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일성 '중소 시계추외교' 재현한 김정은의 미중외교

[황 기자의 한반도 이슈] 첫 정상회담 상대, 문재인·트럼프 아니라 시진핑 선택

등록 2018.03.28 17:01수정 2018.04.02 19:07
9
원고료로 응원
위기 때 마다 김일성, 김정일, 김정은 중국 방문  북한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이 중국을 방문해 시진핑 국가주석과 회동했다. 북한은 위기 때마다 극비리에 중국을 방문해 중국의 역할을 강조하고 친분을 과시했다. 1990년 9월 중국을 방문해 덩샤오핑과 만나는 김일성 주석(왼쪽부터), 2000년 5월 중국을 방문해 장쩌민 주석과 악수하는 김정일 국방위원장 모습, 시진핑 주석과 만나는 김정은 위원장의 모습.
위기 때 마다 김일성, 김정일, 김정은 중국 방문 북한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이 중국을 방문해 시진핑 국가주석과 회동했다. 북한은 위기 때마다 극비리에 중국을 방문해 중국의 역할을 강조하고 친분을 과시했다. 1990년 9월 중국을 방문해 덩샤오핑과 만나는 김일성 주석(왼쪽부터), 2000년 5월 중국을 방문해 장쩌민 주석과 악수하는 김정일 국방위원장 모습, 시진핑 주석과 만나는 김정은 위원장의 모습.연합뉴스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초청으로 25일부터 28일까지 중국을 방문해, 베이징에서 시 주석과 정상회담을 했다. 집권 후 첫 유력국가와 한 정상회담 상대는 결국 중국이었다.

문재인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을 불과 한 달 앞두고,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을 두 달 정도 앞두고 이뤄진 방중이라는 점에서 전격적이다. 또 4개월 전인 지난해 11월 시 주석이 자신의 특사로 평양에 보낸 쑹타오 중국 공산당 대외연락부장을 만나지도 않았었다는 점에서, 파격이라 할 만하다.

김 위원장의 이같은 행보는 1950년대말부터 1960년대를 거쳐 1970년대까지 이어진 '중소분쟁' 시기에, 할아버지인 김일성 주석이 중국과 소련을 상대로 했던 '시계추 외교'를 연상케한다.

1950년대 말부터 김일성 주석은 '스탈린 우상화'를 비판한 흐루시초프 소련 공산당 서기장의 '수정주의'노선에 대한 거부감을 나타내면서 '반소-친중'노선을 취했다. 그러다가 흐루시초프가 실각하고, 중국이 문화대혁명(66~76)을 겪으면서 문화혁명 지도부와 홍위병이 김일성을 수정주의자로 공격하는 상황이 되자 60년대 후반에는 거꾸로 '친소-반중'으로 돌아섰다. 이처럼 소련과 중국을 시계추처럼 오가는 정책을 쓰는 한편으로는 '주체사상'을 정립하면서, 등거리 외교를 대외기조로 했다.

사회주의권내 패권경쟁 관계에 들어간 중국과 소련은 북한에 '경쟁적 구애'에 나섰고, 북한은 61년에 소련, 중국과 각각 '우호협조 및 상호원조 조약'을 체결해 경제지원 및 군사동맹을 확보했고, 이후에도 양측에서 대규모 원조를 받아냈다.

김정은, 시진핑에 "내 첫 외국방문지가 베이징이 된 것은 너무도 마땅"

악수하는 김정은과 시진핑 북한 노동신문은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이 25일부터 28일까지 중국을 비공식 방문했다고 28일 보도했다. 사진은 김 위원장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열린 환영 행사에서 악수하는 모습.
악수하는 김정은과 시진핑북한 노동신문은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이 25일부터 28일까지 중국을 비공식 방문했다고 28일 보도했다. 사진은 김 위원장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열린 환영 행사에서 악수하는 모습.연합뉴스

김정은 위원장의 이번 중국 방문은 중국과 북한의 이해가 정확히 교차하는 지점에서 성사됐고, 북한의 핵·미사일 개발에 대한 유엔의 대북 경제 제재에 중국이 동참하면서 극도로 악화된 양국 관계를 회복하는 계기가 될 가능성이 높다.


북한 관영 <조선중앙통신>은 김정은과 시진핑이 26일 회담에서  "조중 친선관계 발전과 조선반도(한반도) 정세관리 문제들을 비롯하여 중요한 사안들에 대해 깊이 있는 의견을 교환하시었다"고 전했다. 여기서 '조중 친선관계 발전'은 북중관계 복원에 대한 대목이고, '조선반도 정세관리'는 남북정상회담과 북미정상회담에서의 비핵화 문제에 대한 논의를 말하는 것이다.

김 위원장은 이 자리에서 시 주석에게 "중국 동지들과 자주 만나 우의를 더욱 두터이 하고 전략적 의사소통, 전략 전술적 협동을 강화하여 조중 두 나라의 단결과 협력을 굳건히 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고, 시 주석은 "중조 친선을 중시하고 끊임없이 계승 발전시켜 나가는 것은 중국 당과 정부의 전략적 선택이며 확고부동한 의지"라고 화답했다. 시 주석은 또 최근 한반도 정세에서 긍정적 변화가 나타나고 있는 것은 김 위원장의 '전략적 결단'과 북한의 당과 정부가 기울인 노력의 결실이라고 '칭찬'하기도 했다.


