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영 "민군 합동조사단 명단 공개 안 했으면"

[국방위] 취재경쟁으로 조사 차질 우려... "실종자 가족 조사단 참여 수준 참관 정도"

등록 2010.04.14 18:23수정 2010.04.14 18:30
0
원고료로 응원
김태영 국방장관이 14일 민군 합동조사단 명단 공개가 옳지 않다고 밝혔다. 각 언론사 간의 과도한 취재경쟁으로 인한 조사활동 차질이 그 이유였다.

a

김태영 국방부장관이 14일 국회 국방위 전체회의에 출석, 천안함 침몰사고 관련 현안보고를 하고 있다. ⓒ 남소연


그는 이날 국회 국방위에서 "인적 정보를 공개했을 때 전문가들이 (언론 등에) 엄청나게 시달릴 것"이라며 "국방부를 믿어주신다면 명단을 공개하지 않는 게 옳지 않나 생각한다"고 말했다.

김 장관의 발언은 합동조사단의 민간 전문가 비율 등에 논란이 일고 있는 상황에서 또 다른 논란을 불러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민주당 "민간 들러리 세우려고?", 한나라 "예측 난무 우려"

당장 안규백 민주당 의원은 이날 열린 국회 국방위에서 "100여 명의 합동조사단 중 민간 전문가는 단 6명에 불과하다"며 "민간을 들러리 세우면서 실제로 군이 조사하려는 것 아닌가"라고 문제를 제기했다.

그러나 몇몇 한나라당 의원들은 김 장관의 의견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였다.

국방위원장인 김학송 한나라당 의원은 "장관이 쉽게 명단 공개를 말하는 것 같아 불안했다"며 "각 언론사에서 합동조사단의 전문가들을 각각 취재하고 보도한다면 한 사람의 의견이 원인이 되는 등 각종 예측이 난무할 우려성이 있다"고 말했다.


김정 한나라당 의원은 한 발 더 나아가 "실종자 가족 대표의 합동조사단 참여가 사실이냐"며 "언론 인터뷰 등 이런 저런 이유로 언론에 노출되는 분들이 조사단에 참여할 수 있겠냐"고 말했다.

그는 "지나친 표현일지 모르나 (가족들의 조사단 참여가) 월권 행위가 돼선 안 된다"며 "어디까지나 전문가들이 모여 철저하게 (침몰 원인을) 조사하고 발표하면 되지, 기타 어떠한 요인도 조사에 반영돼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김 장관 역시 "실종자 가족들은 조사단 참여 수준은 참관 정도이고 필요하다면 조사 진행 등을 알려드리는 정도"라며 "어떻게 보면 (실종자 가족들과의) 이익과도 연결돼 있어 조심스런 부분이 있다, 민군 합동조사단을 구성할 때 조정하도록 하겠다"고 답했다.

김 장관은 또 "모든 조사가 끝나고 난 뒤 마지막 단계에서 명명백백하게 조사단의 인적 사항을 공개하겠다"며 (명단 비공개에 대한) 국방위원들의 양해를 거듭 호소했다.

"포토라인 300야드 제한은 안전 때문"

한편, 김 장관은 오는 15일 인양될 함미의 절단면 공개에 대해서도 "솔직히 말하자면 공개하고 싶지 않다"며 "워낙 국민의 알 권리를 많이 주장하고 공개 여부가 군만이 아니라 정부 전체에 대한 비난으로 번지는 것을 두고 고심하다 공개를 결정한 것"이라고 말했다.

또 300야드(273m)에서 떨어져 취재토록 한 것에 대해선 "바지선과 크레인선이 있는 가운데 그 이상 가까이 다가가면 안전상 문제가 생긴다"며 안전상 이유로 인해 촬영 거리에 제한을 둔 것이라 설명했다.

그는 "굳이 절단면을 언론에 노출해 국민에게 득 될 것이 있겠나, 국민들의 생업에도 도움이 되는 것은 아니다"며 "이미 공개하지 않더라도 육상에서 망원렌즈를 이용, 언론사들이 취재를 하고 있다, 그럴 바엔 사진 촬영 정도 하게 한다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천안함 #김태영 #민군 합동조사단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AD

AD

AD

인기기사

  1. 1 [단독] '김 여사 성형' 왜 삭제? 카자흐 언론사로부터 답이 왔다
  2. 2 [단독] 순방 성과라는 우즈벡 고속철, 이미 8개월 전 구매 결정
  3. 3 해외로 가는 제조업체들... 세계적 한국기업의 뼈아픈 지적
  4. 4 돈 때문에 대치동 학원 강사 된 그녀, 뜻밖의 선택
  5. 5 "모든 권력이 김건희로부터? 엉망진창 대한민국 바로잡을 것"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