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미래연구원 <청년세대의 부정적 미래인식과 개선방안> 보고서 중에서 연령별 미래 인식을 표현한 그래프
국회미래연구원
한국의 20대 가운데 '15년 뒤 미래가 더 좋아질 것'이라고 기대하는 이들은 겨우 6.5%에 불과했다. 30대 또한 10%에 그쳤다.
국회미래연구원이 3일 공개한 <청년세대의 부정적 미래인식과 개선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전국 3000명 시민을 대상으로 '미래정책의 국민선호 연구'를 진행한 결과 ▲15년 뒤 미래는 지금보다 더 좋아질까(미래 낙관) ▲개인의 힘으로 미래사회를 바꿀 수 있을까(미래 참여) ▲15년 뒤 내가 기대하는 미래가 실현될까(미래 기대)란 질문에 20대는 6.5%, 30대는 10%만 동의했다. 40대 21.9%, 50대 24.5%, 60대 이상 37.1% 동의한 것과 온도차가 큰 결과다.
연구자들은 20~30대 청년 21명을 만나 소그룹으로 나눠 3시간 안팎의 집중 인터뷰를 진행한 내용도 소개했다(남성 13명, 여성 8명). 이에 따르면, 응답자들은 크게 일자리와 주거문제, 자신의 성장을 도와줄 공동체의 부재, 기성세대 불신 등을 심각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한 청년은 "내가 뭘 하든 언제나 내쳐질 수 있다고 생각한다"며 "계속 '누군가보다 조금 더 잘해야지 잘 살 수 있다'는 구조에서 살았기 때문에 지금 내가 서 있는 곳에서 안정을 느낄 수가 없다"고 토로했다.
또 다른 청년은 "누군가에게 조언을 구할 만한 사람이 (현재 지역에) 남아있지 않은 거다. 모든 것을 온라인 정보에 의해서만 알게 된다"며 "정말 실생활에, 자기 나이를 10년 정도 더 살아온 청년에게 질문을 하거나 해서 얻어지는 그런 인생의 지혜를 알 수 있는 루트가 전혀 없다"고 했다. 한 참가자는 "제게 미래는 터널이다. 터널은 처음 들어갈 때랑 나올 때랑 풍경이 좀 다르지 않나. 그런데 터널 나왔더니 계속 밤이고 그러면 어쩌죠"라며 불안감을 드러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