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12월, 서울역에 군인이 지나가고 있는 모습.
연합뉴스
후보들도 심각성을 모르는 건 아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는 지난 12월, 5대 국방 공약 중 하나로 징집과 모병을 혼합한 '선택적 모병제'를 내세웠다. 그의 '선택적 모병제'는 현재 징집병 30만 명을 2027년까지 절반으로 줄인 뒤 나머지 절반은 전투부사관, 군무원, 민간위탁으로 각각 5만 명씩 충원해 상비군을 40만 명으로 줄이겠다는 정책이다.
안철수 후보도 지난 11월, '준모병제' 공약을 발표했다. 안 후보의 '준모병제'도 이 후보와 마찬가지로 현재 징집병을 절반으로 줄인다는 점은 동일하다. 그러나 줄어든 절반의 절반, 즉 7만5000명을 전문 부사관으로 대체하겠다는 차이가 있다.
심상정 후보는 아예 '완전 모병'을 주장했다. 심 후보는 2029년까지는 징·모병 혼합제로 12개월 징집병과 4년 복무하는 전문병사로 혼합 운영하다가 2030년부터는 징병을 전면 폐지하고 병력 30만 명을 유지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반해 윤석열 후보는 지난 9월, 유승민 전 의원과의 경선토론에서 "장기적으로 20년 정도 지나면 모병제로 가야 하지 않을까 싶다"며 당장의 모병제에는 부정적인 모양새다. 그러나 그 역시 지난 1월 24일 외교·안보 공약을 발표하면서 '국방혁신 4.0'을 추진해 병력 중심의 군에서 탈피, 2040년까지는 무인전투체계로 전환하겠다며 병력 감축의 의지를 보였다.
네 후보는 방향성과 내용은 다르지만 병력 감축이 필요하다는 '대의'엔 모두 공감하고 있다. 그만큼 현재 한국의 병력 자원 문제는 심각하다는 증거다. 하지만 후보들 모두 공통된 내용의 공약을 발표해놓고는 토론에서는 관련해 한 마디도 꺼내지 않았다. 김형남 군인권센터 사무국장의 우려처럼 '좋은 말 대잔치'로 끝나지는 않을까 걱정이 앞선다(관련 기사 :
좋은 말 대잔치 '병역' 공약...됐고, 이 문제부터 풀어라).
사드 추가 배치 문제는 중요한 안보 문제다. 그러나 특정 후보의 공약일 뿐 한국 사회가 앞으로 마주할 '정해진 미래'라고 할 순 없다. 반면 병력 감축은 한국 사회가 앞으로 마주할 '정해진 미래'다. 네 후보 모두 나름의 병력 감축안이 있는 만큼 향후엔 이 필연을 해결할 방안을 두고 치열하게 토론하길 바란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댓글2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