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 잘 찾는 남자들, 다 번식 때문이라고?

[재미있는 과학이야기 40] 우월한 지리공간 감각은 "생존 위한 진화의 산물"

등록 2014.11.24 21:25수정 2014.11.24 21:25
0
원고료로 응원
"아들들, 이리 와봐. 고무 대야 몇 개 준비하면 되겠어?"

70대 중반의 할머니 J씨는 수십 년째 11월 말~12월 초 김장을 해왔다. 대가족을 이끄는 탓에 수년 전까지만 해도 김장을 할라치면 보통 배추김치만도 250포기쯤을 담갔다. 최근 들어 나이 탓도 있고, 힘도 부쳐 150포기 정도로 줄여서 하지만 그래도 대가족 김장 진두지휘는 여전히 J할머니 몫이다.

"고춧가루는 이만큼이면 되겠니? 젓국은? 소금은?"

김장을 할 때면 J할머니의 질문은 각각 50대 초반과 40대 후반인 두 아들에게만 쏠린다. 고무장갑을 끼고 같이 일을 거드는 50대와 40대 며느리에게는 답을 요구하는 법이 없다. 며느리는 따돌리고, 아들들만을 신뢰하는 탓일까?

"젊었을 때부터 보니까, 남자들이 감량을 훨씬 잘해요. 여자들 중에서도 그런대로 양을 잘 맞추는 사람들이 있지만, 대체로 남자들의 짐작이 더 정확했어요."

J할머니는 "감량뿐만 아니라 길도 남자들이 훨씬 잘 찾는 것 같다"고 덧붙인다.

50~60대에 서울서 한동안 머무른 걸 빼고는 인생 대부분을 시골에서 보낸 할머니는 논이나 밭 평수 어림짐작 같은 것도 남자들이 뛰어난 편이라고 믿고 있다.


J할머니의 막내아들인 K씨는 회사에서 한때 '인간 내비게이션'이란 별명을 갖고 있었다. 촬영 때문에 야외 출장이 많은 직업 특성상 팀원들과 함께 초행인 시골 길을 달려야 할 때가 많았는데, 길을 기막히게 잘 찾곤 했던 탓이다. 유달리 복잡한 인터체인지 같은 곳에서 두어 바퀴 이리저리 회전하며 빠져 나와도, 뛰어나게 방향을 잘 잡는 바람에 팀원들이 K씨에게 인간 내비게이션이란 별명을 붙여줬다.

남자들, 수렵채집 같은 원시 인류 특성 유전자 속에 살아


이른바 '길치'임을 자인하거나 이런 흉을 듣는 사람들 가운데는 남자보다 여자가 많다는 게 보통 사람들의 경험칙이다. 평균적으로 여자보다 남자가 월등한 지리 공간 감각을 갖고 있다는 주장은 오래 전부터 있었다. 전문가들의 다양한 연구도 대개 남자의 우위를 뒷받침하는 쪽으로 결론이 나곤 했다. 아울러 남자들의 지리 공간 감각이 우월한 이유로는 수렵채집 같은 원시 인류의 특성이 유전자 속에 살아 있기 때문이라는 추정이 제기되곤 했다.

 복잡한 길. 무료이미지.
복잡한 길. 무료이미지.http://pixabay.com/ko

멀리 사냥이나 채집을 나가야 했던 게 주로 남자들의 몫이었던 까닭에 남자들의 지리 공간 감각이 더 발달할 수밖에 없었다는 설명이다. 헌데 극히 최근 새로운 가설이 제기됐다. 지난 11월 12일 미국 유타대학 연구팀은 아프리카 나미비아에서 2009~2011년 실시한 현장연구를 바탕으로 '짝짓기'가 남자들의 지리 공간 감각을 발달 시킨 주요인이라는 요지의 논문을 발표했다.

농경에 더불어 유목과 채집 생활을 하는 아프리카 2개 부족의 남녀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더 멀리 더 자주 여행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남성이 더 많은 여성과 관계할 수 있었다는 게 유타대학 연구팀의 결론이었다. 요컨대, 남자들이 지리 공간 감각을 키워온 데는 자손번식을 위한 본능이 작동했다는 것이다. 실제로 행동반경이 넓고 외출이 잦은 아프리카 부족 남성이 그렇지 않은 남성에 비해 더 많은 여성과 관계해 더 많은 자식을 두고 있다는 점이 확인됐다.

남성의 지리 공간 감각이 자손번식과 관계가 있을 수 있다는 시사점은 구전이나 소설 등 문학작품에서도 종종 발견된다. 우리나라의 경우, 조선시대 중기까지만 해도 대다수 사람들은 태어난 곳에서 반경으로 100리 안쪽에서 머물다 세상을 떴다. 일상적인 생활반경을 벗어나 타지를 여행하던 사람은 드물었는데, 그나마 그 절대다수는 남자였다. 이와 관련해 흥미로운 점은 타지 출신으로 갑자기 동네에 출현한 남자에 대해 동네 처자들이 관심을 보이는 것처럼 묘사하는 예가 적지 않았다는 점이다.

처음 보는 낯선 청년이 동네 처녀들의 관심 받아

인간의 본능 가운데 자손번식이 으뜸이라고 가정하면, 처음 보는 낯선 청년이 동네 처녀들의 관심을 받는 것은 충분히 납득할 수 있는 일이다. 생활반경이 한정돼 있던 시절, 같은 동네 혹은 마을 사람이라면 유전적으로 서로 가까울 확률이 높다. 반대로 겉보기로는 조건이 비슷해도 외지인이라면 아무래도 유전적 근연성이 멀 가능성이 크다. 동물도 마찬가지지만 유전적으로 비슷하지 않은 남녀 혹은 암수가 만나야 더 경쟁력 있는 후손을 만들어낼 여지가 더 풍부하다.

쉬지 않고 먹을 것과 짝을 좇아야 하는 동물의 세계에서는 활동반경이 크고, 활동성이 큰 수컷일수록 후손을 많이 남긴다는 연구도 있다. 물론 현대 인간 세상에서 수렵 채취는 더 이상 생계의 주 수단은 아니다. 그러나 수컷 특유의 공간 감각이 모두 사라져 버렸다고 단정 짓기는 아무래도 어려울 것 같다.
덧붙이는 글 위클리공감(korea.kr/gonggam)에도 실렸습니다. 위클리공감은 문화체육관광부가 발행하는 정책주간지 입니다.
#길 #내비게이션 #공간 #감각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AD

AD

AD

인기기사

  1. 1 이러다 12월에 김장하겠네... 저희 집만 그런가요? 이러다 12월에 김장하겠네... 저희 집만 그런가요?
  2. 2 [단독] 쌍방울 법인카드, 수원지검 앞 연어 식당 결제 확인 [단독] 쌍방울 법인카드, 수원지검 앞 연어 식당 결제 확인
  3. 3 "무인도 잡아라", 야밤에 가건물 세운 외지인 수백명  "무인도 잡아라", 야밤에 가건물 세운 외지인 수백명
  4. 4 "윤 대통령, 매정함 넘어 잔인" 대자보 나붙기 시작한 부산 대학가 "윤 대통령, 매정함 넘어 잔인" 대자보 나붙기 시작한 부산 대학가
  5. 5 악취 뻘밭으로 변한 국가 명승지, 공주시가 망쳐놨다 악취 뻘밭으로 변한 국가 명승지, 공주시가 망쳐놨다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