솔처럼 푸르고 백사처럼 깨끗한 동헌

[전통가옥의 숨은 멋 엿보기 101] 고창 무장읍성 동헌 취백당

등록 2011.09.27 09:53수정 2011.09.27 09:53
0
원고료로 응원
취백당 구름과 배롱나무. 이 둘이 어우러진 곳에 자리한 무장읍성의 동헌은 취백당은 한 폭의 그림이었다
취백당구름과 배롱나무. 이 둘이 어우러진 곳에 자리한 무장읍성의 동헌은 취백당은 한 폭의 그림이었다하주성

전라북도 고창군 무장면 성내리 155번지에 소재한 사적 제346호 '무장현 관아와 읍성'. 몇 번이고 찾아가고 싶었던 길을 번번이 뒤돌아서야 했던 곳이다. 고창군 답사를 서너 번을 했지만, 이상하게 이곳까지 갈 수가 없었다. 답사 중 날이 저물어서다. 지난 4일 마음을 먹고 찾아간 무장읍성. '가는 날이 장날'이라더니, 무장읍성은 한창 공사중이었다.

무장읍성은 1991년 2월 21일에 사적 제346호로 지정되었으며, 성의 남문인 진무루에서 무장초등학교 뒷산을 거쳐, 해리면으로 가는 도로의 좌편까지 뻗어 있는 성이다. 성의 둘레는 약 1.4km 정도이며 넓이는 4만3847평이다.


취백당 정면 6칸 겹처마 팔작지붕으로 지어진 무장읍성의 동헌 취백당
취백당정면 6칸 겹처마 팔작지붕으로 지어진 무장읍성의 동헌 취백당 하주성

길 객사에서 동헌으로 들어가는 길엔 아름드리나무들이 서 있어 동헌의  세월을 말하고 있다
객사에서 동헌으로 들어가는 길엔 아름드리나무들이 서 있어 동헌의 세월을 말하고 있다하주성

토성과 석성으로 쌓은 무장읍성

조선 태종 17년인 1417년에 병마사 김저래가 여러 고을의 백성과 승려 등, 주민 2만여 명을 동원하여 흙과 돌을 섞어 축조하였다고 하는 무장읍성. 성내에는 객사, 동헌, 진무루 등 옛 건물이 그대로 남아있고, 건물 주변에는 여러 가지 유구들이 산재해 있다. 여기저기 복원과 보수 공사를 하느라 파헤쳐진 무장읍성. 진무루를 지나 객사를 거쳐 뒤편에 있는 동헌건물인 취백당으로 향한다.

만 4개월 동안 2만여 명을 동원하여 축성을 하였다는 무장읍성의 동헌. 동헌은 관아에서 업무를 처리하던 중심 건물로, 당시 무장현감이 집무를 보던 곳이다. 조선 명종 20년인 1565년에 세웠으며 한때 무장초등학교 교실로 사용하기도 하여 변형이 된 것을 1989년 원형으로 복원하였다고 한다.

주초 아래는 넓고 위는 약간 좁은 원형의 주춧돌. 위로는 두리기둥을 세웠다
주초아래는 넓고 위는 약간 좁은 원형의 주춧돌. 위로는 두리기둥을 세웠다 하주성

대청 세 칸 대청은 누마루를 깔았으며, 뒤편으로는 칸칸이 판문을 내었다
대청세 칸 대청은 누마루를 깔았으며, 뒤편으로는 칸칸이 판문을 내었다하주성

정면 6칸, 측면 4칸 규모의 무장동헌은 멀리서 보아도 한 폭의 그림을 연상케 한다. 팔작 지붕으로 지은 동헌 건물은 겹처마로 구성해, 전체적으로는 장중한 느낌을 주는 조선시대 건축물이다. 동헌은 현재 전라북도 지정 유형문화재 제35호로 지정이 되어있다.

한 폭의 그림 같은 동헌 취백당


무장읍성의 동헌건물은 객사 뒤편에 자리한다. 동헌 뒤편으로는 토성으로 쌓은 성이 있으며, 동한으로 들어가는 길은 아름드리나무들이 줄 지어 서 있어, 무장읍성의 역사를 말해주고 있다. 동헌을 찾았을 때는 배롱나무가 꽃을 피우고 있어, 마치 한 폭의 동양화를 보는 듯하다.

