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연계설' 언론보도에 청와대 노심초사

정부내 강경론-온건론 맞서... 김은혜 "대변인 발표가 정부 입장"

등록 2010.03.31 11:09수정 2010.03.31 11:29
0
원고료로 응원
천안함 사건의 북한 연계설 언론보도에 대해 청와대가 노심초사하고 있다.

청와대가 미확인 가설을 유포한 주체로 지목될 경우 향후 남북관계에도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판단 때문이다.

김은혜 청와대 대변인은 31일 오전 "기자들에게 당부드릴 말이 있다"며 춘추관을 찾아와 "천안함 사건과 관련해 청와대 대변인의 발표 내용이 정부의 공식 입장"이라며 "비공식 의견을 보도하는 것은 자칫 국민에게 혼선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

사고원인이 규명되지 않은 상황에서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는 게 청와대의 공식입장이다.

사고 직후 대변인의 발표가 미묘한 뉘앙스로 잘못 보도된 것도 이같은 당부가 나온 배경이다.

30일자 <문화일보>에는 김은혜 대변인이 27일 "북한이 연계됐을 가능성은 낮아보인다"고 말했다는 기사가 실렸다. 26일 자정 무렵 김 대변인이 실제로 한 발언은 "현재로서는 북한과의 연계 여부가 확실치 않다, 원인규명 작업이 진행중이니 원인을 말할 단계가 아니다. 함부로 예단하거나 단정짓지 말아달라"는 것이었다. 청와대의 항의를 받은 후 <문화일보>는 인터넷판에서 김 대변인의 발언을 "북한의 연계여부는 확실하지 않다"로 수정했다.

이번 해프닝은 보수성향 지지층 여론과 남북 관계 사이에서 고민하는 이명박 정부의 현주소와 무관하지 않다.


익명의 정부관계자 명의로 북한 연계설이 유포되면 북측이 자극받아 남북관계가 헝클어진다. 반대로, 북한 연계설에 침묵하는 것은 이같은 가설을 믿는 보수층의 반발을 일으킬 수 있다.

실제로 정부 내에서는 "북한의 소행으로 봐야한다"는 강경론과 "확증 없이 얘기하는 것은 곤란하다"는 온건론이 팽팽하게 맞서고 있다. "섣부르게 예단해서는 안 된다"는 대통령의 언급은 일단 후자에 힘을 실어준 것으로 보이지만, 향후 상황이 어떻게 바뀔지는 누구도 예측할 수 없다.
#천안함?침몰 #청와대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AD

AD

AD

인기기사

  1. 1 세계에서 벌어지는 기현상들... 서울도 예외 아니다
  2. 2 세계 정상 모인 평화회의, 그 시각 윤 대통령은 귀국길
  3. 3 고장난 우산 버리는 방법 아시나요?
  4. 4 돈 때문에 대치동 학원 강사 된 그녀, 뜻밖의 선택
  5. 5 신장식 "신성한 검찰 가족... 검찰이 김 여사 인권 침해하고 있다"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