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융릉 앞에 있는 원형의 곤신지 풍경융릉 앞에 있는 곤신지는 기존의 연못들이 방형(사각형) 모향인데 반해 원형의 모양을 하고 있다.
운민
이곳은 인근 도시인 수원의 화성까지 거리가 가까운 편이다. 때문에 정조의 발자취를 따라가는 역사여행코스로 인기가 많다. 심지어 수원 시티투어 버스도 용주사와 융건릉을 거친다. 그만큼 이 지역 자체가 수원의 영향을 꽤 받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지도 모르겠다.
이제 정문을 지나 꽤 넓은 묘역을 천천히 거닐며 융건릉을 둘러보기로 하자. 융건릉은 사도세자로 알려져 있는 추존왕 장조와 그의 부인 혜경궁 홍씨(헌경의황후)가 모셔져 있는 융릉과 정조와 효의왕후가 있는 건릉으로 구성되어 있다.
가운데 숲을 사이에 두고 왕릉이 배치되어 있기에 가벼운 산책을 하는 마음가짐으로 묘역을 둘러보면 좋을 듯싶다. 융건릉의 입구로 바로 들어오게 되면 한옥 건물이 눈에 띄는데 바로 융릉의 재실 건물이라고 한다. 많은 사람은 그냥 스쳐 지나가지만 이곳의 마당에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개비자나무가 있다.
원래 융릉, 예전 현륭원 시절의 재실은 지금의 자리가 아니라 화성태안 3 지구와 인접한 곳이라 하고, 현재 공원 조성이 예정되어 있는 장소다. 즉 융건릉의 능역이 예전에 비해 많이 축소되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그래도 왕릉의 숲은 더할 나위 없이 푸르렀다.
어느덧 잘 정비된 융릉 앞에 도달했다. 정조가 현륭원(예전 융릉의 명칭)을 배봉산에서 화성 땅으로 옮기면서 생전 다하지 못했던 효성을 쏟았던 흔적을 곳곳에서 발견할 수 있었다. 그 대표적인 것 중 하나가 곤신지라고 불리는 연못으로, 드물게 원형으로 만들었다.
이제 정자각을 배경으로 합장릉 형태의 융릉이 나타난다. 사도세자는 생전에 왕위에 오르지는 못했지만 죽은 후에 왕으로 추승되었다. 하지만 그의 아들인 정조 시절에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아마도 정조는 사도세자의 죽은 형인 효장세자(후에 진종으로 추승됨)의 양자로 입적했기에 그 명분이 부족하지 않았을까 싶다. 사도세자는 조선 말기 고종이 황제에 오른 뒤 정통성과 권위를 내세우기 위해 추존왕으로 봉해지게 된 것이다.
사도세자는 현재까지 시대를 관통하는 수많은 논란의 중심에 있는 인물이다. 비참한 최후를 맞게 된 배경에 대해서도 사람마다 의견이 분분하다. 아버지의 압박으로 인한 정신적 광기가 문제라는 사람도 있고, 그 당시 집권층인 노론과 척을 졌기 때문이라는 이야기도 있다. 그 논란은 다음에 창경궁을 이야기할 때 자세히 다뤄보고 이제 그 아들인 정조의 능역으로 이동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