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에도 숲이 있어야 숨을 쉴 텐데

[인천 골목길마실 56] 아기 데리고 나무숲 마실을 하면서

등록 2009.07.30 20:19수정 2009.07.30 20:19
0
원고료로 응원
【오마이뉴스는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생활글도 뉴스로 채택하고 있습니다. 개인의 경험을 통해 뉴스를 좀더 생생하고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당신의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하루에 한두 번쯤, 아기와 함께 마실을 합니다. 아기한테 "이야 가자" 하면 금세 알아채며 좋아합니다. 엄마와 아빠가 가방을 챙기고 부산을 떨면 얼른 안아 달라고 엄마나 아빠 종아리를 붙들며 고개가 뒤로 젖혀지도록 올려다봅니다.

 

 품에 안으면 아기는 앞을 보고 싶어 얼른 몸을 뒤틉니다. 포대기나 베낭포대기를 하지 않으면 앞으로 안고 걸어야 하니 퍽 고단합니다. 이 나라 모든 엄마 아빠 들은 이렇게 아기를 안고 어르고 달래면서 손목이 나가고 팔꿈치가 나가고 어깨가 나가고 허리가 쑤시고 하겠구나 싶습니다. 아이가 커서 제 엄마 아빠 등과 허리를 두들겨 주고 주물러 주지 않고서야 풀릴 수 없는 몸뚱이가 아닌가 싶습니다.

 

a

나무숲이 그리 넓지는 않으나 제법 우거진 수봉공원은, 인천 도심지에 아주 드문 쉼터입니다. 이런 쉼터를 더 마련하는 일이 아파트 짓는 일보다 도시를 살리며 살맛나게 하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 최종규

나무숲이 그리 넓지는 않으나 제법 우거진 수봉공원은, 인천 도심지에 아주 드문 쉼터입니다. 이런 쉼터를 더 마련하는 일이 아파트 짓는 일보다 도시를 살리며 살맛나게 하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 최종규

 

 맑고 밝은 햇살이 내리쬐는 낮나절 집을 나선 세 식구는, 시내버스를 타고 수봉공원으로 갑니다. 수봉공원에 있던 놀이기구는 하루아침에 사라지고, 거님길이 생겨 볼거리가 없지만, 인천이라는 도심지에서 제법 너른 숲을 느낄 만한 데는 이곳 수봉공원 한 곳뿐이 아닌가 싶습니다. 문학산과 계양산은 우리 집에서 퍽 멀기도 하고, 아직은 아기를 데리고 갈 만하지 않다고 느낍니다. 수봉공원 놀이기구가 고스란히 남아 있다면, 허니문카라도 타면서 아기와 함께 둥실둥실 하늘을 떠다니기라도 할 텐데, 놀이공원 시설이 오래되었다고 싹 걷어치우는 공무원 정책이 몹시 안타깝습니다. 시설이 오래되었으면 더 자주 손질하거나 고쳐 놓으면 되지 않았을까 궁금합니다.

 

 시내버스는 옛날 인천 숭의야구장 터 옆을 지나갑니다. 이곳 숭의야구장도 헐려 없어졌습니다. 공설운동장도 함께 헐려 없어졌습니다. 이 자리에는 축구전용구장을 세운다고 합니다. 공설운동장과 숭의야구장은 누구나 여느 때에도 드나들며 운동을 즐기던 쉼터였는데, 축구전용구장이 되면 동네사람들은 얼마나 가까이할 수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그보다 인천에는 월드컵경기장이 버젓이 있는데 따로 축구장을 하나 더 지어야 할 까닭을 모르겠습니다.

 

 시내버스는 달리고 달려 제물포역을 지나 수봉산으로 엉금엉금 올라갑니다. 아기를 낳기 앞서는 자전거를 타고 오르던 길인데, 버스로 오르니 손쉽게 금세 오릅니다. 땀 한 방울 흘리지 않고 오르니 시간을 아끼고 품을 덜 들인다 하겠으나, 어쩐지 길맛을 못 느끼겠습니다. 자전거를 타고 오르거나 옆지기하고 손을 잡고 두 다리로 올랐을 때에는 골목골목 촘촘히 누비면서 사람 살아가는 모습을 낱낱이 느낄 수 있었는데.

 

a

나무숲이 있는 공원 한켠에서 동네 할머니와 아이를 만납니다. ⓒ 최종규

나무숲이 있는 공원 한켠에서 동네 할머니와 아이를 만납니다. ⓒ 최종규

 

 곧바로 공원 안쪽으로 들어갈까 하다가, 동네를 살짝 한 바퀴 돌고 들어가기로 합니다. 골목집 담벼락에 붙은 괘종시계를 보고, 쓰레기 버리지 말라는 알림판 위로 자라는 호박을 보며, 골목집 담벼락 너머로 가지를 뻗친 모과나무를 봅니다. 시가지를 훤히 내려다보며 마르는 이불 빨래를 보고, 이사를 가고 오는 사람들 짐꾸러미를 봅니다.

 

 한낮이라 차가 뜸할 수 있으나, 이곳까지 차를 들이밀고 나다닐 사람은 안 많으리라는 생각이 듭니다. 오가는 차가 거의 없다 보니 아주 고즈넉하며, 공기도 퍽 맑은 듯하고(다른 도심지보다), 공원에서 사는 새들 우짖는 소리가 들립니다. 어제는 율목동에서 도라지와 해바라기와 나리와 옥수수가 한 자리에서 해맑게 핀 모습을 보았다면, 오늘은 수봉공원 둘레 용현1동과 숭의2동에서 여느 사람들 삶자락과 잘 마르는 빨래 들을 넉넉히 봅니다. 담벼락 너머로 고개를 내미는 나리꽃송이도 그지없이 곱습니다.

