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2일 오전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2023 제1차 KB굿잡 우수기업 취업박람회'에서 취업준비생들이 채용공고를 살펴보고 있다.
연합뉴스
그래도 돌아가지 않겠다고 하는 이유
일자리뿐만 아니라 교통에 대한 의견도 있었다. '교통은 좋지만 통근시간이 긴 경우'가 더러 있었는데, 높은 거주비용으로 직장 근처가 아닌 유지 가능한 집을 구해야 하기 때문이었다. '비수도권 지역에서 거주할 때보다 거주환경이 좋지 않고, 열악함에도 임금의 상당 부분이 거주비용으로 지출'되고 있었다. '예상했던 것보다 삶의 질이 낮으며, 수도권의 문화 인프라를 제대로 누릴 수 있을 만큼 여유가 있지 않다'고도 답했다. 거주문제가 해결되지 않는 경우 일자리를 포기해야 하는 상황까지 치닫고, 생존의 문제로 직결되고 있었다.
"월 소득의 한 1/4 정도가 월세로 빠져나간다. 그래서 부담스럽다. (월세를) 줄이고 싶지만 서울에서 집을 구하는 게 어렵다보니 어쩔 수가 없다. 그래도 지금 살고 있는 집은 제 형편에 좋은 조건이기 때문에 만족한다. 원룸 사는 지인의 집에서도 지내봤는데, 공간 분리가 중요하더라. 방 하나 더 있는 게 이렇게 만족스러운 것인지 몰랐다. 지금 제가 사는 투룸 정도가 인간이 살 수 있는 주거 기준의 최소 조건이라는 생각도 든다." (B씨)
"집을 구하려고 하면 너무 작았다. 어릴 때부터 여러 주거 형태에 다 살아봤다. 옥탑, 고시원, 반지하, 기숙사 등등... 서울에 와서 열악한 주거환경을 마주하면서 고민이 들었다. 아무리 눈 씻고 찾아봐도 괜찮은 집이 부족하다. 방음도 잘 안 되고, 좁고... 그런 집들이 대분을 차지하는 듯하다. 지역에서는 당연하게 누렸던 조망권이라는 것이 없다." (A씨)
이같은 어려움에도 비수도권 지역으로 되돌아가는 것에 대해선 부정적인 반응이었다. "비수도권에 비해 수도권에 사는 것이 전반적으로 만족도가 높고, 노동환경과 주거비용 등에 어려움이 있으나 그밖의 일자리 양, 교통, 편의시설, 교육, 생활문화를 위한 인프라 구축이 잘 돼 있기 때문"이라고 한다.
격차의 심화, '개입'이 필요하다
이와 동시에 청년들은 지역 격차와 일자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도 고민 중이었다. 지역 일자리와 인프라 문제는 결국 지역 예산이나 재정 문제와 연결돼 있기 때문에 단기적인 해결책으로서 지역 이주 후에도 고향에 세금을 납부해 지역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방안을 제시했다. 수도권으로 인구가 몰리면서 재정 역시 수도권에 집중되는 현상은 결국 수도권만을 인생의 선택지로 국한하는 결과를 가져오고, 지역격차가 심화되는 요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더불어 수도권 상경청년에 대한 기존 청년정책에 지역이동 특수성을 반영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상경청년은 지역이동에 따른 주거비 부담, 관계망 단절, 정보부족 등을 경험한다. 특히 관계망 단절에 따른 외로움, 고립감, 우울감 등의 문제는 더 큰 문제를 야기할 수 있기 때문에 지역 커뮤니티 모임이나 상담센터 연결 등의 다차원적인 개입이 필요하다.
이처럼 상경청년을 대상으로 하는 수도권(특히 서울)차원의 대상 정책이 별도로 수립되거나, 주거비 지원에 있어 인센티브를 주는 등의 접근을 논의해야 할 필요가 있다. 지방소멸의 가속화와 노령화, 지역 일자리 부족 속에서 상경을 선택한 청년들의 적정한 생활여건을 보장하는 것 역시 정부의 역할이기 때문이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공유하기
"서울살이 험난... 그래도 여기는 실패할 기회라도 있다"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