에 채우는 차꼬'다. 가만히 쓰고만 있어도 땀이 차는데, 한 시간 수업을 마치고 나오면 마스크가 젖은 빨래 마냥 축축해진다. 그 상태에서 다시 착용하는 건 차라리 고문이다.
그런 까닭에 출근할 때 두어 개를 더 챙겨 집을 나선다. 최소 오전과 오후에 각각 한 개씩이 필요하다. 그나마 마스크의 가격이 내려가서 망정이지 품귀 현상이 벌어졌던 작년이었다면 엄두도 못 냈을 것이다. 습기 찬 마스크는 방역 효과가 크게 떨어진다는 뉴스도 들은 터다.
개당 1500원, 그것도 요일에 맞춰 줄을 서서 사야만 했던 작년 식품의약품안전처 인증(KF) 방역 마스크가 올해엔 말 그대로 '똥값'이 됐다. 마침 마스크가 떨어져 똑같은 제품을 인터넷을 통해 구매했는데, 이래도 되나 싶을 정도로 쌌다. 200개들이 한 상자가 고작 2만 5000원이었다. 개당 125원인 셈이다.
시험 감독관이라기보다 시험실 방역 관리자
시험 도중 아이들과 실랑이를 벌여서는 곤란하다. 시험 감독관에겐 철칙이 하나 있다. 어떠한 경우라도 수험생에게 스트레스를 주지 말아야 한다는 것. 부정행위로 의심되는 행동이 아니라면 무조건 수험생을 배려해야 한다. 감독관은 부정행위를 적발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수험생이 불편함 없이 시험을 치를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이 우선이다.
그렇다고 아이들이 마스크를 벗도록 허용할 순 없다. 더욱이 교실의 창문이 닫힌 데다 에어컨이 가동되고 있는 상태에서 마스크 착용이 중요한 건 두말할 나위가 없다. 코로나 와중에 치러지는 기말고사에서 교사는 시험 감독관이라기보다 시험실 내 방역 관리자다.
종료령이 울리고 감독관이 교실을 나가기 무섭게 아이들은 참았던 숨을 몰아쉬듯 마스크를 벗거나 턱에 걸친다. 그 모습에 놀라 교실로 들어가 마스크 착용을 강제하지만 그때뿐이다. 교사가 지켜보면 쓰고, 안 보면 벗는 아이들의 철딱서니 없는 행동을 보면서도 지치면 안 된다.
점심시간은 아이들이 일과 중 마스크를 벗을 수 있는 유일한 때다. 줄을 서거나 배식할 때까지는 착용해야 하지만, 적어도 자리에 앉아 식사할 때만큼은 마스크로부터 해방된다. 하지만 이때도 교사는 급식소의 방역 책임자로서 긴장을 늦춰서는 안 된다.
혼자 묵묵히 식사만 하고 급식소를 나서는 경우가 드물어서다. 옆 친구와의 대화는 점심시간에 누릴 수 있는 가장 큰 호사라, 밥 먹다 말고 자꾸만 급식 지도 교사의 눈치를 본다. 떠들다 걸린 몇몇 아이들은 식판만 쳐다보며 홀로 먹는 밥에 체할 것 같다며 푸념하기도 한다.
식탁 위에 설치한 칸막이도 무용지물일 때가 있다. 학년별로 급식 시간의 차이를 두는 한편, 서로 격리해 앉을 수 있도록 지정석을 마련해두었지만, 교사의 눈을 피한 아이들의 수다는 이어진다. 만약 학교에서 집단 감염이 일어난다면, 그 시작점은 점심시간 급식소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