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증권사의 적립식 펀드 통장(자료사진).오마이뉴스 김연기
[사례1] 평촌에 사는 박씨는 얼마 전 담보대출 6천만원을 받아 집을 장만했다. 조금이라도 싼 이자에 받았으면 하는 마음이 굴뚝같았는데 마침 은행직원이 이율을 0.1% 내려줄테니 펀드에 가입하라고 했다. 그것도 한 번만 내고 내기 싫으면 안 내도 된다고 하면서 그냥 하나 하라고 했다.
무슨 펀드인지, 운용사가 어디인지, 나에게 필요한지 아닌지 상관없이 금리를 깎아준다는 말에 월 10만원짜리 적립식 펀드 가입 신청서에 서명했다. 서로 대가성 흥정에 상품에 대한 질문도 대답도 없이 펀드판매와 펀드구매 계약이 체결돼 버렸다.
금리 깎아줄 테니 펀드 가입해다오?
은행은 이익집단이다. 조건 없이 베풀어 주는 곳이 아니라는 것이다. 과연 박씨는 0.1%의 할인으로 얼마만큼의 이익을 보았을까? 장기적으로 보았을 땐 금액면에서 조금의 차이는 있겠지만 얻은 것보다는 잃은 것이 많다.
@BRI@
첫째, '꺾기'를 당했다.
0,1%의 금리는 말하기에 따라 펀드에 가입하지 않아도 할인받을 수 있다. 여기에 프로모션을 통해 펀드 구매를 강요받았고 한번 불입하고 더 내지 않아도 되는 가치성 없는 펀드를 권유받은 것이다. 결국 끼워팔기식 관행이 투자형 상품의 리스크를 고객에게 떠넘기는 결과를 초래했다.
둘째, 고객 대우를 받지 못했다.
고객을 상품을 팔 대상으로만 생각했다는 것이다. '한번이니까'라고 생각할 순 있지만 거꾸로 생각하면 은행 입장에서는 수수료만 챙기고 고객의 소중한 10만원은 어찌되든 상관없다는 식의 사고방식인 것이다. 0.1%의 우대금리 조건에 결국 소중한 10만원을 포기한 것이나 다름없다.
셋째, 공공기관의 불완전 판매를 정당화시켰다.
고객의 바람을 인심 쓰는 양 하며 요구조건을 은연 중에 당연시한다는 것이다. 은행의 브랜드 파워, 고객에게 강압적인 분위기가 이렇게 고객만의 손실로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펀드 권유자는 소득수준, 자금성격, 투자목표, 투자기간, 투자성향, 투자목적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서 결정하도록 유도하여야 한다. 또 펀드 구매인은 투자설명서와 상품 안내지를 전달받고 충분히 읽어본 후 궁금한 사항에 대해 자세히 설명을 듣고 냉정하게 판단해야 한다.
판매 직원의 불충분한 설명은 펀드의 불완전 판매로 이어져 결국 고객들만 고스란히 손해를 보게 한다. 하지만 불충분한 설명에도, 몰라도 묻지 않고 대강 질문하고 가입하는 투자자의 이런 소극적 태도는 금융회사의 불완전 판매를 부채질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은행이 비록 이익집단이라 해도 아직까지 서민들이 믿고 찾는 '금융기관'이다. 서민에게 무조건 금융상품을 팔아서 수수료를 챙기기보다는 제대로 된 금융상담 후 가장 적절한 상품을 찾아주는 진정한 서비스 정신을 발휘하는 것이 최소한의 직업적 양심일 것이다.
[사례2] 김아무개씨는 저축을 하고 싶어 평소에 자주 가는 은행을 찾았다. 은행원이 적금식으로 하면서 연간 30% 이상의 수익을 내 적금이자 4%보다 훨씬 낫다면서 펀드를 권했다.
원금 손실을 볼 수도 있느냐고 물어보았더니 장기 투자이니까 안전하다고 해서 흐뭇한 마음으로 월 50만원짜리 펀드에 가입했다. 남편에게 ○○은행에 펀드 저축하고 왔다고 하니 ○○은행에서 펀드를 운용하느냐며 제대로 알고 가입했느냐는 질책어린 질문만 돌아왔다.