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포주공1단지 1·2·4주구 관리처분계획인가 승인을 알리는 현수막(2018)
서울역사아카이브
이러한 흔적남기기 사업은 비단 박원순 전 서울시장만의 시책이 아니다. 박 전 시장이 취임하기 훨씬 이전인 2008년부터 대전시는 흔적남기기 사업을 시행하고 있었고, 최근 전주시도 재개발 흔적남기기 제도화를 추진 중이다. 이러한 흔적남기기는 역사와 문화뿐 아니라 공익적인 측면에서도 충분한 가치가 있는 도시계획안으로써 사회적 인정을 받는 중이다.
이 사업이 하루아침에 이루어진 것도 아니다. 서울시는 2012년 근대유산의 미래유산화(化) 기본구상을 바탕으로 2018년 대상지 선정과 이후 실제 시행에 이르기까지, 실로 수많은 기관의 연구와 각 부서·구청과의 협의를 거쳐왔다.
이렇듯 흔적남기기 사업은 서울시의 미래가치를 위해 장기적 관점에서 준비되어 왔고, 이제 실제 모습을 볼 날이 머지않은 참이다. 그런데 오 시장은 커튼을 열어보기도 전에 서울시가 그간 들여온 노력을 무로 돌리려는 것이다. 그간 경제지를 비롯하여 이 사업을 반대해온 이들은 옛 건물의 '흉물스러움'을 이유로 들었다. 이 또한 오 시장과 마찬가지로 사업의 실제를 보지도 않고서 내린 성급한 결론이라 본다.
옛 건물의 보존은 박물관 등 역사문화시설로 리모델링할 것을 전제로 결정됐다. 한참 재개발 공사가 진행중인 단계에서 보존동이 흉물스러울 거라 단정할 순 없다. 오히려 역사를 품은 재개발 단지로 그 품격을 올리는데 일조할 가능성이 더 크지 않겠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