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오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 모니터에 이날 거래를 시작한 코스피와 원/달러 환율, 코스닥 지수가 표시돼 있다.
연합뉴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지난 16일(현지시간) 기준금리를 0.25%p 인상했다. 연준이 금리를 올린 건 지난 2018년 12월 이후 3년 3개월 만이다. 이날 금리인상으로 2020년 3월부터 유지돼 온 '제로 금리 시대'가 막을 내리게 됐다.
이번 금리인상에 대해 시장은 일단 안도하는 분위기다. 기술주 중심의 미국 나스닥 지수는 전날 종가 대비 3.77% 급등했고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와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 역시 각각 2.24%, 1.55% 상승했다. 코스피 역시 17일, 전 거래일 보다 1.33% 오른 2694.51에 장을 마쳤다.
불확실성의 일부 해소로 시장은 한숨 돌리는 듯한 분위기지만 과거 미국의 금리인상은 세계 경제에 크고 작은 영향을 미쳤다. 10년여간 지속해왔던 제로금리 시대를 마감하고 연준이 기준금리를 올린 지난 2015년 12월에도 그랬다. 강달러 현상이 지속됐고, 신흥국에서 선진국으로의 '머니무브(Money Move, 자금 이동)'가 이어졌다. 이에 따라 중국을 포함한 신흥국 증시는 폭락했다. 연준의 금리인상에 전 세계 투자자들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는 이유다. (관련 기사:
다시 돌아온 금리인상기... 5년 전엔 신흥국 강타, 내년엔? http://omn.kr/1wkwc)
미국은 왜 금리를 올릴까
"(금리인상을 빠르게 진행해도) 경기가 침체될 것으로 보지 않는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16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마친 후 이어진 기자회견에서 이같이 말했다. '금리인상을 속도감 있게 진행하면 경제가 침체에 빠질 수 있는 것 아니냐'는 취재진의 질문에 대한 답변이다. 파월 의장은 "총수요가 강하고 계속 그럴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일자리 증가가 매우 높은 수준으로 지속되는 데다 가계 및 기업의 재무상황이 양호하다"며 "이런 징후들은 강력한 경제 상태라는 걸 보여주고 통화 긴축을 견딜 좋은 위치에 있다고 판단한다"라고 밝혔다.
이날 기자회견은 인플레이션으로 시작해 인플레이션으로 끝났다. 이번 금리인상 결정에 치솟는 물가를 잡겠다는 연준의 강력한 의지가 담겨 있었다는 이야기다. 실제 미국의 2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년 같은 기간 대비 7.9% 올라 40년 만에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연준이 인플레이션과 전쟁을 선포할 수밖에 없었던 배경이다.
금리인상이 시작된 이상 앞으로 관건은 '속도'다. 금리인상의 속도에 따라 세계 자본시장에 미칠 영향력 또한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파월 의장은 남은 FOMC 회의에서 한 번에 금리를 0.5%p를 인상할 수도 있는지 묻는 질문에 "모든 FOMC 회의는 '라이브'다. 금리를 더 빨리 인상하는 게 적절하다고 판단되면 그렇게 하겠다"며 가능성을 열어뒀다. 게다가 FOMC 위원들은 앞으로의 금리 전망을 나타내는 점도표에서 연말 적정 기준금리를 1.9%로 예상했다. 이 수준에 도달하기 위해선 올해 남은 6번의 FOMC 회의 때마다 0.25%p씩 인상해야 한다.
김진일 고려대 경제학과 교수는 미국의 금리인상이 세계 자본 시장에 충격을 줄 가능성에 대해 "금리인상 자체보단 인상 속도가 예상보다 빠른지에 달렸다"고 설명했다.
금리, 어디까지 오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