 

 공원 한쪽 그늘진 자리에 앉으니 바람이 참으로 시원합니다. 나무그늘 바람은 더없이 싱그럽고 즐겁습니다. 아파트 같은 높은 건물도 그늘을 길게 드리워 줄 테지만, 빌딩숲 그늘하고 나무숲 그늘은 사뭇 다릅니다.

 

 어린아이를 데리고 나온 동네 할머니하고 인사를 나누다가는, 우리가 싸 온 도시락을 먹습니다. 그러고 나서, 동네사람만 드나드는 샛길을 따라 거닐며 천천히 수봉산을 내려옵니다. 야트막하지만 제법 비알이 있는 수봉산은, 어릴 적 학교 다닐 때 언제나 소풍을 오던 곳이라 그때에는 질려서 오고 싶지 않았습니다만, 이제 아이를 낳고 아이와 함께 살아가는 몸이 되니, '그래도 가서 쉴 곳은 여기뿐이네' 하는 생각이 듭니다. 도시이든 시골이든 숲이 없다면, 나무가 없다면, 풀과 꽃이 없다면, 우리는 어떻게 숨을 쉬면서 살아갈 수 있을까 하고 새삼 느낍니다.

 

 아이는 어느새 잠듭니다. 잠든 아기를 안은 엄마아빠는 온몸이 땀으로 흥건합니다. 쉴새없이 부채질을 하며 아이가 더위를 먹지 않도록 애씁니다.

 

a

엄마와 아빠는 아기를 번갈아 안거나 업습니다. 아기를 안거나 업고 어느 만큼 거닐다 보면 아기는 어느새 잠이 듭니다. ⓒ 최종규

엄마와 아빠는 아기를 번갈아 안거나 업습니다. 아기를 안거나 업고 어느 만큼 거닐다 보면 아기는 어느새 잠이 듭니다. ⓒ 최종규

a

달동네는 비알을 따라 이루어지곤 합니다. 비알을 따라 이루어지는 동네는 집을 짓기도 힘들고, 오르내리기도 힘들어 집값이 싸고요. ⓒ 최종규

달동네는 비알을 따라 이루어지곤 합니다. 비알을 따라 이루어지는 동네는 집을 짓기도 힘들고, 오르내리기도 힘들어 집값이 싸고요. ⓒ 최종규
a

집 바깥벽에 그림을 새겨 놓은 모습을 바라봅니다. ⓒ 최종규

집 바깥벽에 그림을 새겨 놓은 모습을 바라봅니다. ⓒ 최종규

a

감나무 옆에서 마르는 빨래에는 감나무 냄새가 배어듭니다. ⓒ 최종규

감나무 옆에서 마르는 빨래에는 감나무 냄새가 배어듭니다. ⓒ 최종규

a

문간에 괘종시계를 붙여 놓아서 깜짝 놀랐는데, 시간이 잘 맞습니다. ⓒ 최종규

문간에 괘종시계를 붙여 놓아서 깜짝 놀랐는데, 시간이 잘 맞습니다. ⓒ 최종규

a

골목집 모과나무가 잘 익으면 하나쯤 따 가도 될까요. ⓒ 최종규

골목집 모과나무가 잘 익으면 하나쯤 따 가도 될까요. ⓒ 최종규

a

시가지를 내려다보는 빨래에는 무슨 느낌이 담길까요. ⓒ 최종규

시가지를 내려다보는 빨래에는 무슨 느낌이 담길까요. ⓒ 최종규

a

우리한테는 얼마나 넓고 큰 아파트가 얼마나 많이 있어야 할까요? 수봉공원 마실을 마치고 집으로 돌아오는 길목에서, 온갖 들꽃이 어우러진 모습을 보면서 눈물이 핑 돌았습니다. ⓒ 최종규

우리한테는 얼마나 넓고 큰 아파트가 얼마나 많이 있어야 할까요? 수봉공원 마실을 마치고 집으로 돌아오는 길목에서, 온갖 들꽃이 어우러진 모습을 보면서 눈물이 핑 돌았습니다. ⓒ 최종규

덧붙이는 글 | 글쓴이 인터넷방이 있습니다.

[우리 말과 헌책방 이야기] http://hbooks.cyworld.com
[인천 골목길 사진 찍기] http://cafe.naver.com/ingol

2009.07.30 20:19 ⓒ 2009 OhmyNews
덧붙이는 글 글쓴이 인터넷방이 있습니다.

[우리 말과 헌책방 이야기] http://hbooks.cyworld.com
[인천 골목길 사진 찍기] http://cafe.naver.com/ingol
#골목길 #골목마실 #골목여행 #인천골목길 #사진찍기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새로 쓴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를 꾸린다. 《쉬운 말이 평화》《책숲마실》《이오덕 마음 읽기》《우리말 동시 사전》《겹말 꾸러미 사전》《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시골에서 도서관 하는 즐거움》《비슷한말 꾸러미 사전》《10대와 통하는 새롭게 살려낸 우리말》《숲에서 살려낸 우리말》《읽는 우리말 사전 1, 2, 3》을 썼다.

AD

AD

AD

인기기사

  1. 1 '파묘' 최민식 말이 현실로... 백두대간이 위험하다
  2. 2 이사 3년 만에 발견한 이 나무... 이게 웬 떡입니까
  3. 3 도시락 가게 사장인데요, 스스로 이건 칭찬합니다
  4. 4 '내'가 먹는 음식이 '우리'를 죽이는 기막힌 현실
  5. 5 제주가 다 비싼 건 아니에요... 가심비 동네 맛집 8곳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