이로써 김 위원장이 시 주석에게 "나의 첫 외국 방문의 발걸음이 중화인민공화국의 수도가 된 것은 너무도 마땅한 것"이라고 말한 것처럼, 지난 2011년 말 집권한 김 위원장의 첫 해외방문지는 중국이 됐고, 첫 정상회담 상대는 문재인 대통령도 트럼프 대통령도 아닌 시진핑 주석이 됐다.

김정은, 미국으로만 가는 듯 보이던 시계추 돌려 균형 모양새

의장대 사열하는 김정은과 시진핑 북한 노동신문은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이 25일부터 28일까지 부인 리설주와 함께 중국을 비공식 방문했다고 28일 보도했다. 사진은 김정은 위원장이 26일 베이징 인민대회당 북대청에서 열린 환영 행사에서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과 함께 중국군 의장대를 사열하는 모습.
의장대 사열하는 김정은과 시진핑북한 노동신문은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이 25일부터 28일까지 부인 리설주와 함께 중국을 비공식 방문했다고 28일 보도했다. 사진은 김정은 위원장이 26일 베이징 인민대회당 북대청에서 열린 환영 행사에서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과 함께 중국군 의장대를 사열하는 모습.연합뉴스

시 주석으로서는, 김 위원장이 한국의 중재로 트럼프 대통령과 먼저 만나서 북한 핵문제 등을 논의하게 되는 것은 한반도에서의 영향력 상실에 대한 하나의 상징일 수 있다. 중국은 북한과의 각별한 관계를 힘으로, 2000년대 이후 북미간 중재자, 매개자로 활동하면서 영향력을 행사했고, 이 때문에 (북핵문제 해결을 위한) 6자회담 의장국을 맡아왔다.

그러나 대북영향력 감소 과정에서, 남북 정상회담과 북미정상회담이 약속되면서 한국을 통해 북한 의중을 전해들어야 하는 상황이 됐다. 호사가들은 '차이나 패싱'수준을 넘어 자칫 북한이 '제2의 베트남'이 될 수도 있다는 우려까지 내놨다. 미국과 10년 넘게 혈전을 벌였던 베트남이 중국을 등지고 미국과 경제협력은 물론 군사교류 단계까지 나갔기 때문이다. 하지만시진핑은  결국 자신의 특사를 거부했던 김정은 위원장에게 손을 내밀었다.

핵문제를 놓고 트럼프 대통령과 한판 승부를 벌려야 하는 김 위원장으로서도 후방인 중국의 지원 확보가 절실하다. 더욱이 트럼프 대통령은 정상회담을 앞두고 대북강경파인 마이크 폼페이오 CIA국장을 국무장관에, '대북 초강경파인' 존 볼턴을 백악관 안보보좌관에 임명하는 등 압박을 강화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김 위원장은, 미국쪽으로만 달려가는 것처럼 보이던 시계추를 중국으로 돌리면서 균형을 유지하는 모양새를 만든 것이다.

부시 행정부 1기(2001년~2004년)에서 북핵 문제 등 미국 외교를 책임졌던 콜린 파월 전 미 국무장관은 2009년에 "북한의 협상가들은 내가 상대해본 가장 뛰어나고 강인한 협상가들이다"라고 했다.

현재 김정일의 북한은 G2인 미국과 중국을 상대로 '뛰어나고 강인한' 외교술을 보여주고 있다.

이런 상황이 장기적인 관점에서 볼 때 (북한 지도부가 아닌 북한 전체에게) '잘못된 정책'이었던 핵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것 것인지, 전세계의 이목이 집중할 수밖에 없게 만들었다.

중국 CCTV가 공개한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 방중 현장 ⓒ 황지희


#김정은 #시진핑.
댓글9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이 기사는 연재 황 기자의 한반도 이슈 에서도 볼 수 있습니다.

AD

AD

AD

인기기사

  1. 1 '징역1년·집유2년' 이재명 "이것도 현대사의 한 장면 될 것" '징역1년·집유2년' 이재명 "이것도 현대사의 한 장면 될 것"
  2. 2 수능 도시락으로 미역국 싸 준 엄마입니다 수능 도시락으로 미역국 싸 준 엄마입니다
  3. 3 의사 아빠가 죽은 딸의 심장에 집착하는 진짜 이유 의사 아빠가 죽은 딸의 심장에 집착하는 진짜 이유
  4. 4 "나는 폐허 속을 부끄럽게 살고 있다" 경희대 시국선언문 화제 "나는 폐허 속을 부끄럽게 살고 있다" 경희대 시국선언문 화제
  5. 5 미국에 투자한 한국기업들 큰일 났다... 윤 정부, 또 망칠 건가 미국에 투자한 한국기업들 큰일 났다... 윤 정부, 또 망칠 건가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