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장은 어디에 지어야 하는가

[홍용석의 부동산 과외 56] 공장의 입지유형

등록 2007.03.05 13:41수정 2007.03.05 13:41
0
원고료로 응원
공장은 어떤 장소에 입지해야하는가. 즉, 공장을 어디에 지어야 하는가에 대해 대표적으로 두 사람의 이론이 있다. 먼저 베버(A. Weber)는 운송비가 최소가 되는 지점에 공장을 지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반면에 뢰쉬(A. Lösch)는 수요가 가장 많은 곳 즉, 시장확대 가능성이 가장 많은 곳에 공장을 지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두 사람의 이론 중 현재까지는 베버의 이론이 더 힘을 얻고 있는 것 같다. 베버의 이론에 따르면 공장은 운송비가 가장 적게 드는 지점에 위치해야 하는데, 이에 근거하여 공장의 입지유형은 원료지향형 산업과 시장지향형 산업으로 나누어진다.

@BRI@원료지향형 산업은 공장을 원료산지에 짓는 경우이다. 원료산지에 공장을 짓는 산업으로는 중량감소 산업을 들 수 있다. 중량감소 산업이란 제품의 무게가 원료의 무게보다 가벼워지는 경우이다. 가령 원료 2㎏을 가지고 제품을 만들면 제품은 1㎏이 되는 경우이다. 중량감소산업으로 예로는 시멘트공업, 제련공업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중량감소 산업은 운송비 절감을 위해 원료산지에 공장을 짓게 된다. 왜 그런지 살펴보자. 위의 예에서 공장을 원료산지에 짓게 되면 판매시장까지 가벼운 제품 1㎏을 싣고 오면 되지만 만약에 공장을 판매시장에 짓게 되면 무거운 원료 2㎏을 판매시장까지 싣고 와야 되므로 운송비가 더 많이 들기 때문이다.

반면, 시장지향형 산업은 제품의 판매시장에다 공장을 짓는 경우이다. 시장지향형산업으로는 중량증가산업을 들 수 있다. 중량증가산업이란 제품의 무게가 원료의 무게보다 무거워지는 경우이다. 가령 원료 1㎏을 가지고 제품을 만들면 제품은 2㎏이 되는 경우이다. 중량증가산업의 예로는 청량음료, 맥주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중량증가산업은 운송비 절감을 위해 판매시장에 공장을 짓게 된다. 왜 그런지 살펴보자. 위의 예에서 공장을 원료산지에 짓게 되면 제품의 판매시장까지 무거운 제품 2㎏을 싣고 와야 한다. 그런데 만약에 공장을 판매시장에 짓게 되면 판매시장까지 가벼운 원료 1㎏을 싣고 오면 되므로 운송비가 더 적게 들기 때문이다.

그런데 원료나 제품의 무게 외에도 운송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있다. 대표적인 것이 '부피'다. 만일 제품의 부피가 원료의 부피보다 커지는 경우라면 이 때도 공장을 판매시장에 짓는 것이 유리하다. 부피가 커지면 운송비가 더 많이 든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판매시장까지 원료를 싣고 오는 것이 운송비가 더 적게 들어간다.


한편, 의류나 신발같이 노동집약적인 산업은 노동력이 풍부한 저임금지역에 공장이 입지하게 된다. 이러한 형태를 노동지향형 산업이라고 한다.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AD

AD

AD

인기기사

  1. 1 81분 윤·한 면담 '빈손'...여당 브리핑 때 결국 야유성 탄식 81분 윤·한 면담 '빈손'...여당 브리핑 때 결국 야유성 탄식
  2. 2 나무 500그루 가지치기, 이후 벌어진 끔찍한 일 나무 500그루 가지치기, 이후 벌어진 끔찍한 일
  3. 3 민박집에서 이런 이불을 덮게 될 줄이야 민박집에서 이런 이불을 덮게 될 줄이야
  4. 4 [단독] 명태균 "검찰 조사 삐딱하면 여사 '공적대화' 다 풀어 끝내야지" [단독] 명태균 "검찰 조사 삐딱하면 여사 '공적대화' 다 풀어 끝내야지"
  5. 5 윤석열·오세훈·홍준표·이언주... '명태균 명단' 27명 나왔다 윤석열·오세훈·홍준표·이언주... '명태균 명단' 27명 나왔다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