방 동헌을 바라보며 좌측의 두 칸 방은 한 칸을 뒤로 밀어 드렸다
동헌을 바라보며 좌측의 두 칸 방은 한 칸을 뒤로 밀어 드렸다하주성

취백당기 최집이 지었다는 취백당기를 비롯한 많은 시판들이 걸려있다
취백당기최집이 지었다는 취백당기를 비롯한 많은 시판들이 걸려있다 하주성

정면 6칸인 동헌 건물의 중앙에는 '취백당'이라는 현판이 걸려 있다. 아무리 동헌 건물이라고는 하지만, 넘치는 취흥을 이기지 못해 붙인 이름인가 보다. 대청 안에는 많은 시판들이 걸려있는데, 그 중에는 최집의 취백당기를 비롯해 김하연의 찰미루기, 정곤의 아관정기, 우여무의 동헌시, 이덕형의 동헌시, 정홍명의 동헌시, 기준의 동백정시가 보인다.


이런 시판으로 보아 동헌을 동백정이라고도 불렀는가보다. 무장은 무송과 장사를 합한 고을이라 하여 동헌 이름을 '송사(松沙)'라 하였는데, 영조 때 최집이 부임을 해와 '취백(翠白)'으로 바꾸었다고 한다.

측면 측면 4칸의 취백당. 팔작지붕이 날아갈 듯하다
측면측면 4칸의 취백당. 팔작지붕이 날아갈 듯하다하주성

마루 대청의 뒤편이 길게 낸 복도마루
마루대청의 뒤편이 길게 낸 복도마루하주성

장중한 느낌을 주는 취백당

단 한 동의 건물이 사람에게 주는 느낌이 이리 장중할 수가 있다는 것이 놀랍기만 하다. 아마도 뒤편에 있는 토성이나 주변에 늘어선 아름드리나무들 때문은 아닌지 모르겠다. 날렵하게 솟아오른 처마 끝이 살아있는 듯하다. 아래는 넓고 위가 좁게 마련한 주초 위에는 두리기둥을 사용하였다.

그러고 보니 두리기둥의 길이가 길어 건물 전체가 장중한 느낌을 주는 듯하다. 대청은 세 칸으로 마련하였으며 뒤편에는 판문을 달아냈다. 건물을 바라보며 좌측은 두 칸의 방을 한 칸 뒤로 밀어서 들였으며, 우측은 마루 끝까지 방을 들였다. 우측방은 따뜻하게, 좌측 방은 시원하게 계절을 보낼 수 있을 듯하다.

취백당 성으로 오르면서 바라본 취백당의 뒤편
취백당성으로 오르면서 바라본 취백당의 뒤편하주성

집 뒤편으로 돌아가면 뒤편 전체를 복도마루로 마련한 것도 취백당의 특징이다. 아무래도 뒤편의 경치를 감상하기 위한 배려로 보인다. 단 한 동의 건물이면서도 장중함을 느끼게 하는 취백당. 450년 세월을 그렇게 자리를 지켜오면서 늘 하늘을 동경했는가 보다.

덧붙이는 글 | 이기사는 티스토리 '바람이 머무는 곳'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덧붙이는 글 이기사는 티스토리 '바람이 머무는 곳'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취백당 #무장읍성 #동헌 #유형문화재 #고창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AD

AD

AD

인기기사

  1. 1 한식에 빠진 미국 청년, 이걸 다 만들어봤다고? 한식에 빠진 미국 청년, 이걸 다 만들어봤다고?
  2. 2 경찰까지 출동한 대학가... '퇴진 국민투표' 제지에 밤샘농성 경찰까지 출동한 대학가... '퇴진 국민투표' 제지에 밤샘농성
  3. 3 민교협 "하나마나 기자회견... 윤 대통령, 정권 이양 준비하라" 민교협 "하나마나 기자회견... 윤 대통령, 정권 이양 준비하라"
  4. 4 김 여사 감싼 윤 대통령, 새벽 휴대폰 대리 답장 일화 공개 김 여사 감싼 윤 대통령, 새벽 휴대폰 대리 답장 일화 공개
  5. 5 [박순찬의 장도리 카툰] 제가 사과드리겠습니다 [박순찬의 장도리 카툰] 제가 사과드리겠습니다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