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네트워크, 20일 경남도청 프레스센터 기자회견.
윤성효
"낙동강 녹조 해결은 보 수문 개방이다. 수문 개방하면 국가녹조대응센터 필요 없다."
이명박정부 4대강사업 이후 낙동강에 녹조가 심해지면서 국가녹조대응센터 건립이 거론되는 가운데, 환경단체들은 "보 수문을 먼저 열어 녹조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이같이 외쳤다.
낙동강네트워크가 20일 오후 경남도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경남도와 환경부는 국가녹조대응센터 건립추진 백지화하고 녹조 문제의 근원적 해결책인 낙동강 수문 개방 추진하라"고 한 것이다.
국가녹조대응센터 건립은 녹조 발생을 막겠다는 게 아니라 생겨나는 관리하겠다는 것이기에 안된다는 것이다. 국가 차원의 녹조 전담기관 설립은 2023년 국회에서 물환경보전법 개정안이 발의됐지만 21대 국회 회기가 종료하면서 자동폐기됐다.
경남도는 22대 국회에서 관련 법을 다시 발의하고, 국회 의결을 거쳐 창녕군 남지읍에 조류 분석, 배양시설 연구 등을 하는 센터를 설립한다는 계획이다.
녹조는 수온이 높고 오염물질이 유입되고 물 흐름이 없거나 정체되면 흔히 발생한다. 환경단체는 4대강사업으로 낙동강에 창녕함안보를 비롯해 8개 보가 생겨나면서 물이 정체돼 녹조가 발생하기에 수문을 열거나 보를 없앨 것을 요구하고 있다.
낙동강네트워크는 "녹조 독은 한번 발생하면 독성의 반감기가 최소 3개월에서 6개월까지로 독이 완전히 사라지기까지는 1년 이상의 기간이 걸린다"라며 "때문에 녹조 독에 대한 환경피해는 발생 후 관리가 아니라 발생 자체를 막는 예방이어야 하는 것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국가녹조대응센터는 단지 고위 관료 자리 만들기 용으로 전락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녹조 대응에 있어서 윤석열 정부는 정책 추진의 정당성과 신뢰성을 상실했다"라며 "그렇기에 우리는 국가 녹조대응센터에 앞서 낙동강 보 수문 개방과 자연성 회복이 전제될 것을 강력하게 요구한다"라고 강조했다.
낙동강네트워크는 "단언하건대 국민을 위한 안전한 낙동강 녹조문제 해결 방법은 수문개방과 보처리방안마련 등 자연성 회복을 통해 낙동강을 흐르게 하는 것이다"라며 "녹조문제 해결이 지체되면 될수록 국민들의 생명과 안전은 벼랑 끝으로 내몰리게 된다"라고 했다.
녹조제거제와 관련해 이들은 "설상가상으로 현재 정부는 녹조발생 저수지와 하천에 녹조제거제를 살포하고 있다"라며 "상류의 저수지와 하천에 살포된 녹조제거제는 영남주민들이 상수원으로 사용하는 낙동강으로 유입될 것은 자명한 사실이다"라고 말했다.
더불어민주당, 진보당에 대해, 이들은 "녹조대응건립센터 백지화 하고 녹조독으로부터 안전한 낙동강 물 관리를 위한 약속을 실현하는데 나서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