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한 인사하는 트럼프 미 대통령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부인 멜라니아 여사와 함께 11월 7일 오후 경기도 평택시 주한미군 오산공군 기지에 도착한 뒤 손을 흔들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이번엔 팔레스타인 문제로 말썽을 일으켰다. 팔레스타인과 이스라엘이 각각 소유권을 주장하는 예루살렘에다가 이스라엘 주재 대사관을 옮기겠다는 입장을 밝힌 결과다. 로켓 공격과 전투기 공습 같은 작금의 사태를 충분히 예상할 수 있었을 텐데도 '예루살렘을 이스라엘 수도로 공식 인정하겠다'는 대선 공약을 무리하게 이행하려 하고 있다.
현재, 미국대사관은 예루살렘 서북쪽 지중해 해안가인 텔아비브에 있다. 다른 나라 대사관들도 마찬가지다. 1948년 이스라엘 건국 이후 어떤 나라도 예루살렘에 대사관을 두지 않았다. 국제연합(UN)도 총회 결의 제181호(1947년) 및 제303호(1949년)를 통해 특정 국가의 예루살렘 지배를 반대했다. 그래서 예루살렘은 사실상은 이스라엘 관할이지만, 국제 관행상으론 특정국 관할이 아니다. 트럼프가 이 관행을 무시한 것이다.
트럼프 집안은 유대인 혈통은 아니다. 하지만, 일반 미국 가정에 비해 이 집안은 유대인을 상당히 많이 의식해 왔다. 독일에서 포도농장을 하던 트럼프의 할아버지 프레더릭은 김옥균의 갑신정변 이듬해인 1885년 미국으로 이민했다. 이때만 해도 드룸프(Drumpf)란 성을 썼던 프레더릭이 트럼프(Trump)로 성을 바꾼 것은 바로 유대인들 때문이다.
새로운 땅에서 식당을 개업한 프레더릭은 주변 지역에 유대인이 많다는 점을 의식했다. 유대인이 싫어하는 독일인이란 게 알려지면 장사에 도움이 되지 않을 거라 판단했다. 그래서 스웨덴 사람으로 가장하고자 트럼프로 성을 바꿨다. 주거지를 바꾸는 대신, 성을 바꾸는 쪽을 택한 것이다.
이렇게 유대인 눈치를 보면서도 그 틈속에서 생존을 도모하는 태도는 아들 프레드에 이어 손자 도널드한테로도 이어졌다. 강준만 교수의 트럼프 평전 <도널드 트럼프 - 정치의 죽음> 제1장에 이런 대목이 있다.
"트럼프는 자서전에서 할아버지는 스웨덴 출신이라고 썼지만, 이는 아버지가 임대아파트 사업의 주요 고객층인 유대인을 염두에 두고 그들을 기분 상하지 않게 하려고 스웨덴 출신으로 행세했던 것에 따른 것이다. 할아버지가 미국에 건너와 적응하기 위해 성을 Drumpf에서 Trump로 바꾼 것처럼 말이다. 트럼프는 나중에 독일 출신이라고 실토하고, 독일계 미국인의 행사에 적극 참여한다."
트럼프가 예루살렘을 이스라엘 수도로 인정하려는 데는 여러 이유가 있다. 사위인 재러드 쿠슈너도 유대인이고 딸 이방카도 유대교로 개종했다는 점, 유대교 재력가들이 정치자금을 무기로 공화당에 압력을 행사하고 있다는 점, 러시아 스캔들을 돌파하고 대통령직을 지키자면 공화당 내 친(親)유대파인 기독교 복음주의 세력을 포섭할 필요성이 있다는 점 등이 작용하고 있다. 이런 점들과 더불어, 대대로 유대인을 과도하게 의식하는 집안 내력도 트럼프의 조치에 영향을 줬다고 볼 수 있다.
영국의 3중 계약에서 시작된 '예루살렘 사태' 팔레스타인 문제의 상당부분이 미국 책임이고, 트럼프로 인해 그 책임이 한층 무거워지고 있지만, 이 문제는 원래는 영국 때문에 생긴 것이다. 나폴레옹 몰락 이후의 유럽 국제질서를 정립한 1815년 비인 회의 이후로, 영국은 러시아와 더불어 유럽 최강이 됐다. 1840년 발발한 제1차 아편전쟁에서 유럽이 청나라를 제압하면서, 유럽 최강 영·러는 세계 최강으로 격상됐다.
러시아가 러일전쟁에서 패배한 1905년 이후로는 영국이 단독으로 세계 최강이 됐다. 이 상태에서 발생한 1914년 제1차 세계대전에서 영국은 독일·오스트리아·오스만투르크를 상대했다. 여기서 오스만투르크(오스만)와의 대결이 팔레스타인 문제를 파생시켰다.
터키공화국의 직전 왕조인 오스만은 우리 역사에 등장하는 돌궐족(투르크·튀르크)의 후예다. 한때 강대국이었던 돌궐은 당나라에 밀려 8세기부터 동아시아에서 모습을 감추기 시작했다. 그런 뒤에 서쪽 중동 지방에서 서서히 강대국으로 출현했다.
돌궐족 국가인 셀주크투르크는 11세기에 중동의 강자로 등극했고, 또 다른 돌궐 국가인 오스만은 14세기부터 강국 대열에 들어섰다. 오스만은 중동뿐 아니라 북아프리카·동유럽에 걸쳐 대제국을 건설했다. 명나라·청나라가 동아시아에서 패권을 행사할 때, 오스만은 서아시아를 거점으로 패권을 휘둘렀다. 이슬람을 신봉하는 중동 민족들이 그 지배 하에 들어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