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개통한 신림선 열차가 샛강역에서 회차 대기를 하고 있다.
박장식
서울 대중교통망의 수혜를 받지 못했던 음영 지역을 채울 노선이 개통했다. 서울 여의도 샛강역에서 출발해 신대방동, 보라매공원과 당곡동을 거쳐 신림동, 대학동까지 향하는 경전철 신림선이 지난 5월 28일 첫 운행에 들어갔다.
그간 대중교통망이 빈약했다는 볼멘소리가 있어왔던 관악구와 동작구, 특히 대학동, 당곡동 등 지역의 교통 편의가 개선되고, 더욱 목적지까지 가는 속도 역시 빨라졌다. 서울대학교 앞에서 기존 대중교통으로 40분 가까이 걸리던 여의도까지의 거리는 샛강역을 기준으로 16분, 2배 가까이 줄었다.
단순히 속도만 빨라진 것이 장점이 아니다. 경전철로 개통되는 신림선은 기존에 개통한 경전철 노선의 수난을 참고한 모습이 눈에 띈다. 기존 경전철이 전철에 비해 가졌던 한 끗 차이의 아쉬움을 극복하고, 과도기에 놓였던 경전철 사업을 살릴 '키맨'으로 꼽힌다. 기존 경전철과 다른 신림선만의 특징은 어떤 것일까.
3량짜리 경전철... '국산 열차' 기술 정점 찍었다
신림선은 3량 규모의 경전철로 설계됐다. 한국형 경전철 기술인 K-AGT(Korean Automated Guideway Transit) 시스템이 적용된 신림선은 철로를 따라 운행되는 보통의 전철과 다르게 고무바퀴를 이용해 움직인다. 즉 자동차 바퀴와 비슷한 타이어로 아래 설치된 콘크리트 길 그리고 측면에 깔린 가이드라인을 따라 운행된다.
2011년 개통된 부산 지하철 4호선이 고무차륜 경전철로 개통했고, K-AGT 기술을 사용했다. 하지만 10년이 지난 만큼 기술이 더욱 진일보했다. 도림천을 따라 지어진 선로에서 급회전을 할 때에도 열차 내 흔들림이 크게 느껴지지 않을 정도다. 차량 자체의 안정성이 높아진 덕분이다.
단순히 안정성만 높아진 것이 아니다. 신림선의 전동차는 사람이 운전석을 지키지 않아도 자동으로 열차가 운행되는 무인 운전을 채택했다. 물론 대다수의 경전철에서 이러한 무인 운전을 시행하고 있지만, 신림선의 경우 순수 대한민국 기술로 만들어진 첫 철도신호체계를 사용했다는 것이 차별화되는 특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