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석열 대통령이 17일 경북 예천군 감천면 벌방리를 찾아 산사태 피해 현장을 살펴보고 있다.
연합뉴스
서울 강남 지역 침수 피해를 두고 2022년 대한민국에서 벌어질 수 있는 상황이 맞느냐는 국민들의 한탄이 터져 나왔던 게 불과 1년 전이다. 정부가 책임감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수해 예방 대책을 지시할 시간은 충분했다. 윤 대통령은 그때나 지금이나 변함이 없다.
이태원 참사 이후 대응도 크게 다를 건 없었다. 당시 참사 직후 이태원 참사 현장을 찾은 윤 대통령은 "뇌진탕" 운운하며 미흡한 상황 인식을 온 국민 앞에 드러냈다. 이후 이태원 참사를 수습하는 과정 역시 경찰을 비롯한 일선 현장 인력을 향해 질타를 쏟아내며 책임을 떠넘기는 듯한 자세로 일관했다. 사태 발생, 질타와 책임 떠넘기기, 감사와 수사, 일부 책임자에 대한 선택적 처벌의 과정이 반복되는 모양새다.
더 큰 문제는 재난에 대처하는 윤 대통령과 정부의 이러한 국정운영과 통치 스타일이 쉽사리 변할 것 같지 않다는 데 있을 것이다. '검사동일체 원칙'과 '검찰 무오류 신화'로 점철된 그 스타일 말이다.
책임보다 질타를 앞세우는 윤 대통령의 통치 스타일이 근래 들어 돌출된 것도 아니다. 집권 이후 노골적일 만큼 일관적이었다. 여소야대 국회도, 재난 일선 현장의 경찰과 공무원들도, 수능을 관장하는 교육부도, 노조나 시민단체까지 모두 질타의 대상일 뿐이었다. 국정 운영의 총책임자인 대통령이 질타에 뒤따르는 무책임으로 일관하는 것 자체가 일종의 메시지다. 도지사도, 장관들도 이런 메시지에 영향을 받는 것 아닐까.
반복되는 참사 앞에서 국민들의 불안과 분노를 키우는 것은 누구인가. 적어도 내년 총선 전까지, 대통령이 질타와 호통 대신 반복되는 참사 앞에 책임을 통감하는 자세로 국민 불안을 해소시키는 장면을 기대하는 일은 요원해 보인다.
그러는 사이, 경북 예천 내성천에서 실종자 수색에 나섰던 해병 장병이 급류에 휩쓸려 실종된 뒤 사망하는 일까지 발생했다. '국가가 국민들 좀 그만 좀 죽였으면'이라는 국민들의 한탄은 언제까지 계속돼야 하는가.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탈자 신고
댓글15
기고 및 작업 의뢰는 woodyh@hanmail.net, 전 무비스트, FLIM2.0, Korean Cinema Today, 오마이뉴스 취재기자, 현 영화 칼럼니스트, 시나리오 작가, '서울 4.3 영화제' 총괄기획.
기사를 스크랩했습니다.
스크랩 페이지로 이동 하시겠습니까?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